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희곡우체통 낭독회 희곡집 국립극단 희곡우체통 희곡집
이유진 외 지음 / 걷는사람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희곡우체통.”
  우리나라 국립극단이 2018년부터 좋은 희곡을 발굴하기 위해 온라인을 통해 희곡을 상시 모집하고, 이 가운데 빼어난 작품을 발굴해 상금은 못 줄망정 낭독회를 열어주는 행사라고 한다. 국립극단의 희곡우체국장 김명화는 연초부터 COVID-19가 덮친 2020년을 저 옛날 역병이 창궐했던 오이디푸스 왕 치하의 테베와 비교해가며, 관객과 대면해야 진정한 생명을 얻는 연극 역시 살얼음판을 걷는 기분이었는데 이 와중에 예전에 비하여 양은 적지만 질적으로 풍성한 작품들을, 거리두기 또는 온라인 무관객 낭독회로 할 수밖에 없었음을 아쉬워했다.
  참 좋은 제도다. 올해 초까지 주로 중국의 현대 희곡을 집중해서 읽을 기회가 있었고, 중국 현대희곡의 높은 수준에 호기심이 생겨 우리나라 현대 희곡에도 관심을 쏟아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일종의 의무감 비슷한 감정이 이 책을 선택하게 된 가장 중요한 이유였다. “희곡우체통”이라니. 참 예쁘장한 이름의 공모제도. 상금 백만 원보다 자기가 쓴 희곡이, 비록 무대장치와 분장, 연기는 없더라도 진짜 배우들에 의하여 무대 위에서 낭독된다는 것이 훨씬 더 영광스럽지 않겠는가. 물론 상금도 주면 금상첨화지만. 하긴 국립극단 예산이 얼마나 된다고.

 

  책 뒤, 우체국장 김명화의 작품해설은 우체국에서 선정한 작품들에 관한 내용이니 좋은 이야기만 하는 것이 당연하겠다. 나는 내 돈 주고 사 본 책이니 내가 감상한 바를 솔직하게 쓸 수 있는 것도 당연하다. 그래서 어느 때보다 솔직하게 우리의 현대희곡을 읽어본 감상을 이야기하자면, 기대 이상이다.
  단, 조건이 있다. 이 책에 실린 작품을 쓴 극작가들은 거의 대부분 신인이거나, 심지어 데뷔작이라 거장 극작가들의 작품과의 수평비교는 하지 말자. 심지어 전에 읽은 중국현대희곡 작품들과도 비교하면 안 될 것이, 중국희곡을 쓴 극작가들은 몇 번의 해외공연도 해 봤을 정도로 이미 중국 연극계에서 뼈가 굵어지고 몸집마저 불린 베테랑들이라는 점. 즉, 이유진 외 다섯 명의 극작가들의 체급과 비교해 말하자면 기대 이상이었다는 것이다.
  대개 문학행위 가운데 아방가르드를 선도해가는 장르가 드라마, 희곡 아니었나? 그래서 우리 희곡작품을 고를 당시, 일단 한 권을 읽어보고, (현대)연극의 전위성 정도를 내 머리로 접수 가능하면 더 찾아 읽겠다, 해서 딱 한 권을 산 것이 아쉽다. 이왕 구입하는 김에 2018년과 2019년 희곡집까지 한 번에 들여왔으면 더 좋을 뻔했는데. 우리나라 문학의 아방가르드는 단연 시가 이끌고 나가는 것 같다. (물론, 제발 좀, 지금보다 훨씬 적은 수의 시인들이 그들의 아방가르드 리그를 벌였으면 좋겠지만.) 그리고, 내가 읽어본 현대희곡이 중국에 국한한지라, 중국의 작품과 비교해도 실험적인 작품이 많지 않은 것 같다. 아니면 아직은 실험적인 작품으로 주목을 받기 쉽지 않은지도. 그래서 저절로 우리 희곡은 읽는 사람들 편하게 생활 이야기도 있고, 가까운 미래의 디스토피아로 보는 휴머니즘도 있고, 심지어 성종임금의 용안에 손톱자국을 내 사약을 받는 윤씨 이야기도 있으며, 저 유명한 체호프의 작품 뒷얘기를 꾸며낸 것뿐만 아니라, 아예 낭독극을 전제로 한 듯이 보이는 해체적 실험극도 하나 있고, 1960년대 후반의 개발독재 시절을 그린 것도 있다. 한 마디로 다양하다. 그래서 더 좋았다.

