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성장소설 (교사가 말하는)
학교도서관저널 / 280쪽
(2015.11.19.)

 

 



  우리가 책을 읽고 영화관에 가는 것은 현실을 잊거나 현실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고 싶어서이고 글이나 화면을 좇으면서 다른 사람이 짊어진 짐을 뎔여다본다고한다. 그동안 책을 읽고, 글을 쓰며 내가 느낀 점이 있다면 누구나 자신만이 할 수 있는 나의 이야기가 있고 그것을 드러내는 것은 결코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 이야기야말로 각자의 인생이 유일무이하고 소중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준다. 작가가 그토록 골몰한 자신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숨겨진 역사와 사람들에 대해 새로운 사실을 알려 주며 먹먹한 감동을 전한다.
(P.30)

 

 

  책은 다양한 관계의 모습을 배울 수 있는 좋은 스승이다. 관계를 힘들어 하는 아이들에게 종종 권하는 책이 <구덩이>다. <구덩이>는 한 사람이 얼마나 신비로운 관계 속에 존재하는지 잘 보여 준다. 마음이 상한 아이를 배시시 웃게 만드는 재미는 물론 말할 것도 없다.
(P.77)

 


  아이는 태어나면서부터 부모를 통해 모델 학습을 한다. 그러다 자기 또래들과 학교를 만나면서 본격적인 성장을 하게 된다. 친구 관계, 학업 고민, 진로 문제 등으로 다양한 모양의 폭풍우를 만난다. 마지막 성인의 문턱을 넘어설 때까지 폭풍우는 지속된다. 이때 중심을 제대로 잡지 못하면 폭풍우에 휩쓸리고 만다. 아이의 가정환경이 불우하다면 가혹한 폭풍우 속에서 중심 잡기는 더 힘들어진다.
(P.138)

 


  진로는 평생을 두고 고민해야 한다. 인생 선배라면 진로 고민을 하는 청소년기는 결정을 내려야 하는 시점이 아니라 시작점임을 알려 주어야 한다.
(P.145)

 


  시대를 표현하는 문학작품은 음악과 영상만큼 느낌이 강렬하지도 파급효과가 대단하지도 않다. 글은 읽기도 힘들뿐더러 그 감동을 느기려면 생각해야 하는 수고도 해야 한다. 하지만 영상과 음악이 감동을 즉각적이라 여운이 빨라 사라진다면, 생각거리를 붙잡고 고민해야만 뭔가가 개달아지는 책 읽기는 그만의 특별함이 있다. 영화나 음악처럼 단박에 마음을 사로잡지는 못하지만 책 읽기와 그에 관한 생각은 마음의 키를 훌쩍 크게 한다. 몸이 성장하는 청소년기에 마음의 키도 크게 하는 책 읽기를 해야 하는 이유다.
(P.152)

 


  부모들은 성장하면서 자신들의 품을 벗어나 또래 친구들에게 집착하고, 또래들과 무리 지어 있는 자신의 아이를 낯설어한다. 이제까지 자신이 돌보아 온 아이의 얼굴과 많이 달라서 놀란다. 때론 아이의 모습에서 잊고 싶었던, 이것만을 닮지 않았으면 했던 자신의 모습을 보기도 할 것이다. 학부모를 만나 보면 그 아이가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어른이면 어른답게 이해하고 기다려 주어야 하는데 그런 현명한 어른은 많지 않다. 그 어른들도 그들의 부모나 어른에게 세심한 배려를 받은 적이 없거나 두려움을 극복한 기억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P.185)

 


  악셀 호네트는 <인정투쟁>(사월의책)에서 인간은 스스로 원하는 것과 자기에 대한 타인 혹은 소속 집단의 기대, 평가와의 긴장 관계 속에서 자기 정체성을 형성한다고 말한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타인의 평가와 기대에 자신을 맞추고 타인의 인정을 받으려 하거나 개인이 원하는 것을 타인이 인정하게 하려고 한다. 즉,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인 '인정 욕망'을 충족하기 위해 끝없이 투쟁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 인정의 대척점에는 '무시'가 존재한다. 개인은 타인으로부터 항상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없다.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이 좌절되면 무시로 인한 수치심이 발생하는데 이는 개인에게 뼈아픈 상처가 되어 자존감에 영향을 미친다. 때때로 일원을 향한 무시는 그 주체가 다수 구성원일 경우 개인에게 '사회적 죽음'과 마찬가지로 다가오기도 한다. '인정'과 '무시'사이에서 개인이 흔들리는 순간, 집단 안에는 '권력'이 태동한다. 개인의 '인정 욕망'을 좌지우지하는 패러다임을 주도하는 자(혹은 집단)가 권력의 정점에 서는 것이다.
(P.2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