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최고의 영화로는 주저없이 '밀양'을 꼽겠지만 조금 늦게 찾아본 이 영화 또한 그에 버금갈 정도로 내 마음에 들었다. 1984년 동독이라는 배경에 처음엔 정치적 암투를 그린 시대물인가 했는데 영화는 인간과 사랑에 관한 이야기였다. 이 영화를 세 명의 주인공에 관한 세 가지 성찰로 읽어보았다.
#1
비즐러 (울리쉬 뮤흐 분)
그는 극작가인 드라이만과 그의 연인인 연극배우 크리스타를 도청, 감시하게 된 비밀경찰이다. 국가와 당의 신념에 따라서만 움직이던 냉혈인간 비즐러는 예술가 커플인 드라이만과 크리스타의 사생활을 엿듣게 되면서 지금껏 알지 못했던 새로운 세계와 감정을 체험하게 된다. 애초의 목적과는 달리 비즐러는 국가의 감시를 피해 비밀리에 작품을 쓰는 드라이만과, 불안정한 생활 속에서도 연극에의 꿈을 버리지 못한 채 방황하는 크리스타에게 인간애를 느끼게 된다. 결국 그는 거짓된 도청기록을 써가게 되고 그들을 지켜준 댓가로 본래의 직책을 잃게 된다.
기억하기로, 이 영화에서 비즐러는 한번도 웃지 않는다. '피아니스트'의 에리카(이자벨 위뻬르 분)의 서늘했던 무표정을 상기시키는, 차디찬 대리석 같은 얼굴이다. 그에게는 가족도, 연인도 없으며 그가 나누는 대화란 취조자들을 상대로 한 심문 뿐이다. 하지만 그것은 그에게 주어진 삶이었을 뿐, 그가 선택한 삶은 아니었다. 자유롭고 열정적인 드라이만과 크리스타를 보며 비즐러는 불현듯 위협을 느끼게 되고 그들이야말로 세밀한 감시가 필요한 대상임을 직감한다. 그러나 이들의 삶을 지켜보던 가운데 비즐러는 점점 다른 인간으로 변모해간다. 급기야는 자살한 친구를 애도하는 드라이만의 피아노 연주에 눈물을 흘리고 만다. "레닌은 열정 소나타를 좋아했어. 그리고 말했지. 내가 그것을 계속 들었더라면 혁명을 완수하지 못했을 거라고." 드라이만의 말처럼 자유와 예술이 주는 감동과 희열에 한번 눈 뜬 사람은 그 이전의 세계로 돌아가기 힘들다. 비즐러도 마찬가지. 베를린 장벽이 붕괴하는 그 순간, 비즐러의 마음의 벽도 함께 무너졌던 것이다. 그는 고수해왔던 가치를 포기함으로서 새롭게 구원을 받았다.
#2
드라이만 (세바스티안 코치 분)
동독 정부가 주시하고 있는 극작가로서 자신의 신념과 생활의 안위, 동료와의 의리와 집필에의 욕구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재능이 탁월한 예술가이면서 정열적이고 사려깊은 연인이기도 하다. 비밀경찰의 눈을 피해 동독의 비극적 자살에 대한 에세이를 슈피겔지에 기고하는 등, 예술을 통해 자신의 신념을 실현시키고 정부의 비인간적 처사를 서방세계에 알리고 싶어한다. 이런 모든 과정은 비즐러의 도청 아래 이루어지지만 비즐러는 이 모든 사실을 고의적으로 눈감아준다. 그러나 정부의 고위급 간부와 스캔들에 휘말리게 되어 어려움에 봉착한 상황에서도 연극에 대한 열정을 버릴 수 없었던 크리스타의 밀고로 체포 위기에 놓이게 된다. 내막을 파악한 비즐러는 결정적 증거물인 타자기를 재빨리 감추고 드라이만은 가까스로 위기에서 벗어나지만 죄책감을 견디지 못했던 크리스타를 잃고 만다. 그는 타자기를 인멸한 사람이 크리스타라고 믿지만 통일 독일 이후 수년이 흐른 뒤에 자신을 도와준 사람이 비즐러였음을 알게 된다.
