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야 도서관 - 세계 오지에 3천 개의 도서관, 백만 권의 희망을 전한 한 사나이 이야기
존 우드 지음, 이명혜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한 남자가 있었다. 세계적인 기업의 중국지사에서 서열 2위의 성공한 30대인 그는 휴가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히말라야 트레킹에 올랐다가 한 학교를 방문한다. 이 곳에서 흙바닥에 바글바글 앉아 공부하는 아이들, 선생님은 책을 좀 가져다달라고 부탁한다. 이 한마디에 그의 인생은 바뀌고 만다. 한편의 다큐멘터를 보는 듯한 책 『히말라야 도서관』.

 

이 책의 주인공 존 우드는 ‘룸투리드’(Room to Read)란 자선단체를 만들어 오지에 세운 학교는 약 200개, 도서관은 3000곳 이상이다.

 

이 재단은 2000년 베트남, 2003년 인도로 확장돼 현재는 라오스 스리랑카 아프리카 등지에 4,000여개의 룸투리드 학교, 도서관, 컴퓨터 교실을 세웠다. 9ㆍ11이나 동남아 쓰나미 사태 당시에도 도서관 짓기는 멈추지 않았다. 책의 표현대로 그것은 “세상 끝의 아이들”을 향한 손길이었다.

 

이 책의 원제목은 ‘세계를 변화시키려 마이크로소프트를 떠나다.’쯤으로 번역할 수 있을 ‘Leaving Microsoft to Change the World’. 룸투리드가 ‘자선사업계의 마이크로소프트’라는 별명을 얻은데서 짐작할 수 있듯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얻은 경영방식과 인적 네트워크를 그대로 적용했기 때문이다.

 

룸투리드(http://www.roomtoread.org)의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니 그들이 어느나라에서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 수 있었다. 그들의 룸투리드는 계속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실 우리나라도 비약적인 경제성장으로 최근에는 많은 나라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한비야라는 여행가이자 작가를 통해 자세히는 모르지만 우리나라도 국제적인 구호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익히 알고 있다.

 

자선기업가라는 단어가 생각난다. 사실 이 책을 읽기전 자선기업가라는 이미지는 나에게 있어 막연히 별로 좋지 않았다. 그냥 돈 있는 사람들이 남을 돕는 시늉이나 할려고 만든 말인줄로만 오해하고 살았던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세계 오지에 도서관을 짓고 희망을 전하는 저자를 보면서 자선사업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룸 투 리드'는 자선을 또 다른 비즈니스의 영역으로 확장한 가장 좋은 사례이며 조금만 힘을 보태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상상도 할 수 없을 것이다. 누구나 할 수 있다고 말을 하지만, 존 우드는 실제로 그렇게 실천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괴짜 심리학 - 생각의 오류를 파헤치는 심리학의 유쾌한 반란
리처드 와이즈먼 지음, 한창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리처드 와이즈먼 (DR. RICHARD WISEMAN) 박사의 글은 『행운의 법칙 (The)Luck factor』이라는 책을 통해 한번 자세히는 아니지만 얼핏 본듯하다. 심리학이라는 학문에 수식어를 잘 붙이는 사람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던것 같다. 앞선 책에서는 '직감의 심리학'이라고 표현하고 있었던것 같다.

 

『괴짜심리학』 이 책을 간단명료하게 소개한다면 통념을 깨고 세상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게 하는 마술 같은 심리학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심리학 교수인 동시에 프로 마술사인 저자 리처드 와이즈먼은 각종 거짓말과 속임수, 미신과 초자연 현상, 암시가 선택에 미치는 영향 등, 주류심리학에서는 다루지 못했던 독특한 주제를 파고드는 괴짜심리학자다. 그는 우리의 상식과 통념을 진지하게 의심하고 그것을 확인하기 위해 기상천외한 실험들을 감행하는 이 엉뚱한 심리학을 ‘괴짜심리학’이라고 부른다.

 

연쇄살인범의 사주팔자를 연구하고, 네 살배기 아이에게 주식투자를 시켜보는가 하면, 세계에서 가장 웃기는 농담을 찾아다니거나 검은 고양이는 정말 재수가 없는지 실험해보기도 하는데 정말 괴짜심리학이라 말할수 있다.

 

이 책에서는 거짓말쟁이는 눈을 피하거나 불안한 행동을 보인다는 속설은 거짓이라는 것을 밝혀낸다. 또한 이 책에서는 미신은 그저 미신에 그치지 않으며 미신에 대한 두려움은 사고와 긴장을 불러일으켰고, 결국 정말로 불행을 몰고 왔다. “미신이 사람을 죽인다.”라고 심리학적으로 밝히고 있다. 또한 이성에게 쉽게 호감을 얻는 방법을 이 책에서는 알려주는데 여행 이야기를 하는 것이 좋고 단체미팅에서 인기 좋은 사람은 예상치 못한 재미있는 질문을 던져 상대방으로 하여금 재미있는 답변을 하게 만든 사람들이 인기가 좋다는 것을 심험을 통해 알려준다.


