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 차별 - 그러나 고유한 삶들의 행성
안희경 지음 / 김영사 / 2025년 1월
평점 :
오래전 읽은 키키키린의 편지가 생긱났습니다.
***************************
나카지마 게이지 씨께
한 사람, 한 사람 다르게 태어나니
당연히 차별은 있을 수밖에 없죠.
따돌림은 차이에서 생겨나니까요.
나도 누군가를 따돌렸고
또 따돌림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그것을 없애겠다는 건
끝이 없는 여정일 테죠.
2016년 8월 5일
키키 키린
추신:자, 우리 모두로봇 인간이 된다면,
그건 지루하겠죠?
***************************
내게 익숙한, 틱낫한 스님이 전파한 단어 인터빙inter-being의 변주를 여울과의 대화에서 마주해 반가웠다. 영어로 휴먼빙human being이라 일컫는 인간이 실은 상호의존적으로존재하고 있음을 설파하는 영어 신조어다. 서로 안에 얽혀존재하는 인간, 인터빙. 생명의 순환을 통찰하는 오래된 시선들이 서로 맞닿아 있음을 새삼 알았다.
이민은 출신 국가의 경제력이 친정 부모의 능력처럼 작동한다. 가난한 나라에서 결혼하러오면 "돈 벌러 왔다"라는 소리를 듣고, 부자 나라에서 오면 글로벌 가족이라고 불린다. ‘다문화 가정‘은 ‘무시‘를 허용하는 용어가 되었다. 둘 다 지위 하락을 경험한다. 그리고 결승점이 아닌 출발점이다.
유년을 보낸 공간, 청소년기 삶의 터전른 한 사람을 형성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공간이 곧 각자의 세계이고 그 속에 마음을 이루는 관계가 얽힌다. 지금 한국에서 이주민 2세, 3세가 자라고 있다. 왜 정체성 질문을 받지 않는 다수가 타인의 소수자성, 이방인의 시간을 염두에 두어야 할까? 함께 살고 있어서다. 그들은 주류 곁에 있고 다름이 드러날 때마다 느닷없이 정체성을묻는 말을 듣는다. "어디서 왔어요?" 20년 전 귀화한 방글라데시계 한국인, 베트남계 한국인, 미국계 한국인도 수시로 질문을 받는데 그 속뜻은 ‘왜 여기 있어요?‘일 것이다. 질문하는 그대는 왜 거기 있는가? 고양이는고양이를 선택해 태어나지 않았다. 자작나무도 인간도 그들이선택한 게 아니다. 태어난 곳도 마찬가지다. 다만 인간은 잘살고자 의지를 북돋워 이주를 감행한다. 한국 경제는 이미 이주민 없이는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에 다다랐다. 함께 잘 살아야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다.
누구나 다름을 안고 살아간다. 그 다름이 초라함의 길목이 되지 않도록 마음으로 연결되는 관계가 두루 스며들길... 그래서 우리의 다름이 결코 위험해지지 않기를 소망한다.
취약함을 보살피는 일상의 태도가 쌓이고 쌓여 정성을 기울인 사람까지 살리는 일이 일어날 때, 서구 전통에서는 이를 ‘은총‘이라 부르고 극동 문화에서는 ‘복 받았다‘라고 부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