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빙벽
이노우에 야스시 지음, 김석희 옮김 / 마운틴북스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살다보면 그럴때가, 그런 느낌이 드는 때가 있지 않던가.
머릿속 생각으로는 이게 아닌데,라는 목소리가 분명한데 그 목소리를 객관화 시키는 나는
그 아닌 곳으로 뭔가에 이끌리듯 그 쪽으로 인생의 방향을 틀어버리는 경우. 내 의지이기도
하면서 의지라고 할 수는 없는.
그런걸 운명이라고 해야하나. 거기에서 한참 지나 그때를 생각하면, 아 그때, 하게 되는.
인간은 어느 시기가 되면 자신을 믿지 않게 된다. -94p
우오즈, 미나코, 고사카. 그들 인생의 한 순간에서 그 어쩌지 못하는 불가해한 끌림에 끌려간
순간들의 이야기 쯤 이라고 해두자. 넘어선 안되는 것을 더 넘고 싶어하는 게 인간의 속성이라면
불행은 결국 인간에 내재하는 건가.
어쩌면 어느 쪽을 선택하더라도 불행하긴 마찬가지가 아닐까. 이를테면 판도라의 상자를
손에 쥔 인간이랄까. 열어서는 안된다는 걸 알고는 있지만 결국 열고 마는 게 인간이고 만약 열지
않는다면 영원히 상자를 버리지 못한 채 갇혀버릴 것이다.
문제는 자신을 억제할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거 아니겠어? 자제할 수 있다면야 아무 문제도 없겠지.
하지만 꼭 자제해야 할 때 자제할 수 없는 게 인간이야. 사실 말이지 자기 자신이란 건 별로 믿을 수
없는 존재라고. -94p
고사카 역시 미나코와 안된다는 건 알고 있다.
알고 있지만 포기하는 게 안되는 것. 그게 운명이라면.
"난 안 돼." -102p

우오즈 역시 머리로는 미나코와 안된다고 생각했지만 가슴엔 알게 모르게 미나코가 와 있었다.
미나코는 어떤가. 그녀 또한 다를바 없었다.
그들의 관계는 산에서 일어난 사건과 함께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타며 전개된다.
두툼한 분량에 비해 빨리 잘 읽히는 건 행 간을 시원하게 편집한 영향도 있겠고
무엇보다 어떤 결과가 날 것이며 과연 짐작이 맞을것인가와 같은 호기심을
쫓아가게 만드는 작가의 솜씨 때문일 것이다.
1957년에 발표된 작품이기 때문에 현재의 감각이나 감성으로 읽어보면 조금은 아쉬운 부분
없지 않다. 개인적으로 일본 소설이 풍기는 감정코드가 영 맞지 않아 일본 소설은 잘 읽지
않는데 이 작품에서도 그런 느낌을 받는다. 일본인 특유의 가치관이랄까, 뭐 그런 것들.
몇 년째 책꽂이 한 켠을 차지하고 있던 작품을 별 생각없이 뽑아서 읽기 시작했는데
막힘없이 빠르게 읽었다. 딱 그 정도.
마흔 넘어 등단해서 많은 작품을 발표하고 성과를 인정받았다는 작가의 이력이 눈에 띈다.
표지 디자인이 참 맘에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