 

이 책을 읽다 문득 우리나라 사람들의 혈액형과 관련된 일종의 바넘효과가 떠 올랐다. 이 책에서는 별자리를 다루어 설명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혈액형과 관련된 바넘효과의 매너리즘에 빠진듯한 느낌이다.

 

주위의 사람들을 만나면 흔히 혈액형을 묻곤 한다. 특히 조금이라도 친근해진 여성들을 만나면 혈액형이 무슨형이죠?라는 의례적인 질문을 받게 될 때가 많다. 혈액형과 사람성격과의 상관관계. 어떻게 생각해 보변 이런 의문도 괴짜심리학의 일부가 되지 않을까?

 

우리가 흔히 공부를 하다보면 경영학원론,경제학원론,무역학원론등 소위 각 학문의 기초가 되는 원론을 공부하고 더 나아가 세부적인 내용들을 광범위하게 공부한다.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는지 모르겠지만 이 책을 읽는 동안 심리학이라는 원론에 사람들이 갖고 있는 통념들을 진지하게 의심해보고, 진실을 밝히기 위해 기상천외한 실험을 감행하는 괴짜심리학에 매력에 흠뻑 빠져 재미있게 이 책을 통독한것 같다.

 

사실 보통 사람들이 약간은 의아해할수 있는 통념을 파괴하는 실험들을 통해 세상을 새롭게 이해하게 해 준 괴짜 심리학은 참 재미있는 볼거리였다.

 

나를 둘러싼 온갖 가짜들에 현혹되지 않고 진실을 투명하게 볼 수 있는 힘, 굳어버린 편견을 과감히 깨고 세상을 새로운 눈으로 보는 방법, 모두 괴짜심리학의 세계에서는 가능하다. 생각의 오류를 파헤치는 심리학의 유쾌한 반란 괴짜심리학은 훌륭하고 엄첨 웃기고 유머와 통찰력이 넘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행지능
저스틴 멘케스 지음, 강유리 옮김 / 더난출판사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에이본의 CEO 앤드리아 정(Andrea Jung, 鍾彬嫻, pinyin: Zhōng Bīnxián)의 사례를 간략하게 설명하며 '실행지능'을 설명한 책이다.

 

『실행지능』이 책의 저자 멘케스는 '실행지능'(executive intelligence)이라는 개념을 내놓는다.
'기업의 흥망, 리더의 성패'라는 현대 경제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를 결정하는 요소는 IQ, EQ도 아닌 실행지능이라는 것이다. "조직의 운명을 좌우하는 것은 리더들의 실행지능이다."라는 논리다.


 

'실행지능'(executive intelligence)이라는 단어를 연상해보니 제갈량, 정주영, 잭웰치등이 문득 떠 올랐다.

내가 아는 제갈량은 자신의 지식도 뛰어 났지만 무엇보다 그가 가진 지식과 정보 지혜 철학을 종합해 단호하게 실행한 '실행지능'의 대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제갈량이 위대한 리더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만 권의 책을 읽고 그 지식을 머리에 담아두었기 때문이 아니라 그 지식을 바탕으로 정보를 수집·처리·적용하되 이를 반드시 강력하게 '실행'에 옮겼기 때문이다.

 

정주영회장 역시 조선소 도면만으로 배를 수주한 것이나 예전 충남 서산 방조제 공사를 할 당시 유조선을 가라앉혀 파도를 막은 후 그 위를 메우는 아이디어로 공사를 무사히 마무리한 것들을 통해 사람들애게 국내 최고의 기업가로 인식하게 되었을 것이다. 이 같은 문제 해결능력과 복잡한 상황을 간단하게 정리하면서 올바르게 직시하는 명확한 사고력, 남들과 다르게 생각하는 비판적·창의적인 사고력, 해법을 찾아낸 후 과감하게 밀어붙이는 실행력 등이 탁월했기 때문이므로 실행지능이 뛰어나다고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잭 웰치는 GE의 CEO로 취임한 이후 GE의 시가총액을 40배 가까이 키웠고 관료적이고 보수적이었던 비대한 공룡 GE를 변모시켜 기업의 시장가치를 120억 달러에서 4,500억 달러로 끌어올린 잭 웰치는 '경영의 신'으로까지 불리우는 사람이다. 그는 자신의 뛰어난 직관력과 독특한 리더십을 통해 지난 20여 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조직이었던 GE를 가장 단순하고 민첩한 조직으로 만들었다.

