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깔 전쟁 시소 18
야엘 아쌍 지음, 윤미연 옮김 / 시소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가끔은 우리가 누리는 것에 눈을 두어볼 필요가 있다.

늘 거기 있는 것, 그것에 특별히 눈을 두어 본적도 없었고 그것이 내게 어떤 의미인지 생각 해 본 적도 없다. 그것이 언제부터 거기에 있었고 언제까지 그곳에 있을 것인지 궁금해 본 적이 없었다. 그것은 처음부터 그렇게 존재하는 것뿐이었다. 공기가 그랬고, 물이 그랬고, 햇볕이 그랬다. 부모가 그랬고, 자유 또한 그랬다. 그것은 언제나 거기 있었다. 그래서 그것들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적이 없었다. 당연히 그것들은 거기 존재할 줄 알았다. 그리고 그것을 누리는 것은 당연한 줄 알았다. 그러다가 어떤 문제가 발생하여 이제까지 우리 주변에 늘 있어왔고 우리가 항상 누리던 것을 더 이상 누릴 수 없을 때야 비로소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것들에 관심을 두기 시작한다.

막스가 사는 사회에서는 학생들을 색깔교복으로 등급을 구분한다. 현재 막스가 입고 있는 갈색 교복은 막스가 사는 사회에서 그리 내세울만한 등급이 아니다. 막스가 전에 입었던 빨간색 교복만 해도 나름대로 자부심을 가질만한 등급의 옷 색깔이었다. 등급이 좋은 색깔의 교복을 입은 사람들은 자신보다 등급이 낮은 색깔 등급의 옷을 입은 사람의 명령에 복종을 해야만 한다. 과거 빨간색 교복을 입었을 때의 막스는 자신보다 낮은 등급의 색깔 교복을 입은 사람들에게 함부로 대하는 같은 등급의 아이들을 보면 눈살을 찌푸렸었고 자신보다 등급이 낳은 등급의 색깔 옷을 입은 아이들에게 유세를 부려 본 기억은 없다. 단 한 번도 옷 색깔로 인간의 등급을 매긴다는 사실에 대하여 깊이 생각해 보지 않았다. 빨간 교복을 입었을 때의 막스나 갈색 교복을 입었을 때의 막스는 근본적으로 다른 사람이 아니다. 단지 교복의 색깔이 바뀌었을 뿐인데 사람들의 시선은 너무나 다르다. 지금 빨간 색의 교복을 입고 있고 있거나 과거 막스가 빨간색 교복을 입었을 때의 친구는 막스를 하찮게 대한다. 현재 갈색 교복을 입은 아이들 또한 과거에 빨간색 교복을 입었던 막스를 백안시 한다. 사람들의 시선쯤은 힘들지만 참을 수 있다. 갈색 교복을 입은 채 고등학교를 졸업한다면 직업을 얻는 데는 무리가 없다. 그러나 막스는 대학을 가고 싶다. 대학을 졸업하고 엔지니어가 되고 싶다. 갈색 교복을 입은 채 졸업한다면 대학을 진학 할 수가 없다. 반드시 빨간색 등급으로 올라가야만 한다.

빨간 교복을 입었던 막스가 갈색 교복을 입기까지 막스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그 출발은 이웃집 골동품가게 펠릭스 할아버지가 도움을 청하던 날부터 이야기는 시작 된다. 막스가 사는 사회에서는 남에게 도움을 요청해서는 안 된다. 스스로의 일은 스스로 처리해야 하며 부모 자식 간이래도 신체적 접촉을 통한 애정을 표시해서도 안 되었다. 사람들의 생각을 자유스럽게 표현 할 수도 없었다. 그런 시회적인 분위기 속에서 펠릭스 할아버지는 조심스럽게 막스에게 소포로 온 물건을 좀 옮겨 줄 수 없느냐는 부탁을 한다. 펠릭스 할아버지의 부탁을 기점으로 막스는 정부가 금지하고 있는 책, 다큐멘터리, 영화 등을 보게 된다. 막스는 자기 속한 이전의 세계에 대하여 알게 되었다. 그리고 지금 체제의 문제점을 알게 되었다. 막스가 엄마 몰래 새로운 지식에 탐닉하는 동안 막스는 늘 피곤해 절어있었고 성적은 곤두박질 쳤다. 막스를 미행한 막스의 엄마가 이성을 잃어 소리치고 누군가 당국에 신고를 해 펠릭스는 당국에 체포 된다. 그리고 막스도 체포되어 조사를 받았다. 이로 인하여 막스는 엄마를 믿지 않는다. 과거 친구였던 아이들도 막스를 경계하고 같은 교복을 입은 친구들 사이에서도 따돌림을 당하는 막스의 학교생활은 만만치 않다. 교장인 푸아사르는 건건이 막스를 괴롭힌다. 수시로 감시자의 눈길을 느낀다. 아무도 믿을 수 없다.

당국에서 통제와 감시를 한다고 하지만 모든 사람의 자유를 향한 열망은 억누를 수 없다. 자유를 열망하는 사람들은 지하에 숨어들었다. 펠릭스도 그런 사람들의 중 하나였고 펠리스 아빠도 그런 사람들 중의 하나였다. 그동안 막스가 펠릭스네 집에서  읽은 책, 본 다큐멘터리와 영화는 자유를 열망하는 사람들이 지키고 싶어 하는 소중한 문화적, 지적 자산이었다. 막스는 통제와 감시 속에서도 은밀하게 자유를 열망하는 사람들의 작은 움직임들을 보게 되었다. 지금 사회가 제대로 된 사회가 아니라는 것을 막스는 알고 있다. 그리고 펠릭스를 통하여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자유롭게 표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런 세상을 위하여 막스 또한 지하조직의 일원이 된다. 우리가 누리는 모든 것은 누군가 땀 흘려 이룩해 놓은 결과임을 막스는 알고 있다. 누군가는 목숨을 걸고 애써 획득한 것이지만 제대로 쓰고 제대로 지키지 않으면 그 누군가의 목숨과 땀은 의미가 없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