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옛 연인
윌리엄 트레버 지음, 민은영 옮김 / 한겨레출판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흔히 윌리엄 트레버라고 칭하는 윌리엄 트레버 콕스 경(Knight Commander: KBE)은 1928년에 아일랜드 자유국(Irish Free State) 코크 주 미첼스타운에서, 아일랜드 거주 중산계급 영국인 은행가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직업 때문에 대여섯 군데의 아일랜드 지역에서 자라다가 더블린의 콜럼바 대학에서 역사학을 공부하고 트리니티 대학에서 역사학 학사학위를 받는다. 이 역사학도는 트리니티를 졸업하고 트레버 콕스라는 이름으로 엉뚱하게도 조각가로 활동하기도 하다가 1952년에 죽음이 이들을 갈라놓을 때까지 평생을 함께 할 제인 라이언과 결혼하고 2년 후엔 영국에 정착한다. 트레버의 바이오그래피를 다시 확인한 이유는, 그저 검색을 해봤을 뿐인데 두 아들의 이름이 패트릭과 도미닉 ‘콕스’라고 나와, 혹시 아들 둘 달린 돌싱하고 결혼을 했을까, 싶어서였다. 하여튼 이이가 아일랜드에 사는 잉글랜드 인의 자손이었다는 건 <루시 골트 이야기>에서 짐작을 했더라도, 세상 사람들은 윌리엄 트레버를 아일랜드의 소설가, 극작가, 단편작가로 여기고 있다.
  이이가 1964년부터 2008년까지 호손덴 문학상을 시작으로 영국과 아일랜드의 온갖 문학상을 싹쓸이 했는데, 아쉽게도 받지 못한 상이 두 개가 있으니 하나는 노벨문학상이고, 다른 하나는 다섯 번이나 최종 후보에 올랐다고 하는 부커상이다. 그의 숱한 작품 가운데 우리나라에 번역, 소개된 작품의 면면을 보면, 그까짓 노벨상이나 부커상 같은 건 받지 않아도 너무 충분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이게 진짜로 트레버의 작품성이 뛰어나서 그런지, 아니면 그의 작품 속에 충일한 상실과 치유의 정서가 우리나라 독자들하고 딱 맞아서 그런지는 잘 모르겠다. 내가 보기엔 두 경우 다인 거 같지만.

 

  윌리엄 트레버가 우리나라 책방에 소개된 것이 불과 얼마 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올해 나온 <펠리시아의 여정>을 빼면 나머지는 2015년부터 18년까지 시중에 나왔다. 내가 마지막으로 읽은 트레버는 2018년 5월에 구입했다. 당시 구할 수 있는 모든 트레버를 다 읽은 셈이었고, 여전히 그런 줄 알았다가 그해 8월에 출간한 《그의 옛 연인》을 이제야 읽게 됐다. 3년 전이나 지금이나 트레버는 언제 읽어도, 그저 할 수 있는 말은 “좋다.” 말고 별로 찾을 수 없다. 여전히 좋다.
  열두 단편소설을 실었다.
  언제부턴가, 아주 오래전에 저지른 실수와 잘못들이 생각날 때마다 미치겠다. 진심이다. 물론 형사 입건이 될 정도의 잘못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젊은 시절 저질러놓고 당시엔 그게 창피한지도 몰랐던 것들이 떠오르기라도 하면 아무리 머릿속에서만이라도 창피하고 부끄럽고, 홧홧거리기도 해서 소리 내 책을 읽던지 혼잣말을 하던지 하는 경우가 많다. 진짜다. 내가 글을 써서 먹고 사는 직업이라면 이것들을 하나씩 하나씩 꺼내 글감으로 쓸 수도 있겠지만 그럴 주제로 아니니 어떤 일들이었는지 타인에게 밝혀 굳이 새로이 쪽팔림을 무릅쓰기는 싫다. 나이 들면 다들 이렇게 되는 것일까. 아니면 우울증의 초기증상일지도 모른다. 정말 전에는 그렇지 않았다. 저 먼 시절, 어쩌면 그냥 지나간 추억의 부스러기로 생각할 수도 있는 것, 생각하지도 않았던 기억이 수시로 불쑥 피부를 자극하는 기분.
  혹시 당신도 이런 증세가 있다면, 윌리엄 트레버를 공감하면서 읽을 수 있을지 모른다. 누구나 까마득하게 먼 곳에, 아니면 까마득하게 먼 곳이라고 착각하는 곳에 두고 온 자잘하거나 덩어리가 져 있거나 아니면 커다랄 수도 있는 잘못, 실수, 착오, 오해, 비탄으로 끝난 연애, 저질러버린 불손 등이 있을 수 있어, 그것들 가운데 하나가 문득, 비록 짧은 시간일지언정 그게 언제까지 짧은 시간일지는 모를 상처, 딱지까지 떨어져 아문 줄 알았더니 여전히 아프게 벌어진 상처가 느닷없이 당신의 등골을 덮치는 증세가 있는 당신에게, 치명적이지는 않더라도 당신의 상처를 덮은 딱지와 말라붙은 붕대를 한 순간에 떼버리는 격통을 줄 수도 있으리라.
  그러나 걱정하지 마시라. 당신이 느낄 격통은 정신이나 몸으로 느낄 수 있는 진정한 아픔이 아니니. 당신이 이 책 《그의 옛 연인》을 통해 얻을 격통은 작품에 대한 깊은 공감에서 비롯하는 감각의 건강한 통증, 기원전 몇 백 년 전의 희랍 사람들이 말했던 ‘쾌락’과 매우 유사한 접촉성 엑스터시일 것이다.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넬로페 2021-08-31 09:09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윌리엄 트레버의 이력이 그렇군요.
이 작가의 글이 언제나 좋으니 열심히 읽어야겠어요. 젊은 시절의 잘못이 어쩌면 그때 처한 상황에서 최선의 행동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잠깐 해봤어요^^실수는 당연하고요**

