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립자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34
미셸 우엘벡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1월
평점 :
브뤼노와 미셸, 두 형제 개인의 영역과 개인이 살아냈던 시대의 철학 과학 예술 사회 등을
망라햐여 지어낸 걸작이라 하겠다.
개인의 무기력함이나 결정론적 운명관은 곧 인류전체의 열등함에서 오는 필연적인 결과라고 보면
산다는 건 절망적일수밖에 없다. 그러한 절망적 정황들을 겪어내고 있는 게 대부분 인간들의
삶이겠지.
「나도 자아가 하나의 환상이라고 생각하고 싶어. 그래서 고통이 사라질 수 있다면
좋겠어. 하지만 자아가 환상이라 해도 고통스럽기는 마찬가지인걸…….」 -73p
브뤼노를 중심으로 하는 욕망과 쾌락의 질주, 극단적으로 반대편에 서 있는 미셸의 고독한
삶은 모든 현대인들의 모습과 다를바 없다.
결국 소설이 제시하는 나름의 해결책과 그에따른 미래에 대해 나는 긍정의 편에 서고 싶지만
과연 그럴까? 하는 의구심이 드는 건 당연.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가 아닌 그곳은 정말
'멋진 신세계'일까? 가능하다면 그 세계에서 살고 싶기도 하다만 너무 멀거나 영영 안오지 싶다.
다시 말해서, 소립자들은 서로 얼마만큼 떨어져 있든 간에 즉각적으로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얘기였다. -136
두 개의 소립자가 결합되면, 분리시킬 수 없는 하나의 통일체가 형성됩니다. 제가 보기에 그것은
목사님께서 말씀하신 한 몸에 관한 이야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듯합니다. -187
대부분의 독자들이 짐작하듯이 소립자는 각각의 개인을 뜻한다고 본다.
소립자를 개인으로 바꿔 읽어보면 무슨 이야기인지 가늠할 수 있다. 뒤집어 본다면 이런 이야기도
되는 것이다. 브뤼노가 그의 아들을 바래다주며 느끼는 절망감 같은 것도 같은 이야기다.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지 않음에도 브뤼노는 아들에게 영향을 줄 수 없음을 알고 절망하는 것이다.
그리고 미셸은 결국 하나의 통일체라고 할 수 있는 2세 생산에 실패한다. 그는 한 몸이라고
할 수 있는 결혼이나 사랑에 관심도 없었으며 이루지도 못했다. 미셸의 연구결과가 그의 사후에
만들어 놓은 모습은 당연할지도 모르는 것이다. 그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면 나는 찬성하는 바이다.
결국 그렇게밖에 안되는 삶을 살아버린 두 형제의 모습을 쫓아가면서 드는 안타까움과 씁쓸함은
지금 우리가 내가 살아가고 살아갈 모습의 적나라함 때문이겠지.
꽤나 오래전에 무슨 이유로 질렀는지 모르겠고 몇 년 전에 좀 읽다가 말았다는 기억도 없이
다시 집어들었더니 어느 페이지 어떤 문장엔 밑줄도 그어져 있다. 책은 일단 당장 읽든 말든
삘이 꽂혔을 때 일단 질러놔야 하는 건가 싶기도 하다. 역시나 요즘 판형 책값이 많이 올랐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