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마존에서 중고로 주문한 럿셀의 "Theory of knowledge"가 왔다. 럿셀이 하루에 열 페이지씩을 써갈기며 야심적으로 진행하던 프로젝트였으나 비트겐쉬타인의 비판으로 집필을 포기해야 했던 문제의 그 저작이다.

편집자의 서론을 읽었다. 감상. 비트겐쉬타인의 비판으로 책을 포기해야 했을 때 럿셀의 마음이 얼마나 아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자살 충동을 느꼈다는 말이 헛말이 아니었을 것 같다. 그럼에도 럿셀이 그 충격을 비트겐쉬타인에 대한 사적인 감정과 연결시키지 않았다는 점은 인정해야 할 것 같다. 럿셀은 철학자였으니 그것이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일 테지만 말이다.

아무튼 읽어야 할 책이 하나 더 늘었다. 책 분량부터 확인하게 되더라.

2. 앤스콤의 "An interoduction to Wittgensein's Tractatus"를 읽기 시작했다. 서문에, 말하자면, 철학자들의 저작을 이해하려면 기존의 선입견을 떨쳐버리고 그 철학자들이 해결하고자 한 문제들을 찾아 함께 궁리해 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라는 식의 조언이 나온다. 지극히 옳은 말이다. 철학책을 읽는 유일한 방법은 스스로 철학을 하는 것 뿐이다.

서문 각주에 멋진 이야기가 있어서 각주 전체를 옮겨두려 한다. 플라톤의 것이라고 하는데 내가 요즘 고민하고 있는 문제와 딱 닿아 있다.

" In judging, one judges something; in judging something, one jugges something real; so in judging something unreal one judges nothing; but judging nothing, one is not judging at all"(Plato's Theaetetus 189A) Wittgenstein returned to the problem presented by this argument again and again through his life.

심오함이란 생산성이다. 그런 의미에서 플라톤은 심오하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weekly 2013-08-13 18: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박해근님//
개인 신상 정보를 노출하셔서 부득이 댓글을 지웁니다. 양해해 주세요.

박해근 2013-08-21 14: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선입견을 버리라는 말은 문명`문화를 모르고 하는 말이다,사람의 생각은 뇌에 기록하여 그 형상곧 경험(첫벌을 읽어야 알 수있다)을 바탕으로 말을 듣고 읽고 (생각)하게 되어있다."선입견을 버리고"라는 뜻은 경험한 것을 버리고라는 말과 같다,사람은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하여 말을 듣고 글을 읽는데 그 경험한 것을 버리고 읽고 듣기란 지극히 어려운 일이다.철학을 하는 사람`새로운 이치나 원리를 발견한 사람 들은 이 선입견을 버리고 생각(궁리)를 한 것이다.이 일을 "첫 벌"에서는 골(머리)을 비우고 듣고 골을 체워 마하라고 했다.그러나 사람은 보편적으로 골을 비우기란 지극히 어려운 일이다,마치 벼락을 맞는 일과 같이.지금까지의 문화에서 이 개념이 없어서 이 글의 표현으로 "지극히 어렵지만 선입견을 버리고"라는 표현이 낮다.골을 비우는 것에서 철학은 시작된다.

weekly 2013-08-21 20:24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말씀 잘 들었습니다. 철학은 표현에 대한 것이 아니라 사상에 대한 것이라는 말에 동의하시리라 믿습니다. 똑같은 '선입견'이란 말을 통해 박해근님과 앤스컴은 각기 다른 사상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앤스컴은 일상적인 의미에서 '선입견'이란 말을 사용했고 박해근님은 좀 더 특수하고 심층적인 맥락에서 이 말을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선입견'이란 말에 어떤 정의를 담든 그것은 님의 권리이겠지요. 그러나 님의 정의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이유를 저는 모릅니다. 그러므로, 님처럼 "지극히 어렵지만", 혹은 좀 더 엄밀하게 "선입견이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로 이해되는 한에서" 라는 식의 단서를 '선입견'이란 말 앞에 붙여야 한다는 주장에 저는 동의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