 

훌륭한 리더들의 공통점은 단순히 사고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들의 사고에는 논리 정년함과 탐구 정신이 있습니다. 리더는 사람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주는 동시에 그들이 가진 억측을 깨야 합니다. -잭 웰치-

 

『실행지능』의 저자 저스틴 멘케스는 이 책에서 위대한 리더들이 성공하고 실패하는 이유를 발견하고, 또 성공한 리더들에게는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분석했다.




멘케스는 성공한 리더를 만나보면 누구나 그 사람의 명석한 경영적 사고력을 감지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것은 리더가 지식이 많고, 감성지능, 카리스마가 넘쳐서도 아니다.

 

그렇다면 뛰어난 경영자, 리더들이 가진 기발하고도 본능적인 사업 통찰력의 본질은 무엇일까? 이러한 리더들의 특별한 재능, 저자가 말하는 ‘실행지능’은 무엇이란 말인가?

 

지은이는 경영자에게 정말 중요한 것도 이런 것이라 주장한다. 이를 ‘실행지능’이라 이름 붙였다. ‘실행+지능’의 의미다.

우선 문제해결 능력은 지능이 뛰어난 사람만이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때의 지능은 학업 수행능력을 측정하는 IQ가 아니다. 소위 일류 대학을 나오거나 명문대 MBA(경영학 석사)출신 여부와 상관이 없다. 지식은 많지 않아도 경영 감각은 탁월한 사람들이 많다. 과거 무슨 일을 했는가라는 경험과도 무관하다. 경험이 많으면 오히려 과거의 관행에 얽매여 문제를 창의적으로 바라보지 못한다. 단순히 지능만 높아서도 안 된다.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갖고 있어도 이를 현실에 적용한 후 성과를 내야 하기 때문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실천하는 실행력도 높아야 비즈니스에서 성공할 수 있다고 한다.


 

조직이 살아남을 것인가,  사라질 것인가? 실행지능은 하나의 돌파구다. 리더는 스스로의 사고에 지속적으로 도전장을 내밀어야 한다. 사고를 멈추고 기계적인 지식을 업무에 단순 적용하기 시작하는 순간, 문제는 시작된다. 리더는 계속 사고해야 한다. 조직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비판적 사고 능력을 가진 인재, 즉 실행지능이 높은 인재가 곧 위대한 리더의 자질을 갖춘 사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카페이스
아미티지 트레일 외 지음, 정탄 옮김 / 끌림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3분의 1은 『그들은 말을 쏘았다』 , 이 책의 3분의 2는 『스카페이스』 유명한 두 영화의 원작이 묶음으로 나온 책이다. 이 두 책의 공통점은 영화화 되었다는 점과 함께 느와르 소설의 색다른 맛을 전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말을 쏘았다』

 

이 소설은 주요 내용은 로버트 시버튼은 글로리아를 살해한 혐의로 기소된다. 이 소설은 로버트가 왜 글로리아를 죽였는지, 왜 그것이 진정으로 그녀를 위한 행동이었는지를 고백하는 내용이다.

 

로버트 시버튼과 글로리아은 삼류배우이다. 우연히 만나게 되고 그리고 댄스마라톤에 참가하게 되고 우승상금으로 영화감독의 꿈을 키우고자 하는 로버트 시버튼과 유일한 소망이 누군가 자신을 죽여주는 것인 글로리아는 대회가 진행될수록 모나고 염세적인 성격으로 곳곳에서 말썽을 일으킨다.

 

댄스마라톤은 소위 별 볼일 없는 사람들이 모여 서로 다른 꿈을 꾸는 곳이지만 이 대회장은 사랑과 우정, 배신과 음모로 점철된 인간 군상의 축소판으로 느껴졌다. 이상 열기에 휩싸였던 댄스마라톤 대회는 뜻밖의 총기 사건으로 중단되고 로버트와 글로리아는 부두에 앉아서 오랜만에 바깥의 공기와 바다를 마주한다. 그곳에서 로버트는 글로리아를 위해 진심으로 무엇인가를 해주고 싶어진다. 그리고 문득 그 방법이 무엇인지 깨닫는다. 그는 글로리아를 향해 권총의 방아쇠를 당겨 그녀의 소원을 들어준다.

 

『스카페이스』

 

사실 책보다는 영화가 더 유명하지 않는가?라는 생각을 잠시 한 책이다.

그런데 책을 읽다보니 영화와 책의 내용이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원작의 많은 부분을 각색해서 영화화한 것 같았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갱스터 무비로 손꼽히는 명작인 스카페이스, 사실 원작자에 관해서는 이 책을 통해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작가가 28살의 젊은 나이에 요절을 했다고 하니 사실 서글프다. 더 좋은 글을 만날수 있는 기회를 놓쳐버린것 같은 느낌이 계속 들었다.

