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행
함정임 지음 / 강 / 1998년 4월
평점 :
절판


동행 함정임 1998 강

표제작 「동행」을 포함해 8편의 단편들을 묶었다. 97년 남편 김소진과 사별 후 근 1년여 만에 출간 되었다.
「동행」은 소설이라기 보다는 '생방송'을 보는 것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병상의 김소진과 동행한 사람은
그녀 뿐만 아니라 「동행」을 읽은 모든이가 아니었을까 싶다.

이 소설집은 결국 가족이야기다. 가족 이야기를 하면서 그 안에서 '내 이야기'를 하고 있다.
뻔한 이야기겠지만 개인의 자의식이 형성 되는 건 가족간의 관계이고 환경이다. 그런 점에서 함정임 뿐만 아니라
김소진은 불행했다는 생각이다. 물론 그 시대 자체가 어렵고 힘겨웠다.
경제적 가난 보다는 감성적 결핍이나 컴플렉스에 노출된 유년기를 보낸 사람은 많은 경우 일생동안 그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런 상처의 치유를 스스로 찾아내는 데 '문학'이라는 자리가 있기도 하다. 하지만
그 문학이 가져다 주는 영광이 한 인간으로써의 행복을 가져다 준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가 우러러 보거나
때론 부러워 하기도 하는 작가들이 있지만 그들의 작품이 나오기 까지 벌였던 사투에 우리는 무관심하거나
오로지 작품에만 관심이 있을 뿐이다. 작가의 불행으로 빚어낸 작품에만 우리는 열광할 뿐이다.
함정임과 김소진 역시 그런 울타리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물론 작가들이나 예술가들 가운데 이런 경우는 많다.

함정임이 이 소설집을 펴내는데 쉽지 않았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렇지만 '씀'으로해서 그녀는 스스로
치유했을지도 모른다. 한 자 한 자 써가면서 조금씩 벗어나고 떨치려 했을지도 모른다. 물론 많은 시간이
걸렸을 것이다. 10년도 넘은 이야기니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다. 그리 두껍지 않은 한 권의 책이지만 그 어떤
작품집 보다 힘겨운 작업이었을 것이다.

한 작가를 주목하고 그의 작품들을 따라가는 것도 그 작가를 이해하는 방법일 테이고 작품 이외의
일들도 함께 알아가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이라고 할 때 작가 함정임을 한 발 더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단서가 되는 글들일 것이다.

어찌되었든, 한 사람은 먼 시간 전에 우리 곁을 떠났고 다른 한 사람은 남았다. 동행이라고 해도 결국
어느 시간이 되면 한 쪽을 먼저 보내야 하는 게 우리 대부분의 경우다. 문제는 먼저 간 사람을 추억할 수밖에 없는
남은 사람이다. 남은 사람들이 벌여야 하는 난감하고 사나운 일들이 소설 곳곳에 있어 읽는 사람을 불편케 한다.

죽음 또는 사망이라는 현상은 누구에게나 닥치는 일이고 너무나 잘 알고 있지만 본인이 아닌 타인의 그 현상을
목도하고 견뎌야 하는 것은 여간한 일이 아님을 다시 한번 통감 한다.
자신의 죽음은 인생 최대의 충격적인 일이겠으나 그 충격은 사망과 함께 종료되는 것인만큼 그 지속 가능점은
한정돼 있다는 게 타인의 사망과 다른 점이다. 

그런데, 두 사람 모두에게 불행한 일은 그들의 아이 역시 그들이 겪었던 아버지의 부재나 부성의 결핍과 같은 상황을 겪어야 한다는 것
아닐까. 부모의 삶을 부정하는 자식들 이야기를 보면 결국 그 자식도 어쩔수 없이 유전된 인생을 살게 된다.
이런걸 운명이니 팔자니 이야기들 하는 것이지만 발버둥쳐도 벗을수 없는 굴레는 엄연히 존재한다는 것에
다시 한번 또렷해지는 인간의 나약함에 서글픔만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