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12 매일 시읽기 45일
홀로(Alone)
- 이하이 노래 / 안신애 작사 / 글로잉독 작곡
홀로 있는 게 가만히 있는 게
어려운 일인가요
홀로 있어도 같이 있어도
외로운 건 같아요
One day it will stop
말하는 대로 생각한 대로
되는 것 아닌가요
햇빛을 쬐고 숨 쉬어 봐도
쉽지는 않네요
One day it will stop
And I’m gonna stop cryin’, stop feelin’, stop thinkin’ ‘bout you my babe
이제 그만 울 거야 나 올 거야 나를 더 아껴줄 거야
And I’m gonna stop …
쟤보다 내가 나보다 쟤가
나은 게 중요한가요
수많은 날을 괴로워하다
이제 좀 알겠어요
가만히 앉아 걱정하기엔
난 너무 소중해요
들여다봐요 맘속의 민낯
그대로 괜찮아요
It’s gotta stop
And I’m gonna stop cryin’, stop feelin’, stop thinkin’ ‘bout you my babe
이제 그만 울 거야 나 올 거야 나를 더 아껴줄 거야
And I’m gonna stop …
And I’m gonna stop
홀로 있는 게 가만히 있는 게
어려운 일인가요
홀로 있어도 같이 있어도
외로운 건 같아요
One day it will stop
얼만 전 친한 동생이 ˝언니 선물˝ 하며 최신곡들을 톡으로 쏘아주었다. 열네 곡 중 나의 뇌와 심장에 톡! 박힌 것이 이하이의 ‘홀로‘였다. 나는 책과 달리 노래는 날마다 찾아서 듣는 사람이 아니다. 어느 날 문득 노래가 생각나면 듣고, 이렇게 누가 날라주면 듣고,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면 듣고, 그러다 맘에 들면 주구장창 듣는다. 가사는 거의 못 외우고, 외우지 않는다. 외우려 하지 않는 날들이 길어져 못 외우게 된 것 같지만.
아무튼, 이하이의 ‘홀로‘는 2020년 7월에 발매한 디지털 싱글 앨범 타이틀곡이다. 찾아 듣지 않았으니 발매 당시로부터 얼마 전까지 몰랐던 사실이다. 앨범 소개글은 이렇다. ˝홀로 남아 외로움의 시간을 견뎌낸 이하이 본인과 폐쇄된 사회적 환경에 갇혀 있는 이들에게 전하는 곡. 홀로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모두에게 위로의 말을 건네는 곡.˝
영어 가사 One day it will stop 의 it 이 무얼까 궁금했는데, 앨범 소개글을 보니 코로나 19가 초래한 전세계인의 독수공방 처지가 언젠가는 끝날 것이다 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노래를 듣고 있으면 정말 위로 받는 기분이 든다. 선율을 타고 흐르는 이하이의 중저음
목소리는 듣는 이의 일그러지진 심장을 펴주는 듯하다. 엄마 손이 약손이다 라며 아픈 배를 만져 주던 엄마의 손길처럼. 음유시인 같은 목소리다.
홀로 있고 가만히 있는 것이 누군가에는 힘들 일일 것이다. 나는 고독을 즐기는 사람이라 혼자 있어도 심심함을 모른다. 때론 심심함을 즐긴다. 무료함이 선사하는 느긋한 명상에 빠지기도 한다. 이 노래를 들으며 내가 주목했던 가사는 ˝홀로 있어도 같이 있어도 외로운 건 같아요˝였다. 외로움의 점수를 매기자면 홀로 있는 외로움보다 같이 있는 외로움이 더 크다. 적어도 아직까지는 그렇다. 독거노인이 되면 달라질 것 같다.
그때는 공감이고 나발이고 누구라도 곁에 있어 주면 그저 좋지 않을까.
우리 인간이 어떻게 해도 외로울 수밖에 없는 이유를 일본의 사회학자 기시 마사히코는 <<단편적인 것의 사회학>>(이마)에서 이렇게 말한다.˝우리는 고독하다. 뇌 속에서는, 우리는 특히 고독하다. 아무리 서로 사랑하는 연인이라도, 아무리 친한 친구라도, 뇌 속에까지 놀러와 주지는 않는다.˝(132)
˝우리는 아플 때 매 순간 줄곧 아프다. 아픔을 견디고 있을 때, 나의 뇌는 아픔과 함께 있다. 아니, 아픔 속에 있고, 아픔 그 자체다. 나의 뇌가 아픔을 ‘느끼고 있다‘는 표현은 어딘가 잘못되었다. 아플 때 우리는 아픔을 느끼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냥 아픈‘ 것이다. / 그리고 아픔을 견디고 있을 때, 사람은 고독하다. 아무리 서로 사랑하는 연인이라도, 아무리 절절한 친구라도, 우리가 느끼는 격렬한 통증을 뇌에서 꺼내어 건네줄 수는 없다. 우리의 뇌 속으로 찾아와 느끼고 있는 아픔을 함께 느껴 줄 사람은 어디에도 없다.˝(138)
내가 하는 생각과 느끼는 감정을 모양 하나 흐트러뜨리지 않고 꺼내어 보여주는 건 불가능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맞는 말이다. 그래서 같이 있어도 외롭다. 내 생각과 느낌을 누구에게도 온전히 전달할 수 없다는 매정한 현실에 홀로 있어도 외롭다. 어찌 살라는 말이냐. 어쩌라는 말이냐. 관계를 끊어? 백퍼센트 감정이입과 공감이 불가능한 관계를 그럼에도 이어가야 하는 이유를 기시 마사히코는 이렇게 설명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는 것이 고통뿐이라고는 할 수 없다. ‘다름 아닌 바로 나에게만 시간이 흐르는 것‘이라는 ‘구조‘를, 우리는 일체의 감동이나 감정도 빼고,서로 공유할 수 있다. 우리는 이렇게 우리 안에서 각자가 고독하다는 것, 그리고 거기에 각자의 시간의 흐르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 시간이야말로 우리라는 것을 조용히 나눌 수 있다. / 누구에게도 알려지지 않은 시간이란 것이 있다. 우리는 ‘누구에게도 알려지지
않은 시간‘이란 것도 있다는 단적인 사실을, 서로 알고 있다. 그것을 공유할 수는 없다고 할지라도.˝(141)
우리 모두는 각자의 시간 안에서 저마다 고독하다. 그 사실만큼은 나눌 수 있다. 이런 사실을 알게 되는 순간 타인에 대한 연민이 싹튼다. 상대에 대한 측은지심이 솟는다. 너도 나와 같구나 라는 동질감도 생긴다. 그러면 이승의 삶이 아주 조금(어쩌면 눈꼽만치), 덜 외로워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