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 색의 역사 - 미셸 파스투로블루 /한길 아트 2002'

많은 색 중에 왜 하필 블루인가- 라는 의문은 책에서 줄곧 설명하고 있다
어디까지나 서양-특히 유럽- 중심적으로 보았기 때문에 아시아나 극동 문화권에 대한 언급은 없다

한가지 놀란 사실은 색 이라는 것은 '인식'되어져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아이러니컬 하게도 하늘,바다 같은 현재 우리가 푸른색을 떠올리는 것들이 고대에서는
푸른색으로 인식되지 않았다는 것이며, 푸른 색을 지칭 하는 '말' 이 없었다는 것
무지개 마저 7가지 색으로 보지 않았으며 3-4가지의 색으로 파악되었다는 것

'절대'색이 처음 부터 있었겠지만 인식되지 못하는 색은 없었다는 것
예를 들면 파란색이 차가운 속성을 가진것은 불과 몇백년되지않는다는 사실
중세에서는 파란색을 따뜻한 색으로 볼 정도였으니...

그림에서와 같이 고대에서는 흑,백,적이 3대 색으로 간주되었다
그리고 초록의 등장 또한 오랜 시간 후였고, 더더욱 파란색의 등장과 사용은 불과 몇백년이라는
사실도 흥미로운 읽을 거리


'색' 이야기를 떠나 어떤 대상 혹은 개념이라는 것이 시대적 상황이나 사람들의 인식에따라
얼마든지 뒤바뀔수 있다는 좋은 본보기가 되는것 같다. 과거 고대,중세에 비하면 현대는 그야말로
색의 홍수를 넘어 익사직전일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누구나 아무렇지도 않게 색을 쓸 수가
있고 사용에 따른 제재나 영심의 가책도 없으니. 중세에는 색의 혼합을 터부시했다고 하니...

색과 인간과의 이야기를 통해 사물에 대한 다른 시각과 생각을 해 보게 만드는 책 이라고 생각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