 

  다른 작품들보다 더 좋아서가 아니라 단지 제일 먼저 실렸다는 이유로 이유진의 <X의 비극>을 소개한다. 제목의 ‘X’는 사람 이름이나 이니셜, 별명이 아니고 X세대, X 제너레이션을 뜻한다. X세대는 원래 캐나다 작가 더글러스 쿠플랜드가 1960년대에 태어난 세 명의 젊은이를 칭했으나, 이제는 소위 ‘신세대’를 일컫는 말로 굳어졌다. 이 작품에서 X세대는 2010년대 말에 40대에 이른 과거의 신세대. 한때는 신세대였으나 이젠 세상이 빛의 속도로 변해가는 걸 눈 번히 뜨고 바라보지만 시대가 요구하는 속도에 맞추지 못해 도무지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까 하는 공포에 휩싸인 샌드위치 세대를 상징한다.
  주인공 강현서는 직장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쉬지 않고 경쟁과 노력과 능률의 톱니 사이에서 이젠 번-아웃된 상태. 이제는 자신이 조직에 기여하는 이익보다 받아가는 급여가 더 많다는 것을 분명하게 인식했고, 더 이상 경쟁의 칼날 위에서 중심을 잡고 있기도 진저리가 나, 마치 그레고리가 하루 날 잡아 딱정벌레로 변해버렸듯이 어느 날 자리 깔고 자빠져 일어날 생각을 하지 않는다. 자기 커리어를 포기하고 출산과 육아를 해온 경력단절여성 아내 안도희는 기껏 해야 최저시급을 받으며 식당 일을 할 수 있을 뿐인데, 입시를 코앞에 둔 고2 아들 강명수는 수학 과외비를 제때 내지 못하는 것을 쪽팔려 불평하고, 안도희는 남편의 죽마고우이자 의사이자 이혼남인 박우섭과 내연의 관계를 맺는 대가로 아들의 과외비를 벌어온다.
  현서의 늙은 어머니 70대 안영자는 외아들 현서를 자리에서 일으키기 위하여 자신의 작은 집을 팔아 돌팔이 중에게 전 재산을 시주해서 부적 한 장을 얻어오고, 아내, 친구, 아들은 가장의 역할을 계속할 것을 끈질기게 요구하지만, 안타깝게도 강현서는 완전히 번-아웃. 급기야 가정은 완전히 해체되고 현서는 아들의 20대 아가씨 수학과외선생인 윤애리의 제안에 따라 모종의 둘 만의 의식을 치루려 한다. 물론 몸의 관계는 아니다. 번 아웃되어 자리보전을 하는 남자가 그럴 수는 없을 테니.

 

  여섯 명의 극작가들을 검색해보았다. 인터넷에서는 이들의 자료를 거의 발견할 수 없다. 극작가 이름을 차례로 소개한다.
  이유진(2007년 등단), 박세은(데뷔), 박지선, 김수연(첫 장편희곡), 강동훈(데뷔), 홍단비. 이들의 건필과 (기필코!) 성공을 빈다.

 


댓글(25)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1-06-25 09:5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희곡열풍을 주도하시는 우리의 Falstaff님, 저는 아직 물에 입수전입니다^^˝희곡우체통˝ 느낌 넘 좋은 단어인데요^^ 왠지 아기자기하면서 온기 넘치는 희곡들이 그득한 우체통 열어보고 싶어지게 만드는 이름

Falstaff 2021-06-25 10:18   좋아요 2 | URL
정말 응모전 이름 잘 지었습니다. 올해 역시 역병이 창궐한데 행사가 이어지는지 궁금하네요. ^^

잠자냥 2021-06-25 09:57   좋아요 8 | 댓글달기 | URL
오 이런 책도(이런 제도도) 있군요! ㅋㅋ 제가 몇 년 전에 근로자문화예술제에서 희곡 작품으로 작은 상을 한 번 받았는데요. 그땐 상금도 주더라고요. 폴스타프 님 말씀처럼 상금도 상금이지만 제가 쓴 희곡으로 어느 극단에서 무대에 올려주면 정말 더 좋을 거 같은데 어디서도 연락은 오지 않.. ㅋㅋㅋㅋㅋㅋ

Falstaff 2021-06-25 10:20   좋아요 6 | URL
아이고, 극작가님이셨군요!! ㅋㅋㅋ
맞아요, 진짜 배우가 무대 위에서 자기가 쓴 극을 낭독해준다는 거 하나만 가지고도 너무너무 매력적입니다.
그때 상금으로 뭐 하셨어요? 대개 술값으로 없어지지 않나요? ㅋㅋㅋㅋㅋㅋㅋ

잠자냥 2021-06-25 10:27   좋아요 4 | URL
알고 보니 폴스타프는 소설가, 잠자냥은 극작가 ㅋㅋㅋㅋㅋ
상금은 폴스타프 님이 그러셨듯이 술 쐈습니다. ㅋㅋㅋㅋㅋ

Falstaff 2021-06-25 10:30   좋아요 3 | URL
그렇다니까요. 이상하지 참 거.... 글짓기 시합에서 상금 받으면 꼭 술로 조진단 말입니다. 거의 예외가 읎어요. ㅋㅋㅋㅋㅋ

coolcat329 2021-06-25 15:33   좋아요 1 | URL
와~~극작가 잠자냥님!👏👏👏
늦게나마 축하드립니다.