 

이 소설의 주 골자는 토니 카몬테(스카페이스)의 성공과 몰락이다.

성실하고 근면한 토니의 부모는 미국 땅에서 궁핍한 샐활에 허덕이지만,토니는 사랑과 부와 권력을 쟁취하고자 한다. 냉철한 두뇌와 담력을 지닌 토니는 공권력의 부패와 폭력이 득세하는 사회정의의 부재를 틈타 구세대 갱과는 차별되는 사업적인 수완과 처절한 복수전을 통해 조직을 확대해나가고, 단기간에 시카고 최고의 거물로 성장한다. 이 소설은 이러한 과정과 함께 드러나는 사회적 모순을 고발한다.

 

치밀한 디테일이 극도의 섬뜩함을 안겨주고 토니 카몬테의 비열하고 애처롭고 어리석은 흥분을 느낄수 있고 직설적인 언어로 인생의 가장 잔인한 면을 만날수 있었던 소설, 영화를 먼저 접해본 사람들에게 이 책을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물론 책을 읽고 나면 나와 같은 생각이 들 것이다. 다시 한번 이 소설을 영화화하면 안될까?라고.....

 

느와르 소설의 색다른 맛을 알게 해준 『그들은 말을 쏘았다』와  『스카페이스』 새로운 장르를 접해본것 같아 흐뭇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영어는 영화관에서 시작됐다
이미도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1월
평점 :
품절



'Two Thumbs Up'

 

나에게 이 책 『나의 영어는 영화관에서 시작됐다』을 표현하라면 위와 같이 표현할 것이다.

 

사실 영화는 자주 보는 편이다. 그러나 외화를 볼때 누가 번역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이미도라 사람이 전문번역가이면서 가장 인기가 있으며 또한 여자 이름같은 이미지를 가진 남자 번역가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Love means never having to say you are sorry. < 영화 러브스토리(Love Story)>의 명대사이다. 사랑한다면 미안하다는 말을 해서는 안 되는 거야라는 뜻의 영화 명대사인데 사실 나두 잘 인용해온 말이다. 이 책에는 위와 같은 기억할 만한 영화 속 명대사들을 많이 알려주고 있다.

 

『나의 영어는 영화관에서 시작됐다』는 이미도가 영화에서 배운 영어의 매력과 인생을 사는 지혜에 대해 진솔하게 털어놓는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번역의 어러움과 번역의 즐거움에 대해서 솔직담백하게 풀어놓았으며 또한 영화 속에서 생생하게 살아숨쉬는 영어에 대한 예찬과 이미도만의 영어 완전 정복의 비법도 공개 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저자는 정말 행복한 삶을 살고 있구나! 라고 부러웠다.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발휘하면서도 명성과 함께 자신만의 위대한 영역을 만들어 놓았다는 점에서 나는 부러웠다.

 

대학 마지막 학기때 교양수업으로 영화와 관련된 수업을 들은 기억이 난다. 수강시간이 영화보는 시간이었던것 같다. 대개 2시간정도의 영화감상후 그 영화와 관련된 이야기를 하던 교수님이 생각난다. 그 때 몇미터의 차이로 산이라고 등재될지 아니면 언덕으로 남을지 기로에서 마을주민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산으로 남을수 있었던 영화가 생각난다. 호러나 재미로만 보아오던 나의 영화감상 패턴에 색다른 영화의 매력을 알려준 그 영화는 나에게 있어서는  많은 것들을 시사해주고 가르쳐줬던것 같다.

 

나는 이 책이 영화의 마력과 영어의 매력이 뫼비우스 띠처럼 이어진 하이브리드 책이라고 생각된다.

이 책은 영화 + 영어를 동시에 느낄수 있다. 가볍게 읽을수도 그리고 인용할 수 있는 글과 영어대사가 많다.

 

이 책을 서재에 꽂아두고 가볍게 자주 읽고 싶은 생각이 든다.

영화와 관련된 책들을 많이 접해보지 못한 나에게 있어 이 책은 특히 외화영화에 대해 많은 궁금증을 해소해주고 또한 영어에 대해서 접근도를 높여줬다.

 

출판평론가 김성신님이 저자를 솜씨 좋은 어부라고 표현했다. 이 책을 영어이야기로 읽어도 좋고 영화이야기로 읽어도 좋다. 자동차에서만 하이브리드카가 있는것이 아니다. 이 책은 '하이브리드 북'이다.

 

ps> p82페이지 5줄 끝자락에 나오는 동해용궁사->해동용궁사로 고치는 것이 맞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