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둥이 톰 존스 이야기(2)
헨리 필딩 / 김일영  문학과지성사 / 651쪽
(2014. 05. 10.)

 

 


  훌륭한 당신에게 어떤 등장인물이 완벽할 정도로 선량하지 않다고 해서 그를 나쁜 사람이라고 비난하지는 말라고 충고해야겠소. 당신이 그처럼 완벽한 인물을 좋아한다면, 당신의 취향을 충족시킬 책들은 많이 있소. 하지만 우리가 우리가 대화를 나누고 있는 지금 이 순간까지 나는 그런 사람을 만난 적이 한 번도 없었기 때문에, 그런 인물을 등장시키지 않았던 것이오. 솔직히 말해, 인간이라는 존재가 과연 그처럼 완벽한 미덕을 갖출 수 있을지 의심스럽소.
(P. 21)

 

 

  선량한 사람들이 찬사를 보내고 사랑할 정도로 선한 성품을 지닌 사람에게 "유약한 인간에겐 필연적인" 사소한 결점이 있다 하더라도, 그런 결점은 혐오감보다는 동정심을 불러일으키는 법이오. 이런 부류의 사람이 갖고 있는 이와 같은 불완전함보다 도덕적으로 더 유용한 것은 없는데, 이는 이들의 불완전함이 악의적이고 사악한 사람들의 결점보다도 우리에게 더 많은 영향을 끼치며 우리 마음속에 오랫동안 남기 때문이오. 좋은 면을 많이 갖고 있는 사람의 약점과 결함은 그들이 갖고 있는 장점과 대조를 이루어 더욱 두드러지게 드러나 결국 그 추악함을 더욱 잘 드러내주는 법이오. 따라서 우리가 좋아하는 인물에게서 나쁜 결과를 초래하는 어떤 결함을 발견했을 때, 우리는 우리 자신을 위해서라도 그런 결함을 갖지 않으려 할 뿐만 아니라,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그 결함이 미친 해약 때문이라도 그 결함을 증오하게 되는 것이오.
(P. 21)

 

 

  자기가 쓴 책에 대한 작가의 애정은 자식에 대한 아버지의 애정만큼이나 절대적인 것이며, 이런 애정만큼 세속적인 이해관계와 잘 부합하는 것도 없을 것이오. 작가의 자식인 책은 진정한 의미에서 아버지인 작가의 재산이라고 부를 수 있으며, 이 중 상당수는 진정한 효심을 발휘하여 노년의 부모들을 먹여 살릴 수도 있개 때뭄니오. 따라서 독설로 작가의 책을 때 이르게 파멸시키는 중상모략가는 작가의 감정을 상당히 상하게 할뿐만 아니라 작가의 재정에도 상당한 손실을 입히는 셈이 되는 것이오.
  마지막 한마디 더 하자면, 책을 헐뜯는 것은 그 책의 저자를 헐뜯는 것이오. 누군가를 사생아라고 부르려면 그의 어머니를 창녀라고 부르지 않을 수 없듯이, 어떤 책을 졸작 혹은 끔찍한 난센스라고 부르면 그책의 저자를 바보라고 부르는 것이나 매한가지이기 때문이오.
(P. 77)

 

 

  의심에는 두 가지 등급이 있는 것 같소. 그중 첫번째 등급은 마음에서 나오는 것으로 상대방을 간파하는 속도가 엄청나게 빠른데, 이는 그전에 이미 의심하고자 라는 내면적 충동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나타내오. 이런 의심 중 최고의 경지에 달한 것은 의심의 대상을 종종 스스로 만들어내기도 하고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기도 하며 실제로 존재하는 것 이상의 것을 볼 수 있게도 하는 의심이오.
(P. 138)

 

 

  의심의 두번째 등급은 머리에서 비롯되는 것이오. 이것은 정말이지 눈앞에 있는 것만을 보고, 오직 그것으로부터만 어떤 결론을 유추해해는 능력이오. 눈앞에 있는 것을 보는 것은 눈이 있는 사람이라면 피할 수 없는 행위고, 본 것으로부터 어떤 결론을 이걸어내는 것은 두뇌를 가진 사람이라면 필연적으로 할 수밖에 없는 일이오. 앞서 말한 의심이 아무 죄없는 사람들에게 철천지원수이듯이, 이번 의심은 조를 지은 사람들에게 철천지원수요. 인간인지라 때로는 실수를 저지르기도 하지만, 이런 종류의 의심을 나는 나쁘게 생각하지 않소.
(P. 1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