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하철역 이정표 도난사건
이세벽 지음 / 굿북(GoodBook)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우리 어른들도 어린시절에는 지금과 같이 탐욕스러움이란 없는 맑고 깨끗한 순수한 동심이 있었을 것이다. 이 책은 그런 우리들을 찾을수 있는 밝은 책이다.
‘지하철역 이정표 도난사건’은 지하철역에서 노숙하고 있는 소년 철수와 최고 재벌이자 실세인 황금쥐, 황금쥐로부터 스카우트 제의를 받고 고민하는 한 부장판사의 이야기를 통해 꿈과 희망을 이야기하는 소설이다.
이 책의 제목 ‘지하철역 이정표 도난사건’에 나오는 이정표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 책의 제목을 보고 먼저 곰곰이 생각해 보고 책을 펼쳤다.
소설 속 '이정표'의 다양한 상징이 흥미롭다. ‘이정표는’ 황금 쥐에게는 '허기진 욕망', 철수에게는 '엄마를 찾는 길', 부장판사에게는 '순수한 자아의 깨달음'으로 대비되는 대상이다. 즉 소설속 ‘이정표‘는 돈과 명예만 있다면 행복할 것이라는 어리석은 사람들이 잃어버린 진정한 삶의 이정표였다.
이 소설의 배경은 동대문 운동장역이다. 자신을 버리고 간 엄마를 만날 수 있다는 믿음을 7년 동안 버리지 않는 아이, 철수가 있다. 어느 날 갑작스레 지하철역 이정표가 사라진다. 범인은 바로 절대 권력을 자랑하는 황금쥐다. 이정표가 사라진 지하철역은 아수라장이 되고 황금쥐는 지하철을 장악하려 한다. 혼란스러운 지하철역에 등장한 또 한 사람 부장판사는 황금쥐의 제안을 거절한다.
엄마를 기다리는 철수와 만난 부장판사는 황금쥐의 수하들에게 쫓기면서 황금쥐의 계락을 알아챘다. 철수만이 드나들 수 있는 달의 문을 통해 환상 속 모험이 시작된다. 부장판사는 가족을 만나지만 그를 알아보지 못하고 지금껏 살아온 자신의 헛된 욕망과 마주한다. 황금쥐 일당을 피해 달아나다 둘은 '말하는 우체통'과 마주한다.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본 부장판사가 순수한 철수를 있는 그대로 보듬으면서 황금쥐의 자본주의 국가건설을 둘러싸고 철수와 부장판사는 철수의 엄마를 되찾기 위해 꿈과 희망의 발전소를 가동시키려 먼길을 떠나게된다. '지하철 역 도난사건'은 황금쥐와 철수, 부장판사가 우리 주위에 흔히 있는 인물들임을 알려주는듯 하다. 우리에게도 꿈과 희망의 발전소를 가동시킬 수 있는 희망을 꿈꾸어본다.
이 책은 물질만능주의에 물들어 꿈과 희망을 포기한 사람들에게 경고한다. 운명을 탓하지 말고 자신의 꿈과 희망을 포기하지 말라고, 꿈과 희망 발전소의 가동 소리를 들어보라고.
주인공들의 서로 다른 가치가 부딪치고 또 융화되며 독자들에게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는 소설이다. 어른들도 가끔 이런 책들을 읽어주면 마음의 정화가 이루어 질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