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권 국가 공동체의 본질
제1장 공동체로서의 국가
제2장 국가는 본성상 존재하기 마련이다
제3장 가정과 노예
제4장 도구로서의 노예
제5장 노예제도는 자연스러운 것이다
제6장 법적 노예제도와 자연적 노예제도의 관계
제7장 노예 지배의 특성
제8장 재산 획득 기술에 관하여
제9장 재산 획득의 자연스런 방법과 부자연스런 방법
제10장 가사 관리의 적절한 한계: 대부는 부자연스러운 것이다
제11장 독점의 발생에 관하여
제12장 남편의 권위와 아버지의 권위에 대한 간단한 고찰
제13장 가정에서의 도덕성과 효율성

제2권 이상국가
제1장 국가 구성원의 재산공유
제2장 플라톤의 ‘국가’에서의 극단적 통일성에 대한 비판
제3장 지나친 통일성은 비현실적이다
제4장 처자 공유제에 대한 비판(속편)
제5장 플라톤의 ‘국가’에서의 재산 공유제에 대한 비판
제6장 플라톤의 ‘법률’에 대한 비판
제7장 팔레아스가 제안한 정체에 대한 비판
제8장 밀레토스의 힙포다모스가 구상한 정체
제9장 스파르테 정체에 대한 비판
제10장 크레테 정체에 대한 비판
제11장 카르케돈 정체에 대한 비판
제12장 솔론과 다른 입법자들

제3권 시민과 정체에 관한 이론
제1장 시민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제2장 시민에 대한 실제적 정의
제3장 국가의 연속성과 정체성
제4장 훌륭한 시민의 탁월함
제5장 직공도 시민이 되어야 하는가?
제6장 바른 정체와 그른 정체
제7장 올바른 정체와 왜곡된 정체의 구분
제8장 경제를 기준으로 한 정체의 구분
제9장 정치권력의 올바른 배분
제10장 국가의 최고 권력
제11장 집단의 판단은 현명하다
제12장 정의와 평등
제13장 공직에 대한 요구
제14장 왕정의 다섯 가지 유형
제15장 왕정과 법의 관계1
제16장 왕정과 법의 관계2
제17장 왕권의 최선의 형태
제18장 이상적인 왕의 교육

제4권 실제 정체와 그 변형들
제1장 정치학의 과제와 대상
제2장 정체들의 질적 순위
제3장 정체는 왜 여러 가지인가?
제4장 국가의 여러 부분과 민주정체의 여러 종류
제5장 과두정체의 여러 유형
제6장 민주정체의 네 가지 유형과 과두정체의 네 가지 유형
제7장 귀족정체의 여러 변형
제8장 ‘혼합 정체’와 귀족정체의 차이
제9장 과두정체와 민주정체의 혼합으로서의 ‘혼합정체’
제10장 참주정체의 세 가지 유형
제11장 대부분의 국가를 위한 가능한 최선의 정체
제12장 정체에서의 질과 양의 균형
제13장 다수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올바른 전략과 그릇된 전략
제14장 정체와 심의권
제15장 정체와 집행권
제16장 정체와 재판권

제5권 혁명과 정체 변혁의 원인들
제1장 정체 변혁의 일반적 원인1
제2장 정체 변혁의 일반적 원인2
제3장 정체 변혁의 개별적 원인
제4장 정체 변혁의 직접적 원인
제5장 민주정체가 전복되는 이유
제6장 과두정체가 전복되는 이유
제7장 귀족정체가 전복되는 이유
제8장 정체를 보존하는 방법1
제9장 정체를 보존하는 방법2
제10장 독재정체의 기원과 전복
제11장 독재정체 특히 참주정체의 보존 방법
제12장 참주정체의 단명. 정체 변혁에 관한 플라톤 이론에 대한 비판

제6권 민주정체와 과두정체는 어떻게 구성해야 가장 안정성이 있는가
제1장 민주정체의 구성 방법1
제2장 민주정체의 구성 방법2
제3장 평등을 확보하는 방법들
제4장 최선의 민주정체
제5장 민주정체는 어떻게 유지되는가
제6장 과두정체의 구성
제7장 과두정체는 어떻게 유지되는가
제8장 공직에 관한 포괄적 고찰

제7권 이상 국가와 교육의 원리
제1장 국가와 개인의 행복
제2장 정치적 삶과 철학적 삶1
제3장 정치적 삶과 철학적 삶2
제4장 이상국가의 규모
제5장 이상 국가의 영토
제6장 바다의 중요성
제7장 기후와 성격
제8장 국가의 구성원과 본질적 기능
제9장 공동체 내에서의 역할 분담과 연령층
제10장 식량 공급과 농토 분배
제11장 도시의 위치와 설계
제12장 도시 설계. 장터와 신전과 공동 식사 장소의 위치
제13장 정체의 목표로서의 행복
제14장 최선의 정체에서의 시민 교육
제15장 여가 선용을 위한 적절한 교육
제16장 결혼과 출산
제17장 유소년 교육

제8권 공교육
제1장 공공의 관심사로서의 교육
제2장 교육의 목표에 관한 논쟁
제3장 음악의 역할
제4장 체력 단련
제5장 음악 교육1
제6장 음악 교육2
제7장 음악 교육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