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남 혹은 없어짐 - 죽음의 철학적 의미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28
유호종 지음 / 책세상 / 200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피해가기, 뛰어넘기, 함께하기
죽음을 바라보는 태도
는 몇 가지로 나뉜다. 하나, 죽음은 지금이 아니라 미래이기에 피해간다. 둘, 종교에 위탁해 영생을 꿈꾼다. 셋, 죽음은 삶의 다른 얼굴이기에 응시한다. 지금 나는 죽음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종교적 믿음을 지니지 않는다면 대부분 사람은 죽음을 피해간다. 삶의 끝자락에 오는 일이므로 삶을 즐기기에도 부족한 지금 문제가 될 수 없다. 하지만 사신의 얼굴이 문득 우리를 방문하면 서늘한 기운을 느낀다. 죽음은 삶의 이면에 착 달라붙어 있을 수 밖에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죽음은 철학에서 중심된 화두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가장 절박한 문제가 이토록 홀대당한 이유는 죽음이란 경험할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누구나 죽지만 자신의 죽음을 경험할 수 없다는 이유가 죽음에 대한 풍부한 논의를 가로막는다. 경험할 수 있는 죽음이란 나의 죽음이 아니라, 타인의 죽음이다. 1인칭 죽음으로서 나의 죽음은 경험할 수 없다. 죽음이 산 자에게 의미 있게 다가오려면 정서적으로 가까운 이의 죽음을 바라봐야 한다. 이런 죽음은 2인칭 죽음으로 삶을 무겁게 한다. 신문과 방송에서 스치듯 지나가는 죽음의 기사는 3인칭 죽음에 불과하다. 우리 삶에 죽음을 고뇌할 진동을 유발하지 않기에 그렇다.

죽음의 철학
죽음은 인간이라면 누구나 맞이할 수밖에 없는 사건이다. 가장 중대하고도 가장 확실한 사건이 바로 죽음이다. 이 두 질문을 화두로 유호종의 “떠남 혹은 없어짐-죽음의 철학적 의미”는 죽음을 철학적으로 반성한다. 저자가 죽음을 바라보는 갈래는 세 가지이다. 죽음 이후를 묻는 인식적 질문, 죽음은 나쁜 일인지를 묻는 정서적 질문, 뇌사와 죽음의 시점을 묻는 실천적 질문이다. 저자가 다루는 철학적 반성의 세 갈래는 하나하나가 쉽지 않다. 짧은 지면에 죽음에 제기될 수 있는 철학적 논의를 담으려 한다. 차라리 한정된 주제에 저자가 자신의 논의를 집중했으면 어떨까하는 아쉬움이 앞선다. 
 

저자는 죽음을 유명한 철학자의 입을 빌려 전달하지 않는다. 앞서 거론한 세 질문에 자신이 고민한 답을 내놓는다. 이 책의 가치는 바로 여기에 있다. 특히, 앞선 두 질문에 대한 작가의 답변은 고민해볼 거리를 던진다. 첫째로, 내가 죽은 뒤 나는 사라지는가라는 인식적 질문에 답한다. 죽음이 가져오는 의식소멸이 반드시 나의 존재가 무로 돌아간다는 결론을 이끌지 못한다. 칸트의 도식을 빌러 경험적 참은 절대적 참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인간이 지닌 인식의 한계로 언제나 오류의 가능성이 있을 수밖에 없다. 둘째로, 나의 죽음이 반드시 나쁜가라는 정서적 질문에 저자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죽음이 나쁘다라는 판단을 내리기 위해 비교가치 또는 내재가치를 따져야 하는데 어느 비교도 죽음이 나쁘다라는 결론을 이끌 수 없다. 
 

이 책에서 내린 결론은 죽음을 적극적으로 규정하기 보다 소극적으로 결론내린다. 이 정도의 결론에 만족할 독자도 있을지 모른다. 죽음이 끝이 아닐뿐더러 나쁘지 않다는 희망을 이 책은 내비친다. 이 얼마나 희소식인가? 하지만 저자의 논증은 생각해볼 거리를 던진다. 첫째, 인간 인식의 한계를 들어 죽음너머가 무가 아니라는 주장이다. 내가 보기에 여전히 인간의 죽음 뒤에는 무가 올 가능성이 크다.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 해서 더 확실한 지식을 포기하는 게 합당할까? 둘째, 죽음의 가치판단이 힘들기에 나쁘다고 말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좋다’ 또는 ‘나쁘다’라는 가치판단은 세계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선택한 삶의 양태에 따라 죽음의 가치는 달라진다. 우리의 선택하는 삶에 따라 죽음의 가치는 달라지는 문제이다.

죽음의 기술(ars moriendi)
죽음에 대한 탐구란 결국 우리가 어떻게 좋은 삶을 살아야 하는가라는 문제
로 탈바꿈한다. 중세 서양에서 좋은 죽음을 맞이하기 위하여 미리 연습했다던 죽음의 기술이란 별게 아니었다. 사랑하는 사람에 둘러싸여 죽지 못하는 비극을 막기 위해 매일 아침 기도하는 일이었다. 죽음 이후가 무엇인지 중요하지 않다. 지금 밝은 태양아래 사는 이에게 삶은 가장 중요한 화두이다. 죽음의 그림자에 떨기 보다 사랑하는 사람의 온기를 느끼는 일이 더 중요하지 않은가? 좋은 삶을 살자. 이를 위해 죽음을 기억하라(Memento Mor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