일기 감추는 날 - 웅진 푸른교실 5 웅진 푸른교실 5
황선미 지음, 소윤경 그림 / 웅진주니어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는 이런류의 글이 나올줄 알았다. 그런데 황선미씨가 또 교육 현장의 문제와 연결지어 드디어 이런 글을 썼다. '일기 지도'라는 이름으로 교육현장에서 일기장을 걷고 틀린 문장을 고쳐주고 그 일기에 때로는 답글도 달아주곤한다. 때로는 이런 일들이 교육적으로 효과를 거두는듯도 보인다. 선생님들도 일기 검사를 통하여 아이들의 생활을 보다 잘 알게되어 아이들을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어느정도의 도움을 얻기도 할 것이라는 사실자체를 부인하자는 것은 아니지만 일기장 검사를 꼭 해야하는가하는 문제는 집고 넘어가야 될듯도 싶다.

우선 아이들이 일기에 대한 생각은 그것이 '생활의 솔찍한 기록'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이 책에서의 엄마는 동민의 일기를 보면서 이건 이래서 안 되고 저건 저래서 안된다는 식으로 아이에게 자신이 표현하고 픈 생각들을 제한하고 있다. 아이들 자신도 누군가 본다는 생각에 이건 챙피하니까 안되고 이건 혼날까봐 안되고... 일기장 검사 후에 보이는 선생님의 태도도 아이들에게는 부담이다.

이 책의 주인공 동민 역시 자신이 경수의 잘못을 일기로 고자질 하지 않았지만 경수의 오해로 괴롭다. 결국 이래저래서 솔찍할 수 없는 일기장. 아이들은 그래도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픈지라 결국 두개의 일기장을 택하는 경우도 주변에서 심심치 않게 본다. 두 개의 일기장을 갖고 있는 아이들이 일기에 대한 생각은 긍정적이지만은 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결국 학교 안에서의 일기장 검사는 아이들에게 부담을 주는 과제일뿐이라는 생각이고 교육현장에서 보는 일부의 일기는 생활문이 아니라 글짓기 과제라는 생각이다.

내 아이는 5학년 3학년이다. 내 아이의 일기장에 대한 생각은 자신의 생각을 솔찍하게 표현하는 하나의 장이란다. 그런데 누군가 내 일기장을 본다는것은 썩 기분이 좋은 일은 아니란다. 누군가가 본다고 생각하면 좋은 이야기만을 써야 할 것 같단다.자신도 때로는 안 좋은 생각을 할 수도 있고 남에게 말하고 싶지 않은 이야기도 있는데 자신의 생각을 솔찍하게 쓰면 그 일기로 인하여 걱정을 듣는게 싫단다. 아무리 선생님이 일기를 읽지 않고 검사 도장을 찍는다고 말은 하지만 내가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으면 요즈음 내가 겪는 변화가 궁금해서라도 선생님은 내 일기를 읽지 않겠느냐는 아이의 주장이 일견은 일리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보여주기 위한 일기(혼나지 않기위한 숙제용 일기)에 아이들이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풀어 놓지 않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그런 일기가 아이들에게 무슨 도움이 될까 생각을 한다. 또 하나 내 아이가 일기쓰기에 있어 불만을 갖는것이 있다. 나름대로 자기만의 색깔을 가지고 일기를 쓰고 있는데 자기가 원하지도 않는 주제의 일기를 쓰길 강요하는게 너무나도 싫단다. 그건 과제지 일기가 아니라는 주장을 내 아이는 펼친다. 학교에서 과연 일기장 검사를 꼭 해야하는지 의문이다. 그리고 그것으로 인하여 상을 준다는 것은 더 우스운 일이라는 생각이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