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책마을을 가다 - 사랑하는 이와 함께 걷고 싶은 동네
정진국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은 지식의 보고’라는 말이 있다.

인터넷이 발달하여 많은 정보를 키보드 몇 번 두드리는 수고로 많은 원하는 정보를 얻는 시대에 살고 있다. 때문에 책을 읽는 수고로움보다는 웹 서핑을 통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물론 인터넷에 정보는 많다. 그러나 인터넷에 있는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가 책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책보다는 먼저 인터넷에 의존하여 정보를 얻으려 한다. 인터넷이 가지는 많은 장점을 인정한다. 또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으로 필요한 정보를 얻는 현실도 인정을 한다. 그렇지만 많은 정보들이 실시간으로 인터넷 상에 축척되듯 누군가에 의하여 오늘도 윤전기는 돌고 있다. 책은 책으로서의 장점이 있고, 인터넷은 인터넷만이 가지는 장점이 분명히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얼핏 보면 책이 인터넷에 밀리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주변에서 작은 서점들은 사라지고 있고 설혹 있다고 하다라도 일반인들을 위한 서점이라기보다는 학생만을 위한 학습서의 중간 집합소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요즈음의 현실이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 때 행복하다. 책을 읽어가면서 내가 젤 먼저 느꼈던 것은 ‘책 마을을 여행하는 동안 정말 행복했겠구나.’ 하는 것이었다. 프랑스, 독일, 영국, 동유럽국가의 책 마을을 찾아가기까지가 쉽고 편안하지만은 않았다고 저자는 말을 하고 있다. 축제는 분명 연다고 하면서 외부에서 오는 사람은 고려되지 않은 교통편을 보면서 그네들이 생각하는 문화 축제와 우리가 생각하는 문화 축제의 개념이 다른 것 같았다. 그들은 누구에게 보이는 축제가 아니라 그들을 위한 그들의 축제, 그들 자신이 주인인 동시에 손님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들에게 축제는 삶의 일부분이었다. 그들의 삶속에는 여유와 향기가 느껴졌다. 그 사람의 태도는 문화적인 자부심으로 저자에게 다가왔음을 볼 수 있었다. 우연히 나와 같은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면 그 사람이 그렇게 반가울 수 없다. 비록 처음 보는 사람일지라도 말이다. 그런 사람들과 만나면 몇 시간일지라도 지루하지가 않다. 저자가 만났던 많은 사람들이 그랬다. 그들과의 만남은 행복이었다.

물론 여행을 하는 동안 저자는 행복했다. 그러나 마냥 행복하지만은 않았다. 다른 나라 문화 속에서 그들의 전통문화와 아름다움이 드러나면 드러날수록 우리의 현실이 더 아프게 다가왔다. 낯선 책 마을에서 우리나라를 만나고 나를 만났을 때의  짜릿함. 반가움......  모르던 우리의 역사를 만났을 때는 흥분이 되었다. 오욕의 우리 역사를 마주 할 때는 부끄럽고 당혹스러웠다. 왜곡 된 역사를 만났을 때는 이게 아니라고 설명을 해 주고 싶었다. 반만년의 역사를 가졌다고 말을 하면서도 그것이 온전히 지켜지지 못한 현실은 수치심을 넘어선 아픔이었다.
<유럽의 책 마을을 간다>를 읽기 전에는 단순히 좋아하는 사람의 책 여행기라고 생각했다. 편안하게 읽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책을 읽는 동안 자세를 바투 앉아야만 했다. 책은 단순한 여행기라기보다 문화 전반에 대한 성찰의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국내에 앉아서 우리 문화를 논하고 우리의 현실을 한탄하는 책이 아니라 저들의 문화와 삶을 통하여 나갈 바를 모색하기 위한 진지한 노력이 있는 책이었다. 후에 정진국이라는 사람이 만들어 내는 향기는 어떤 것일까 기대를 해 본다.

-------------------------- 리더스 가이드 이벤트 도서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