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을 - 제1회 자음과모음 신인문학상 수상작
박솔뫼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3월
평점 :
1.셋
'너'라고 부를수 있는 대상이 없다면 고독하다
내가 너라고 부르는 네가 너의 너라고 하는 대상을 바라본다면 우리는 모두 불행하다
굳이 소설을 들추지 않아도 불행했던 세 명의 연인들은 비극을 살았고 그들을 등장시킨
소설 역시 많다. 작가들의 형형색색 변주에 따라 그들이 위로 받기를 바란다. 그들의 비극으로
우리는 우울한 행복감에 빠지기도 하니까.
씨안이 본 영화가 소설을 압축적으로 보여 준다. 그런면에선 너무 선명하게 이야기해 버린 건
아닌지 좀 아쉬운 부분이다. 그 영화에 대한 부분을 읽다보면 아 이런 소설이구나, 맥이
좀 풀렸다고나 할까. 그러나 여전히 소설은 독자를 잘 끌고 나가긴 했다.
문장들이나 전개과정을 보면 꽤나 공을 들인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책 뒷편에 평론가 정여울도 언급했지만 '셋'에 관한 박솔뫼 식의 소설인 것이다.
박솔뫼는 하얀 도화지에 굵은 4B연필로 인물의 윤곽 정도만 그리면서도 이야기는
또렷하게 읽히게 했다는 점에서 수상작이 되었을 것 같다.
셋에 관한 유사한 많은 작품이 있겠으나 신경숙의『깊은 슬픔』이 생각났다.
나는 너를 바라보고 너는 또다른 곳을 바라본다던가 뭐 그런 문장이 있었을 것이다.
2.을
인간관계에서 절대적인 갑 절대적인 을의 위치에 있는 경우는 없다. 관계는 끊임없이
변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 을의 위치에 있는 연인들은 그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아니 받아들이기를 거부한다. 주이 처럼.
비극은 거기에 있는 것이지만.
교묘하게 노'을'이라는 작명을 했지만 노을 보다는 '을' 이야기를 해야한다.
을의 이야기이기도 하기 때문에.
갑이 하는 사랑과 을이 하는 사랑은 다르다. 갑과 을이 서로 사랑한다해도 그 사랑의 무게추는
한쪽으로 기우는 게 사랑의 속성이다. 관계의 속성 또한 마찬가지다. 어느 한쪽이 '더' 하게 마련.
작품 속 인물들은 대부분 '을'의 입장이다. 을 위에 있는 갑이 아니라 갑의 밑에 있는 을.
'노을'도 을이며 '민주'도 을이다. 민주는 노을에게 있어선 갑일지 모르겠지만 윤에게 있어서는
민주도 을이다. 프래너 주이 씨안 모두 상대적으로 을의 사랑을 했다고 본다.
삼각형은 가장 안정된 도형이겠지만 세 연인은 가장 불안할 것이다. 그리고 불행할 것이다.
'을'의 이야기와 '셋'의 구조가 잘 엮인 소설을 만났다.
군더더기 없는 작품을 써낸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이 궁금해진다.
이제 그들은 모두 어딘가로 떠났고 서로 잊는다.
여행객들을 상대로하는 호텔에서 만났던 그들이 캐리어를 끌고 아니면 간단한 여행가방을
들고 호텔을 나섰다. 그럼으로써 그들은 모두 이름을 잃는다. 민주가 507호 남자가 돼버린 것처럼.
내가 당신(들)과 맺는 관계 또한 그렇다. 그러하기를 나는 바라는 사람이다. 민주가 떠난
507호에 을이 떠나기 전에 방문할 수 있다면 흔한 여행객이 되어 507호의 남자가 되는 여행을
떠나 영원한 여행생활자가 되보고 싶기도 하다. 그런 여행이 있을까. 내가 나의 무늬를 잃는 여행.
하루키 이야기를 듣고 읽기도 해서인지 씨안이 자주 올라가던 옥상 장면에서
상실의 시대의 그 옥상이 생각나기도 했다.
*본문 급수가 작아서 보는 내내 눈이 피로했다. 확실히 여타 소설보다 글자들이 작고 작다보니 좀 희미한
감이 있다. 왜 그렇게 편집을 했을까? 개인적 시력의 영향인가? 쓰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