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로 이야기 1 - 세 어머니
시모무라 고진 지음, 김욱 옮김 / 양철북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로는 아주 아기일 때부터 학교 들어가지 전까지 유모 오하마에게 맡겨져 키워졌다.

오하마의 집에 사는 동안 지로는 오하마의 다른 자식과 다르지 않았다. 오하마에게는 지로 역시 자식일 뿐이었다. 오하마의 집에서 지로는 정말 행복했다. 그러나 그 행복한 삶도 학교에 들어가게 되면서 본가로 들어가면서 변하게 되었다.  


한 물체를 어떤 각도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보이는 모습은 전혀 다르다. 지로는 유모 오하마의 집에서 오랫동안 살아왔고 거기서 길러진 습성대로 사물을 인식하고 받아들이고 있었다. 지로는 본가의 사람들이 자신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엄마 오타미는 생모인 자신보다 유모인 오하마 만을 그리워하는 지로를 이해하지 못했고 자기 페이스대로 지로를 끌고 가려했다. 거기에 지로에 대한 배려는 없었다. 형제들은 데면데면하고 할머니는 다른 형제들만 감싸고돌며 지로에게 비난의 말만 쏟아냈다. 엄마가 죽자 지로를 위하여 외할아버지가 세심하게 짠 새엄마 프로젝트는 할아버지의 뜻대로 되지 않았다. 자기 생각은 없는 사람마냥 할머니 뜻을 너무나도 충실히 따르는 사람이었다. 가족들 사이에서 늘 지로는 외로웠고 상처를 받았던 것이다.  


상처받고 힘들어 하는 지로가 살아갈 수 있게 한 것은 아버지였고 마사키 가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아버지는 지로가 옮겨 심어진 생명이라는 것을 이해했고 어떻게 다루어야하는지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지로가 본가 왔을 때 아버지는 일주일에 한 번씩 집에 올수 있을 뿐이었다. 아버지가 없는 동안 지로는 힘들고 외로운 시간을 보내야한다는 것을 외할아버지 마시키는 간파했다. 외할아버지는 지로에게 많은 시간을 외가에서 보낼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 주었다. 외할아버지 댁에서 지로는 웃는 시간이 많았다. 그러나 지로의 내부에는 자기는 마사키 가의 사람이 아니라 혼다 가의 사람이라는 생각이 언제나 자리하고 있었다. 혼다 가에서는 자기는 사랑받지 못하는 존재라는 사실을 지로는 한시도 잊을 수 없었다. ‘착하게 굴면 사랑해 줄 거야.’ 지로도 다른 형제들처럼 사랑받고 싶었다. 그래서 지로는 착한 가면을 쓰고 행동을 했다. 
 

 

지로가 가정에서 받은 상처만 생각한다면 문제아로 자랄 요건은 다분하다. 그러나 지로가 중학교에 입학 할 때까지 지로는 크게 엇나가지 않고 비교적 잘 자라주었다. 지로가 정상적으로 자랄 수 있게 되기까지는 단순하게 한 가지 요인만으로 말을 할 수는 없다. 어린 시절(오하마의 집에서)의 행복한 기억,  아버지와 마시키 가의 사람들, 오마키의 운페이 노인의 따뜻한 보살핌은 지로가 받은 상처를 어느 정도는 치유 할 수 있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그것만이 오늘의 지로를 만들었다고는 보이지 않는다.

지로는 본능적인 감각이 살아있는 아이다. 그는 주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남들보다 더 빨리 알아채고 자신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빠른 판단을 내린다. 자신의 행동을 늘 돌아보고 잘못한 것을 깨달으면 즉시 수정 할 줄 아는 아이다. 같은 실수를 두 번 하지 않는 아이이기도 하다. 남의 이야기를 듣는 귀를 가졌고 판단해서 수용 할 줄 아는 아이다. 자신을 지극히 사랑하는 아이고 멀리 보는 눈을 가진 아이다.

책을 덮으면서 나는 지로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을 보면서 내 아이들은 어떤 아이들인지 생각해본다. 나의 행동들을 돌아보면서 내가 어떤 어른으로 내 아이와 주변의 아이들을 바라보고 이해하고 도와주어야 할지 생각하게 되었다. 많은 쪽수의 책임에도 불구하고 읽는 내내 행복했고 따뜻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