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물이라는 뼈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369
김소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9년 11월
평점 :
산문집 『마음사전』이후 급 관심의 대상이 된 시인의 시집이라 곧장 서점으로 달려
갔는지도 모르겠다. 그가 펼쳐놓은 사전의 빛나는 말들의 향연을 맛 본 이라면 나와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번 시집 곳곳에서도 말들의 빛남은 여전했다. 아울러 그
말들을 빚어 이야기를 하고 나는 그 이야기 곳곳에서 책장 귀퉁이를 접어 표시해야 했다.
한 개의 여름을 위하여, 사람이 아니기를,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고통을 발명하다,
나 자신을 기리는 노래, 너무 늦지 않은 어떤 때, 노련한 손길, 공무도하가, 시인, 모른다
등이 그러한 시들이다. 아울러 부분적으로 곱씹어 볼만한 싯구가 수북한 점은 따로 언급하지
않는다.
슬프거나 우울할 땐 더 슬프고 우울한 영화를 보라는 말이 있듯이 어쩌면 그래서 발벗고
나선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런 텍스트에 어떤 치유를 기대하지는 않지만 타인의 우울을
엿보는 것으로써 내 감정을 전염시키고 싶은 것, 딱 그것 뿐이다. 물론 모두 자기만족이다.
뭐라고 딱히 말로 풀지 못하는 상태에서 적절한 비유를 만난다는 것도 작은 위안거리임에
분명하다. 비록 그 위안이 오래 가지 않는다고 해도 읽는다는 행위를 하는 시간의 지속
안에 자신을 놓아둠으로써 버팀목 하나를 또 덧대는 일이다.
별로 버티고 싶은 심정도 아니지만 말이다. 여하튼 읽는 동안 함께 더 우울함으로써 위로 받는다.
미리 무덤을 팝니다 미리 나의 명복을 빕니다 명복
을 비는 일은 중요합니다 나를 위한 너의 오열도 오
열 끝의 오한도 미안하지 않습니다 저승에서의 지복
도 나는 꿈꾸지 않습니다 궁극이 폐허입니다 한 세기
가 지나갈 때마다 한 삽씩 뜨거운 땅을 파고 이 별의
핵 지대로 내려가곤 했습니다 너를 만나길 지나치게
바랐기 때문입니다 이젠 그 안에 들어가 미리 누워봅
니다 생각보다 깊고 아득합니다 그렇지만 무섭고 춥
습니다
한 개의 여름을 위하여-부분-
내려앉는다
우주의 잔별들이 거스름돈처럼 지금
손바닥 위에
묵직하게
나는 부자가 되어
나락으로
편안히 가라앉는다
아무 일도 없는 듯한 오후
키 큰 꽃들은 창자를 내어 말린다
창자는 뼈처럼 단단해진다
어딘가에서 울음이 들린다
울음의 박자를 나는 젓가락으로 받든다
한 박자 하나, 반 박자 두 개
미지근한 커튼을 친다
바람만 들어오시고
빛은 나가 있으라
제발 나가 있으라
고양이처럼 사뿐하게
키 큰 꽃들의 뼈를 집는다
너와 나의 길목에 배열한다
가장 늦은 일이 돼야 할 것이다
내가 나를 찾아내는 건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전문-
자기 기억을 비워내기 위해
심장을 꺼내어 말리는 오후
자기 슬픔을 비워내기 위해
배를 가르고 내장을 꺼내 헹구는 오후
여자는 혼잣말을 한다
왜 나는 기억이나 슬픔 같은 것으로도 살이 찌나
왜 나의 방은 추억에 불만 켜도 홍등가가 되나
고통을 발명하다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