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조선을 그리다 푸른도서관 31
박지숙 지음 / 푸른책들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펼쳐 처음 읽는데 어딘가 서 읽은 기억이 난다. 어디지? 인터넷 검색을 시작했다.  

<김홍도, 무동을 그리다.>에서 읽었구나. 그땐 동화집 속의 중편 형태로 봤던 것 같은데 이제 단행본으로 나오면서 ‘제목이 약간 바뀌었네!’ 생각하면서 작품의 앞뒤를 살펴보니 김홍도의 그림과 삶을 연작형태로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김홍도, 무동을 그리다>의 내용은 생각이 나지 않지만 그 작품을 읽었을 때의 상황(그때 큰아이가 일본어 자격검정 시험을 볼 때 아이를 기다리며 겨울의 어느 날 추운 운동장에서 걸으며 책을 읽었었다.) 과 작품이 썩 괜찮은 느낌만은 기억을 하고 있다.

<김홍도 조선을 그리다>는 총 다섯 작품 연작 형태로 하나의 작품집을 꾸미고 있다.

‘김홍도 무동을 그리다.’에서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칭찬도 받고 있으며 자기 그림에 대하여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데 김홍도에게 ‘헌 그림이나 그리고 있다, 껍데기다.’라는 광대 아이의 놀림을 받고 광대 주베에 함부로 입놀림을 한다고 책하면서도 그 아이가 왜 그런 말을 할까 곱씹어 생각하는 김홍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천지개벽 서당에서’는 조선이라는 시대가 품고 있는 신분이라는 것에 대하여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천지개벽 서당은 뜻있는 사람들의 호응을 얻어 드물게 평민에게도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곳이었다. 양반과 평민이 한자리에서 공부를 하면서도 보이지 않는 경계는 존재했었다. 중인 신분인 홍도는 양반과 평민사이 어디에도 끼지 못하는 어정쩡한 신분적 위치였고 잠시 머물다 갈 곳 정도로 여겼기에 생활태도 또한 어정쩡했다. 그러나 과거 노비였지만 속량되어 평민이 된 차돌이의 행동을 보면서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게 된다. 적당히 주변의 눈치나 보던 김홍도가 자기 판단으로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고 책임을 질줄 아는 모습으로 거듭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깨비 놀음’에서는 경현당 수작도를 그리게 되었을 때 이야기다. 함께 그림을 그릴 사람을 도화서에서 추천을 했는데 김홍도는 그들이 맘에 들지 않았다. 화원들의 단점을 들어가면서 부족한 실력을 가진 사람들과는 함께 그림을 그릴 수 없다며 내쳤다. 차라리 혼자 모든 것을 하는 게 낫겠다고 생각했다. 사람들을 믿지 못했기에 누구에게도 도움을 청할 줄 몰랐다. 때문에 혼자 바빴다. 내쳐진 동료들은 욱하는 마음에 홍도를 해코지 하려했다. 그러나 김홍도에게 그림을 구걸하다 거절과 업신여김을 당하던 노파는 필사적으로 홍도를 감싸며 보호하려했다. 노파에게 홍도는 큰일을 할 사람이었고, 자신의 손녀를 구할 수 있는 능력자였다. 때문에 그가 다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노파의 행동을 보면서 자기가 정말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가치 있는 인간일까 고민하게 된다. 

‘느티나무가 있는 풍경’은 연풍현감으로 홍도가 가게 되었을 때의 이야기다. 오랜 가뭄으로 인하여 살림살이가 곤궁해져 일상적인 삶조차 영위하지 못하는 백성들을 빤히 보면서도 그들을 도울 수 없는 무기력한 자신을 내려다보아야만 하는 아픈 현실 앞에서 목민관으로서의 심정을 잘 드러내고 있고 다른 사람의 곤란함을 이용하여 제 뱃속을 채우려는 양반들의 이기적인 술수를 뻔히 보면서도 어찌 할 수 없는 현실에 애만 끓이는 인간적인 고뇌를 볼 수 있다.  

 

‘아버지와 함께하는 길’은 김홍도가 늙어 병마와 싸우면서도 아들의 월사금 마련을 하기위하여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아들의 시선으로 그리고 있다. 세 번이나 어진을 그렸고 천재화가라고 불렸던 화가가 모아 논 돈 한 푼 없이 늘그막에 병마와 싸우면서 아들의 월사금을 위하여 그림을 그려야한다는 현실이 슬펐다. 자신의 재능을 권력이나 부를 모으는데 쓰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그의 예술관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책을 덮으면서 작가가 구현하고 싶었던 김홍도는 ‘지극히 평범한 인간 김홍도’였는지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남들이 그림을 잘 그린다고 하면 우쭐하고 자신의 재능을 믿고 남을 업신여기는 모습도 작품에서는 분명 보인다. 그는 분명 그림에 대한 천부적인 재능을 가진 사람이지만 단점도 많은 인간이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흐르는 것은 김홍도는 자기반성을 게을리 하지 않는 인간이다. 스스로를 돌보고 같은 실수를 두 번하지 않는 사람이었다. 자신이 받은 달란트의 결과물이 누군가의 창고에서 누군가의 재산을 늘리는 수단이 아닌 모두에게 위안이 될 그런 것이 되길 바랐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은 김홍도의 그림을 통하여 그의 마음을 읽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