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인터넷서점을 Yes24에서 알라딘으로 완전히 옮겼다. 주로 교보문고를 포함하여 인터넷 서점 3곳을 비교해가며 주문하던 습관에서 벗어나 한곳으로 안착해버렸다. 가장 중요한 이유는 시간이 흐르면서 특별히 어느 한 서점이 더 싸다고 판단내리기가 귀찮았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둘째는 책 커뮤니티 생태계가 잘 갖춰진 곳을 고르다보니 알라딘이 블로그 등이 가장 활발히 활동하고 있었던 이유이다. (그래도 여전히 외국서적을 구매할 때는 Yes24와 교보문고, 그리고 Amazon을 먼저 기웃거린다. 알라딘은 외국서적의 품종이 여전히 다양하지 못하다.)
알라딘은 책생태계를 만들어 독자들이 찾아오게 하는 강점이 있다. 책이란 여전히 입소문이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는 상품이다. 수없이 많이 쏟아져 나오는 책의 물결속에 어떤 책을 선택할지 결정할 때 고려하게 되는 지점은 책의 완성도이다. 여기에 책의 짜임새, 깊이, 재미 등 모든 것이 포함된다. 알라딘에서는 수많은 블로거가 충실히 이 역할을 수행한다. 회사의 MD가 소개하는 책은 사실 선택에 영향을 크게 끼치지 못한다. 거기엔 언제나 판매가 제일의 목표가 되기에 장사속이 숨어있다. 이에 비해 블로거들의 선택은 나름 전문성을 띤다. 특히, 장르소설 등 특정분야의 마니아들이 잔뜩 포함돼 있다. 여기에 블로거들의 순수성이 가장 중요한 대목이다. 그들은 좋은 책을 소개하는데 혈안(?)이 돼있다.
알라딘은 책마니아에 상당한 빚을 지고 있는 셈이다. 우리나라에서 독서인구는 정체되어 있지만 독서인구중 일인당 책소비량은 증가하고 있다. 그 이야기를 해석하자면, 책을 좋아하고 읽는 사람만 계속 책을 읽는다. 텍스트를 소비할 수 있는 조건이 종이책뿐만 아니라 너무 다양해져 있기 때문에 독서인구의 감소는 어쩔수 없다. 충성스런 독자를 모을만한 환경을 갖추고 있는 알라딘으로서는 이들 책마니아를 끌어들일만한 매력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셈이다. 그래서 신책의 구매뿐만 아니라 중고책매매 등 부수적인 시장까지 확대할 수 있었다.(비슷한 인터넷 서점인 Yes24는 이에 비하면 개점 휴업상태이다.)
알라딘의 장점은 달리 보면 알라딘의 한계를 보여준다. 종이책이야 그렇다 하지만 다음은 무엇일까? 요즘 한창 이슈인 전자책이 그 대안일지 모른다. 하나의 카테고리로 전자책은 알라딘에서도 당당히 그 위치를 차지한다. 올해 급격히 전자책매출이 증가했다고 하지만 여전히 전체 매출에서 그리 큰 부분은 아니다. 전자책의 확대에 발맞춰 알라딘은 작가가 직접 자신의 원고를 전자책으로 전환해 올리고 판매할 수 있는 장터까지 마련해 놨다. 그런데 문제는 다음부터이다. 여기에 적극적으로 읽을만한 전자책을 검증할 장치가 별로 없다. 고작해야 MD추천 등이 엿보일 뿐이다. 아마도 대부분 작가가 직접 올린 전자책원고는 판매량이 미비할 듯 하다. 인지도도 없는 작가가 단순히 책을 올린다고 해서 읽어줄 독자가 몇이나 있을까.
책이란 전통적인 지식산업의 대표적인 매체이다. 텍스트를 전달하는 오래된 통로인 셈이다. 텍스트는 소멸하지 않을 것이다. 종이책도 판매는 줄어들지 언정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사람들이 텍스트를 소모하는 통로가 달라질 뿐이다. 알라딘이 좀 더 자신의 미래를 고민한다면 전자책시장을 여는데 그치지 말고 이를 적극적으로 확대할 고민이 필요하다. 종이책의 생태계와 전자책의 생태계는 다르다. 종이책의 마니아가 전자책의 마니아와 외연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어떻게 전자책의 독자를 확대할까? 이 질문이 알라딘이 답해야 하는 질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