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침이 고인다
김애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9월
평점 :
질러 놓고 2년이나 묶힌 소설의 리뷰를 한다는 것도 좀 뭐하지만 여하튼.
'참, 잘 쓴다.'라는 생각을 나만 하지는 않을 것이다. 김애란을 읽어 본 사람 가운데.
김애란은 '결'을 쓰다듬을 줄 아는 작가 같다. 사람들의 마음에 어떤 결이, 무슨 멍이 들었는지
들여다 볼 수 있는 눈을 가진 작가다. 그것을 따박따박 문장으로 찍어낼 줄 아는 소질이
있다. <<달려라, 아비>> 부터 김애란에 열광하고 김애란이 각광받는 이유라고 본다.
그러나 만약 김애란의 직간접적인 경험과 읽는이의 감성이 맞닿지 않는다면 내 말은 다
'뻥'일 뿐이다.
구불구불한 골목과 빙빙 도는 지하세계의 기차, 옥상 위의 불켜진 창문, 하루에 두 번씩
한강 다리를 지나며 보는 한강에 대한 감상, 이런 것들에 당신의 감상이 닿는다면 아마 당신도
김애란의 독자가 될 것이다. 내가 그러하듯이.
그런 점에서 내 얘기를 대신, 알아서, 때론 쓰다듬어 주는 작가라면 홈빡 빠질법하지 않은가 말이지.
흔히 말하는 '제도권'에 진입하지 못하고 빙빙 도는 비루한 인생들. 그 가운데 여성이라면.
김애란은 '오바'하지 않는다. 그것이 그의 장점이기도 하다. 반지하에서 사람들의 구두 뒤축을
올려다보듯 그는 낮고 준비되지 못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곧잘 잘한다.
<플라이데이터리코더>는 좀 의외로 읽힌다. 여성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도 그렇고 다소
엉뚱한 '이야기'같은 줄거리도 그렇다. 김애란 '답지'않다고나 할까. 두 권의 소설집을 통해
'김애란 다운' 그의 스타일이 있다고 본다. 자신의 스타일을 확립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뒤집어 생각해보면 스타일은 곧 '한계'라는 등식이 성립될 수도 있다.
벌써부터 김애란의 스타일과 한계를 논한다는 건 이른 일이다, 아주. 그런 면에서 김애란이
펼쳐 보일수 있는, 발설하고 싶은 이야기 형식의 작은 단초는 아닐까 짐작해 본다.
어떻게 책장이 넘어가는지도 모르게 따라가다보면 한 편의 이야기들이 툭툭 떨어져 나간다.
그렇게 이번 소설집을 다 읽었다. 아쉬운 눈맛을 다시면서 말이다. 여전히 그들은 복잡한 골목
그 안에 있거나 어두운 방 앞에 멈췄거나 골방에서 불편하게 연필처럼 잠들어 있다는 생각에
불편한 어떤 이야기를 들킨것 같아 못내 불편하다, 그래서 잘 쓴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