잠자냥 2021-06-25 15:39   좋아요 1 | URL
쿨캣 님 / 숙취쟁이 등극을 축하한다굽쇼? 감사합니다 ㅋㅋ

공쟝쟝 2021-06-25 18:44   좋아요 1 | URL
뭐야. 여기 극작가랑 소설가인데 술마시는 독서가들 있어... (치..치인다..)

잠자냥 2021-06-25 22:24   좋아요 3 | URL
이보게 쟝쟝 폴스타프와 잠자냥은 한낱 주정뱅이에 숙취꾼에 봉급쟁이일 뿐이라니까!

얄라알라 2021-06-25 10:32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와! 두 작가님의 대화, 교집합이 많으시겠지만 그 핵의 핵은 술^^ 그만큼 문학성뿐 아니라 인간관계에서도 인정받으셨다는 뜻^^

Falstaff 2021-06-25 10:34   좋아요 5 | URL
아이고..... 그노무 ‘작가‘에서 전 빼주셔요. ㅜㅜ
ㅋㅋㅋㅋ 인간관계에서 인정 받은 건 사실입니다. ㅋㅋㅋㅋㅋㅋ

잠자냥 2021-06-25 11:12   좋아요 4 | URL
어제도 술 오늘은 숙취 이것이 인생. ㅋㅋㅋㅋ

새파랑 2021-06-25 12:0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와 소설가에 극작가시라니 예상은 했지만 정말 놀랍네요~!

Falstaff 2021-06-25 12:13   좋아요 4 | URL
아, 글쎄 아니라니까요! ㅋㅋㅋㅋ 전 그냥 주정뱅이이자 봉급쟁이. ㅋㅋㅋㅋ

잠자냥 2021-06-25 12:16   좋아요 4 | URL
전 주정뱅이까지는 아니지만 그냥 숙취중독자에 봉급쟁이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

새파랑 2021-06-25 12:19   좋아요 1 | URL
두분 정말 공통점이 많으신거 같습니다 😊 역시 술은 필수 인거 같아요~~!

coolcat329 2021-06-25 15:35   좋아요 3 | URL
아 ㅋㅋㅋ 이 두분 오늘 또 만담 시작하셨어요. 🤣

잠자냥 2021-06-25 15:40   좋아요 3 | URL
쿨캣님 들을만하우?ㅋㅋㅋ

그레이스 2021-06-25 12:1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희곡에 전위성까지...!
아무래도 저는...^^;;

Falstaff 2021-06-25 12:14   좋아요 1 | URL
ㅎㅎㅎ 전위성이 보이지 않아서 다행이었다는 건데요.
읽으면서 곧바로 접수가 되지 않는 작품은 없었습니다. ^^

그레이스 2021-06-25 12:19   좋아요 2 | URL
일단 그 글짜가 크게 다가온것은 희곡과 안 친한 제 탓일듯 합니다.
작품 선정시 그런 기준이 있다면, Falstaff님께 접수가 되는 작품도 제게는 힘들수 있겠다는 생각 ㅠㅠ이 드네요^^
그래서 <통쾌한 희곡의 분석>이란 책을 검색해 봤는데요
혹시 읽으셨다면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Falstaff 2021-06-25 12:28   좋아요 2 | URL
<통쾌한 희곡의 분석>... 안 읽어봤습니다.
저는 그냥 즐기자는 입장이라서 책 읽으며 따지는 걸 좋아하지 않거든요.
요즘 우리 시 읽으면서 하도 모르겠어서 해설을 좀 읽었더니 약간, 아주 약간 따지는 경향이 생겼습니다만. ㅋㅋㅋㅋ
좀 기다리시는 것도 좋습니다. 세상에 읽을 책이 얼마나 많은데요. 그레이스 님하고 맞는 책만 읽으셔도 시간이 모자랍니다. ^^;;

coolcat329 2021-06-25 15:4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오늘 폴스타프님 리뷰는 읽으면서 참 미소가 나옵니다. 개인적으로 찰진 욕이 섞인 글을 쬐금 더 좋아하긴 하지만...
저 희곡 쓴 작가분들이 이 글을 읽고 얼마나 힘이 될까 생각해보니 절로 미소가 나오더라구요...

Falstaff 2021-06-25 16:10   좋아요 1 | URL
ㅋㅋㅋㅋ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