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먹 곰을 지켜라 웅진책마을 53
김남중 지음, 김중석 그림 / 우리교육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강수의 삼촌 김명석은 군대시절 자신이 발견한 주먹곰에게 관심이 많다. 그래서 독자적으로 연구를 해 왔었다. 사회에 나와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하여 자연의 친구들이란 회사에 들어갔다. 그리고 주먹곰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자연의 친구들은 주먹곰에 관심을 갖게 된다. 회사는 방송사를 등에 업고 물량 공세를 펴가면서 주먹곰을 잡기에 혈안이 되어 있다. 주먹곰 샘플 채취를 위한 출장에 강수와 우림이 따라가면서 이야기는 시작이 되고 있다.

주먹곰은 한국전쟁을 지나면서 환경적 변이의 과정을 거친 반달곰의 후예라는 데서 이야기는 출발을 한다. 커다란 덩치였던 반달곰으로 살던 때는 호랑이 다음가는 맹수로 적이 별로 없었지만 주먹곰으로 변종이 된 상황은 많은 적들의 위험에 그대로 노출이 된 상황이다. 어미 반달곰이 작아진 자식들을 바라보며 슬퍼하는 모습만을 보고 자란 주먹곰들, 살아남기 위하여 벌려야만 했던 치열한 삶에 눈물이 난다.

<주먹곰을 지켜라>를 보면서 내내 떠오른 것은 프랑수와 플라스의 그림책 <마지막 거인>이 었다. 희귀한 무엇이 존재하는 소문을 들었을 때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은 거의 비슷하다.   귀하니까 선점을 하면 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언론이든 학계든 기업이든 정부든 말로는 귀하니까 연구하고, 보호하고, 번식하고........ 온갖 말로서 포장을 하지만 그들이 생각하는 궁극의 것은 돈이다. <주먹곰을 지켜라>에 나오는 자연의 친구, 방송국 오피디 이들이 찾고 있는 주먹곰은 단순히 곰이 아니라 돈이고 승진이다. 돈과 승진을 위하여는 그들은 무슨 일이든 할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들이다. 결국 주먹곰을 놓고 이전투구의 모습을 보인다. 이에 강수와 우림이와 김명석은 주먹곰을 빼돌려 꼭지산에 숨겨두지만 언제까지나 꼭지산에 숨겨만 둘 수는 없다. 개발이라는 논리로 꼭지산도 이미 자연의 친구들이 눈독을 들였었고 정부는 개발책을 이미 발표한 상태다. 방송국의 오 피디와 김명석은 결국 방송을 이용하여 주먹곰을 지키고자 한다. 주먹곰이 살수 있는 공간 확보를 위하여 방송을 통한 캠페인을 열어 결국 꼭지산을 영구자연림으로 만들었고 거기서 주먹곰은 새끼를 낳는 것으로 이야기는 마무리가 되고 있다.

동물학자 최재천 씨는

"자연에게 길은 곧 죽음입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저 검푸른 열대 곳곳에 휑하니 길을 뚫고 있습니다. 그 길을 따라 저 깊은 숲 속에서 수백 년 동안 행복하게 잘 살던 거대한 나무들이 실려 나옵니다. 나무들이 사라진 벌거벗은 대지에는 더 이상 동물들이 살지 못합니다. 길은 우리 인간이 자연의 가슴에 내리꽂는 비수입니다."는 말을 하고 있다.

우리 인간들이 어떤 논리를 펴든 자연에게 인간은 최대의 적이다. 인간이 자연을 이용만 함으로써 요즈음에는 '환경의 역습'리란 말까지 할 정도로 자연으로부터 많은 피해를 입는다. 자연은 우리가 이용 할 대상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 그 자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때다. 인간도 결국 자연의 한 부분이므로 자연과 동화되는 삶을 살아가는 방법들에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할 때라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