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피의 세계 2
요슈타인 가아더 /장영은 / 현암사 / 228쪽
(2017. 1.  5.)




  뉴턴은 똑같은 법칙이 아주 곳곳에 모두 적용된다는 사실을 증명해서, 천상에서는 지상 세계와 다른 법칙이 적용된다는 중세의 낡은 관념을 몰아 냈다. 태양 중심의 세계관은 바로 그 같은 뉴턴의 생각을 통해 결정적으로 설명되고 증명되었다.
(P.73)



  "철학 체계가 무슨 뜻이죠?"
  "근본적으로 철학의 모든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하나의 대답을 얻으려는 철학적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고대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체계 설립자가 있었고, 중세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기독교 신학 사이에 다리를 놓으려고 한 토마스 아퀴나스가 있었지. 이어서 자연과 과학, 신과 인간에 대한 낡은 생각과 새로운 생각이 뒤엉킨 르네상스 시대가 열렸다. 17세기 들어 비로서 철학에서 다시 새로운 생각들을 하나의 철학 체계로 묶으려는 시도가 있었지. 그리고 이를 해 낸 최초의 인물이 바로 데카르트다. 그는 '무엇이 다음 세대에 가장 중요한 철학적 과제인가' 하는 문제에 첫 출발 신호를 했다. 데카르트는 우리가 무엇을 알 수 있는가, 곧 우리 인식의 확실성에 관한 문제 연구에 몰두하였다. 그가 마음에 두고 있던 두 번째 중요한 문제는 육체와 영혼에 관계였다. 이 두 가지 문제는 이후 150년 동안 계속해서 벌어진 철학 토론을 지배했다."
(P.106)



  데카르트는, 우리가 어떤 것이 참이라는 것을 명석하고 판명하게 인식할 수 없다면 아무것도 참이라고 간주해선 안 된다고 하였다. 그런데 진리를 깨닫기 위해서는 복잡한 문제를 가능한 한 낱낱의 부분으로 많이 나누어야 한다고 생각했지. 그러면 우리는 가장 단순한 사유에서 출발할 수 있단다. 어쩌면 네가 각각의 생각을 하나 하나 무게를 달고 치수를 잰다고 말할지도 모르겠구나. 갈릴레이가 모든 것을 재야 하며, 잴 수 없는 것도 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한 말과 비슷하게 말이다. 데카르트는 이런 식으로 철학자는 단순한 것에서 출발하여 복잡한 문제로 사유를 전개해서 새로운 것을 알 수 있다고 생각했지. 이 경우 끝까지 지속적인 검사와 감독을 통하여 빠뜨린 것이 없는지 검토해야 한다. 데카르트는 그런 과정을 통해서만 철학적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
(P.108)



  스피노자는 존재하는 모든 것이 자연이라고 말하면서 신과 자연을 같은 것으로 보았다. 그는 존재하는 만물 속에서 신을 보았고, 신 속에서 만물의 존재를 보았다. 스피노자는 신은 세계를 창조하고 나서 그 옆에 있는 분이 아니라 바로 세계라고 생각했다. 어느 때는 표현을 바꿔 세계가 신안에 있다고 했다. 이 말은 아레이오스 파고스 법정에서 '우리가 신안에서 살고, 활동하면, 그 안에 있기 때문이다.'라고 한 사도 바울의 말을 인용한 것이다.
(P.126)



   연장된 존재에 관하여 로크는 데카르트와 마찬가지로 그것이 인간의 지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성질들을 나타내 보인다고 생각했다. 로크는 다른 영역에서도 '직관적' 혹은 '논증적' 지식을 인정한다. 한 예로는 그는 윤리적 원칙은 모든 사람에게 다 주어져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더불어 로크는 소위 자연권 사상을 표방했다. 자연권 사상엔 합리주의적 특징이 있다. 아울러 로크가, 신이 존재한다는 인식이 바로 인간의 이성에 내재해 있다고 믿은 것 역시 분명한 합리주의적 특징을 지닌 생각이다.
(P.148)


  책임 있는 행동은 이성을 예민하게 갈고 닦음으로써가 아니라, 도리어 타인의 고통과 행복을 같이 느낄 수 있도록 우리의 감정을 예민하게 갈고 닦음으로써가 아니라, 도리어 타인의 고통과 행복을 같이 느낄 수 있도록 우리의 감정을 예민하게 갈고 닦음으로써 가능해진다. '논리적으로만 따짐다면 전세계의 멸망보다 내 손가락의 작은 상처를 더 염려하는 것이 비이성적이어야 할 까닭이 없다.'고 흄은 주장했다.
(P.170)


  계몽주의자들은 이성과 지식이 널리 보급되고 나면 인류가 커다란 진보를 이룰 수 있으리라 믿었다. 그것은 단지 시간 문제며, 비합리성과 무지가 사라지고 계몽된 인간이 출현하리라고 생각했지. 이런 생각은 몇십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서유럽에서 지배적인 생각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지식이 많을수록 세상이 더 좋아지리라는 말을 무턱대고 믿을 수는 없게 되었다. 그런데 실은 이러한 문명 비판적인 생각 역시 프랑스 계몽주의자들 자신에게서 유래한 것이다.
(P.2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