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티스
타리에이 베소스 지음, 정윤희 옮김 / 살림Friends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마티스는 서른일곱 살 남자다. 몸은 성인이지만 지적 장애로 인하여 그의 내면은 어린아이다. 그런 그를 돌보아야하는 것은 마흔 살의 누나 헤게다.

누나 헤게는 마티스에게 끊임없이 일자리를 찾으라고 종용을 한다. 마티스의 상태를 알고 있는 헤게가 마티스를 밖으로 내몰고 마티스를 무엇인가 하라고 자꾸 압박하는 것은 마티스에게 돈을 벌길 바란다는 것보다 인간으로서 놀고만 살수는 없으니까 자신이 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아보라는 말일 것이다.

누나에게 내몰려 밖으로 나와 일자리를 찾아보지만 그에게 일자리를 주는 사람은 거의 없다. 설혹 일자리를 주는 사람이 있다고 해도 마티스에게 주어진 일을 보통의 사람들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결과에 주인도 마티스도 실망을 한다. 마티스에게 ‘한 번의 도전은 한 번의 실패’를 의미한다. 장애를 가지고 있으므로 실패에 무심할 수 있으면 차라리 좋으련만 불행히도 마티스는 자신이 남들보다 뒤쳐진다는 것을 알고 있다. 남들과 똑같이 하고 싶은데 안 된다는 것, 결과를 보고 사람들은 자신에게 손가락질을 한다는 것을 마티스는 안다. 그래서 기가 죽고 누나에게도 면목이 없다. 

어떤 일에 대한 시도가 실패로 끝나는 일이 거듭되자 마티스는 무언가 시도하는 게 겁이 난다. 틀릴까봐, 제대로 하지 못할까봐 두려워하면서 누나에 대한 미안하다. 마티스의 심정이 어떻든 헤게는 그 나름대로 입장에 의거 마티스가 세상에 나가도록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마티스는 익숙한 사람, 익숙한 세상을 향을 바탕으로 무언가를 시도하는 게 아니라 사람들이 자신에 대한 고정관념이 무서워 자신에 대하여 자신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만 찾고 세상을 향하여 나가는 게 겁이 나 죽을 것만 같다.

사람들의 시선이 두려운 마티스는 상대적으로 주변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민감하게 반응을 한다. 그리고 주변에서 일어나는 작은 변화 하나하나에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하는데 그 의미부여가 평범한 사람들의 사고 같지 않고 철저하게 자기중심적 사고며 다른 사람들이 보기엔 불필요한 일에 대한 집착처럼 보인다. 멧도요새에 대한 일이나 벼락 맞은 포플러나무에 대한 이야기가 그 증거다.

마티스와 헤게 나무로 불렸던 포플러 나무 중 한그루가 벼락에 맞자 마티스는 전전 긍긍한다. 혹시 벼락 맞은 나무가 마티스라고 불리는 나무가 아닐까 불안하다. 불안함에 근거로 없이 벼락 맞은 나무가 헤게의 나무로 치부하면서도 누나가 자기만 두고 죽지 않을까 겁도 난다. 마티스가 정규 호수의 정규 뱃사공으로 일을 나갔다가 자신의 첫 손님이자 마지막 손님인 벌목꾼을 데리고 집에 왔는데 그 벌목꾼이 자신의 집에 머물면서 누나는 늦은 나이지만 이성에 눈을 뜨게 된다. 누나의 변화에 불안을 느낀 마티스는 누나가 자신을 버릴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휩싸이게 된다. 벌목꾼이 누나를 빼앗아 갈지도 모르겠다. 누나로부터 버림 받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떨고 있는 마티스에게 누나와 벌목꾼이 가족으로서 함께 살아가고자 보여주는 작은 시도들이 먹힐 리가 없다. 벌목꾼이 자신에게 어떻게 대하든 그는 이미 누나를 자기로부터 빼앗아 갈 사람일뿐이다. 벌목꾼으로부터 누나를 되찾아 올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 마티스는 결국 헤게의 인생에서 자신이 빠져주는 것만이 자기가 할 일이라는 것을 알고 호수로 낡은 배를 몰고 나가는 것을 보면서 마음이 많이 아렸다. 또 독버섯 사건 이후의 그의 행동과 사고를 볼 때 조금만 더 노력하면 평범한 사람들과 아주 똑같지는 않지만 이전과는 다른 사람을 셋이 함께 영위할 수도 있을 것 같았는데 마티스의 선택에 아쉬움이 많이 남았다.

3인칭 시점으로 쓰여 진 이 작품은 사사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끌어가기보다는 섬세한 내면 묘사로 작품을 끌고 가고 있어 묘사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겐 일기가 그리 쉽지만은 않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내 머릿속에 마티스는 착하고 여리고 고뇌하는 모습이다. 마티스의 모습을 잘 그리고 있는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