그는 지성과 감성을 두루 갖춘 예술가의 전형적 인상을 보여준다. 급진적인 성향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신념을 관철시키기 위해 뜻 맞는 동료들과 힘을 모아 신중하게 움직인다. 한편으론 견고한 시대의 장벽 앞에서 사랑하는 연인의 굴욕을 씻어주지도, 배우로서 겪어야 하는 내적 갈등을 치유해 줄 수도 없는, 무력한 지식인의 일면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드라이만과 크리스타의 사랑은 영혼과 육체의 완벽한 이중주를 보여주는 가장 전형적인 예술가적 사랑으로 읽혔다. 드라이만은 정치적 신념을 지키기 위해 크리스타를 경계하고, 크리스타는 배우로서의 정체성을 사수하기 위해 드라이만을 배신하지만, 이러한 비극 앞에서 책임의 소재라든가, 가해자와 피해자를 나누는 등의 판단은 부질없다. 드라이만과 크리스타는 답답한 시대상황 속에서도 전인적 사랑을 나누는 용기를 보여주었을 뿐 아니라, 이들의 뜨거운 사랑은 비즐러라는 냉혈한을 구원했다.
#3
크리스타 (마티나 게덱 분)
동독 연극계의 히로인이자 드라이만의 연인이다. 그 시대의 여인이라기엔 도드라질만큼 화려하고 정열적이다. 드라이만의 정치적, 작가적 행로를 존중하고 지지하며 그의 든든한 동반자가 되어주지만 배우로서의 재능에 대해 스스로 확신이 없고 약물에 의지해 살아가는 나약한 일면을 감추고 있다. 정부의 간부의 눈에 띄어 수치스런 스캔들에 휘말리게 되는데, 배우로서의 생명이 끊기게 될 것에 대한 두려움과 드라이만에 대한 신의 사이에서 갈등하고 괴로워한다. 동독 정부는 트리스타의 이러한 약점을 이용, 증거물이 있는 장소를 알아내어 드라이만을 체포하려 하지만 비즐러의 개입으로 계획은 수포로 돌아가고, 죄책감 때문에 괴로워하던 트리스타는 차에 치여 숨을 거두고 만다.
마치 열정적인 남반구의 여인을 연상시키는 듯 매혹적인 배우였다. 동독의 겨울이라는 칙칙한 배경 속에서 이 여인은 탐스러운 장미처럼 검붉은 빛을 발한다. 트리스타의 아름다움은 비즐러에게는 눈부신 동경으로, 저급한 정부간부에게는 욕망의 대상으로 비춰진다. 그리고 그녀의 자의식은 그녀를 불행하게 만든다. 트리스타는 드라이만의 연인, 권력자의 정부로서만 살 수는 없는 여자였다. 드라이만은 이것을 이해했지만 현실적으로 도울 수 있는 힘이 없었고, 정부간부는 이것을 이해하지도, 이해할 마음 따위도 없지만, 그녀의 직업적 운명을 좌지우지할 힘이 있었다. 결국 드라이만을 배신하는 그녀의 선택은 어느만치 불가피했고, 비즐러는 두 사람 모두를 동정하여 최선을 다하지만 절망에 빠진 그녀를 지킬 수는 없었다. 트리스타는 무책임한 시대와 이기적인 남성들로 인해 쓸쓸히 고통으로 내몰린 비운의 히로인이다.
영화의 라스트 씬은 '시네마 천국' 이래로 최고의 명장면이었다. (스포일러가 될 가능성을 염두하여 자세한 설명은 삼가필) 불필요한 군더더기는 없고 여운은 길다. 비즐러는 이 라스트 씬에서 딱 한번 미세하게나마 밝은 낯빛을 보여준다. 그는 과거의 모든 것을 잃고나서야 비로소 인간이 되었다. 그것은 자발적 상실을 통한 구원인 동시에 난생 처음 스스로에게 선사하는 소중한 선물이었던 셈. 여기, 당신의 삶을 비추어줄 타인의 삶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