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젯밤
제임스 설터 지음, 박상미 옮김 / 마음산책 / 2010년 4월
평점 :
열 편의 단편소설을 담은 작품집. 1925년 6월에 제임스 아널드 호로위츠 James Arnold Horowitz라는 이름으로 태어난 설터는 애초에 직업군인으로 전투기를 몰았다가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사냥꾼들>이란 소설을 써 작가의 길을 걷는다. 처음에는 필명을 ‘제임스 설터’로 하다가 나중엔 법원의 등기부를 고쳐 정식 이름으로 삼았다고 하니 이이가 ‘뉴저지 설터 씨’의 시조가 되겠다. 위키 백과를 보면 설터의 대표작으로 어제 내가 악평을 했던 <스포츠와 여가>를 꼽았다. 나의 문학적 소양이 여태 형편없다는 것이 백일하에 증명이 된 셈이긴 하지만, 나는 여전히 <스포츠와 여가>에서 독자가 구경할 만한 것은 그의 간결하고도 섬세한 문체뿐이라는 주장을 취소할 생각이 없다. 지금 막 《어젯밤》을 읽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이 책을 읽고 제일 처음 느낀 소감은 제임스 설터가 단편소설을 위해 특화된 작가가 아닐까, 싶은 것이었다. 설터의 작품 속에 커다란 담론 같은 건 없다. 애초에 그런 것들을 담을 의도 자체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설터가 줄곧 관찰했던 것은 커플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세하지만 치명적인 떨림이다. 이 떨림은 살면서 누구나 한 번 이상은 경험해보는 일이지만 이 현상이 결코 같은 떨림은 아니다. 필립의 떨림은 금발머리 가정교사를 보고 결혼 15년 만에 찾아온 벼락같았던 사랑이고, 중년의 부유한 과부 테디에게는 열다섯 살에 첫 경험을 하게 해준 무명 소설가였지만 지금은 편지에 답장도 해주지 않는 베스트셀러 작가이며, 브라이언한테는 아내의 귀고리를 빼앗아 매단 채 장인과 환담을 하는 유엔 직원 패밀라다.
이 떨림의 공통 현상은 애정, 그리움, 안타까움, 후회, 잔상, 추억 같은 것들. 그리하여 설터가 내놓는 그림 속에 ‘현재의 뜨거움’은 없다. 있다면 오직 과거나 잘못된 사랑, 즉 불륜인 경우다. 열 개의 모든 작품은 이렇게 안타까워하는 남녀가 등장한다. 그리하여 유일한 주제는 사랑. 만개하지 못했거나, 이미 시들어버린 것 등.
설터의 단편은 말 그대로 ‘단편적’이다. 단 하나의 에피소드를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게 써내려 간다. 오랫동안 잊고 살았던 사랑이 하필이면 결혼 피로연 때 섬뜩하게, 내일이면 또다시 볼 수 없는 한 순간의 혜성처럼 떠오르고, 전신에 암이 퍼져 모르핀으로 연명하는 아내의 요청으로 모르핀 치사량을 주사한 밤에 연인을 불러들여 뜨거운 밤을 보내고, 20년 만에 다시 만난 옛 시절의 연인이 너무 비대하고 추한 모습으로 변해버려 서둘러 돌려보내는 등, 딱 단편소설을 쓸 만큼의 주제로 작품을 만들었다. 여기에 꼭 필요한 문장들과 절제된 수사법만 사용하니 단편으로도 짧은 분량이면서 호소하는 바는 매우 강하다. 전형적인 단편소설을 읽는 느낌. 분위기는 전혀, 완전히 다르나 황순원이 이런 주제로 썼으면 설터와 비슷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라면 이해하실 수 있을 듯.
오랜만에 깔끔한 번역 단편소설들을 읽었다. 물론 단편소설이 다 이래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완전히 내 스타일의 작품들을 모아놓았다. 그간 외국 작가들의 단편은 별로 읽지 않았으나 골라 읽은 것들 대부분 괜찮거나 훌륭한 단편집이었다.
다만 단편소설, 특히 번역한 단편일 경우 독자의 취향이 매우 중요한 것처럼 보인다. 이 책을 선택하시겠다면 조금 신중해질 필요는 있다. 어쨌든 나는 《어젯밤》을 마지막으로 설터는 더 이상 읽지 않으려 했지만 마음을 바꾸기로 결정했다. 제임스 설터. 이 독특한 문법을 가지고 있는 작가를 조금 더 관찰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