Falstaff 2021-08-31 09:16   좋아요 5 | URL
옙. 아일랜드의 물이 좋은 거 같아요. 그 동네 출신 작가들이 대단하더라고요.
에휴. 어쨌든 세상 살면서 안 할 수는 없지만, 실수 적게 하고 사는 게 좋아요. ^^;;

다락방 2021-08-31 10:57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이 책은 제가 읽어야 할 책이네요.
저 역시 폴스타프님이 언급하신 것처럼 과거에 제가 저지른 일들이 불쑥불쑥 떠오르고 그 때마다 너무 괴롭거든요. 다시는 그러지말자 라고 되새기긴 하지만 과거의 그런 일들이 떠오를때면 제 자신이 너무 밉고 싫어서 어서 빨리 다른 기억으로 옮겨가려고 하는데 잘 안돼요. 얼마전에 SNS 에서 보니까 그런 생각들이 찾아와 괴로우면 앞에 있는 물건을 쥐었다 놓는다든가 하는 어떤 액션으로 다른 생각,행동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라더라고요. 앞으로는 그런 시도를 해봐야겠어요.

그런데 이 리뷰를 읽고나니 저만 그런게 아니라서, 누구나 과거의 잘못으로 때로 고통받는다는 걸 알게되어서 조금은 위로가 되네요.

Falstaff 2021-08-31 11:18   좋아요 2 | URL
아휴.... 그렇다고 과거의 실수가 잊혀지지는 않더라고요. 흑흑흑....
하여튼 제가 누구에게 위로를 줄 수도 있었다니, 이거 참, 보람차다고 할 수도 없고, 그래도 위안이 되는군요.

그레이스 2021-08-31 11:1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딱지와 말라붙은 붕대...에서 몸이 움츠러드네요.

Falstaff 2021-08-31 11:31   좋아요 4 | URL
음. 뭐 조금 과장이었습니다. 그 부분은 써둔 독후감을 실제로 올리면서 좀 더 인상적으로 보이려고 가필을 한 건데, 그레이스 님처럼 귀신같이 찾아내시는 분들이 꼭 계셔요.

그레이스 2021-08-31 11:29   좋아요 3 | URL
^^

mini74 2021-08-31 14:2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오늘은 처방전같은 책 소개네요 ㅎㅎ 제 요즘 증상과 유사합니다. 하루에 한편씩 식후에 읽으면 되나요 ? *^^*

Falstaff 2021-08-31 15:09   좋아요 3 | URL
아, 이런 증상이 보편적이군요! ㅎㅎㅎ 다행스럽기도 합니다. ^^

바람돌이 2021-08-31 17:1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펠리시아의 여정으로 윌리엄 트레버를 알았으니 앞으로 계속 달려보겠습니다 ^^

Falstaff 2021-08-31 19:15   좋아요 2 | URL
어느 책을 선택하셔도 괜찮을 겁니다.
이렇게 자신하는 몇 안 되는 작가 가운데 한 명입니다. ^^

coolcat329 2021-08-31 17:23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과거 쪽팔린! 실수 없는 사람 없을거에요.ㅠ
저도 그 증세가 느닷없이 오거든요 ㅋ 그래서 폴스타프님 리뷰 믿고 좀전에 중고로 나와있길래 시간은 없고 2만원은 채워야하고 해서 아이 책 끼워서 주문했습니다~^^

Falstaff 2021-08-31 19:16   좋아요 3 | URL
오호, 그것도 저럼하게 얻으셨으니 좋습니다. 후회하지 않으실 거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