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가 날아든다 푸른도서관 32
강정규 지음 / 푸른책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정규씨의 작품을 도서관에서 몇 번 빌린 적은 있지만 강정규씨의 작품을 읽은 것은 처음이다. 그의 작품을 처음 읽어 본 독자로의 첫 느낌은 ‘낯섦’이었다. 고향이야기, 분단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은 알겠는데 독자 대상이 무척이나 궁금하게 한 책이었다. 인터넷 서점에서 보니 작품은 청소년을 독자 대상으로 잡고 있었다. 청소년이라고 다 같은 독서의 폭과 깊이를 가진 것은 인정 할지라도 과연 이것이 청소년을 독자 대상으로 하는 작품일까 잠시 고민해 본다.  

<새가 날아든다.>는 3부로 구성이 되어 있고 총 7작품이 있다.  

‘구리반지’는 사회적으로는 성공을 거두었지만 분단으로 인하여 헤어질 수밖에 없었던 아내에 대한 그리움을 낡은 구리반지를 통하여 전하고 있다. 삼거리 ‘삼거리 국밥집’ 또한 열병으로 앓는 자식의 약을 구하러 왔다가 분단으로 인하여 고향집에 돌아가지 못해 자식과 생이별을 한 후 국밥집 식모살이를 거쳐 국밥집 주인이 되어 몸이 성치 못한 춘자씨를 양딸로 받아들이고 유기견을 거두면서 사는 양순씨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내가 몸이 성치 않은 춘자를 거두듯 누군가 자신의 몸이 성치 않는 자식을 거두어 주길 바라는’ 간절함이 배어 있는 작품이다. ‘다배 이야기’를 보면서는 늙고 병든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다니구치 지로의 <개를 기르다>를 잠시 떠올린다. 둘 다 늙고 병든 것에 대한 이야기를 있는데 두 작가가 풀어가는 방식과 전달하려는 것이 참 다르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새가 날아든다’를 보면서는 모 TV 방송 프로그램 ‘세상에 이런 일이’에나 나올 법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딸의 해산관을 위해 집 떠난 후에 홀로 남을 남편을 위해 여러 가지 것을 준비하면서 두 노인이 주고받는 대화는 한 폭의 그림 같다. 빨래 줄에 널어놓은 조끼에 딱새가 알을 낳고 부화하기까지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그것을 바라보는 눈이 순수하고 아름답다. 그러나 손주, 꿩알, 딱새가 새끼 까는 일을 통하여 생명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은 자연스럽지 않다. ‘낮달’은 순덕이네가 이사를 오면서 이야기가 전개 된다. 이 작품에서는 화자는 병약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지만 순덕이를 통하여 느껴지는 것은 강인함이다. 가진 것은 없어도 그는 마음은 따듯함으로 가득했고 자기 의지가 강한 사람이었다. 화자보다 두세 살 많고 사춘기에 화자보다 일찍 접어든 순덕과 화자의 의사 놀이, 순덕이가 보이는 성에 대한 관심이 우습기도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순수함에 미소 짓게 한다. 그러나 전쟁은 사람들의 인생을 비틀어놓는다. 고모나 순덕이의 죽음은 피어보지도 못한 꽃이고 아픔일 뿐이다.

‘뿔떼와 금테’라는 작품은 작가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알 수 없었고 ‘소통’은 작가가 하고 싶어 하는 이야기는 분명하지만 사람들을 윽박지르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작가가 사용하고 있는 어휘도 조금은 어렵다는 느낌이 드는 작품이었다.

작품 전제를 관통하는 것은 고향과 전쟁이다. 작가의 말에서 보면 작품 속의 ‘고향은 단순히 잃어버린 것에 대한 향수가 아니라 회복 되어야 할 우리네 인간의 본향을 의미’한다고 한다. 적가가 전쟁을 이야기하고 가족을 이야기하는 것은 겪어 본 자, 잃어 본 자의 절규일지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전쟁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삶이 얼마나 굴절되는지 잘 알고 가족을 잃어 본 자가 가지는 슬픔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작가는 더 가족의 소중함에 집착을 할 수밖에 없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