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도를 기다리며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고도를 기다리며,라는 말은 한번쯤 들어봤을 것 같다
극장에서 공연되는 연극의 제목으로나 연극 홍보 포스터를 통해 들어봤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고도를 기다리며』는 사무엘 베케트가 1952년에 쓴 희곡으로
베케트에게 노벨상을 안겨준 작품이기도 하다.
연극의 내용은 큰 줄거리랄 것도 없다.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 라는 두 남자가 나와
밑도 끝도 없는 이야기를 나누다가 한번씩 고도는 언제 오느냐고 하는 게 거의 다다.
사이사이에 이어지는 이야기에 독자 나름대로 의미부여를 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 어떤 작가도 자신의 작품에 의미 없는 문장을 쓰지는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밑도 끝도 없는 이야기라고는 했지만 노벨상까지 타게 한 작품인데
허투로 쓰인 부분이 있을까 싶다.
초반에 나오는 한 장면은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매달린 두 죄수에 관해 복음서에 그걸 기록한 이야기인데 그 어떤 이야기를 창작해 쓰거나 인용할 수도 있는데 왜 하필 그 이야기를 할까 짐작해 보는것도 『고도를 기다리며』 가 가진 흥미로운 점 중 하나일 것이다.
이처럼 무엇인지 누구인지 조차 모르는 고도에 관한 큰 줄기만 있는 작품은 절대 아니라는 것이다.
어떤 이들은 Godot의 어원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파악하려 해보았는데 이를 두고 베케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 작품에서 신을 찾지 말라. (...) 여기에서 철학이나 사상을 찾을 생각은 아예 하지 말라. 보는 동안 즐겁게 웃으면 그만이다. 그러나 극장에서 실컷 웃고 난 뒤, 집에 돌아가서 심각하게 인생을 생각하는 것은 여러분의 자유다"
이 작품을 감상하는 제일 좋은 방법은 연극 관람이 아닐까 싶지만 희곡으로 만나보아도 그 의미망은 접할 수 있다.
나는 문학작품을 크게 나누어 볼 때 !(느낌표)를 주는 작품과 ?(물음표)를 주는 작품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물론 그 두 가지를 동시에 주거나 아무것도 주지 않는 작품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나는 물음표를 주는 작품을 선호하는 편이다.
그 가운데 『고도를 기다리며』는 결국 풀리지 않는 물음표를 던지는 작품이기에 오래 기억에 남은 작품이다.
『고도를 기다리며』를 읽거나 연극을 보고난 후 고도의 정체에 대해 왈가왈부 옥신각신하는 장면을 흔히 생각할 수 있지만 나는 고도의 정체보다 그 무언가를 기다린다는 그 상태에 대해 생각을 골몰하곤 했다.
인간으로 태어나 자신과 타자 그리고 세계를 의식하면서 시작되는 이성적인 기다림도 있겠고
본능적이고 원초적인 기다림도 있다. 일단 먹어야 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먹을 것이 입에 들어오기 까지의 기다림이 최초의 기다림에 관한 느낌이 아닐까 싶고 그것에서 시작해 우리는 살면서 수많은 기다림과 동거하며 산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죽음이 그 기다림이 되기도 한다.
고도라는 이름에 그 무엇을 대입하더라도 당사자에겐 모든 것이 고도가 될 수 있다.
한발 더 나아가 고도가 그 무엇이 되었든 간에 우리 각자는 고도라고 부를만한 무언가를 가져야 하는가. 또는 기다려야 할까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문제다.
그 아무것도 기다리지 않는 존재로써 다만 존재 그 자체로써 살아간다는 것에 대해서도 물음표을 새겨 본다.
누군가는 귀신 씨나락 까먹는 이야기라거나 자다가 봉창 두드리고 앉았네 하겠지만 그러거나 말거나 고도가 오거나 말거나 고도란게 있거나 말거나 나는 씨나락이나 까면서 봉창이나 두드리고 있을 것이다.
나는 이렇게 짧게 이야기할 수밖에 없었지만 그렇다고 작품이 가벼운게 아니다. 느낌표 가득했던 작품이라면 그 느낌에 대해 길게 이야기하겠지만 커다란 물음표 앞에서 어줍잖은 말을 늘어놓아봤자 불필요한 말일 뿐이다.
책을 덮고 모든걸 잊어버린다해도 ‘기다림’이라는 화두와도 같은 생각 하나는 지워지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한다. 『고도를 기다리며』와 같은 작품을 일컬어 불후의 작품이라 해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