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09 매일 시읽기 42일
서울의 달
- 김건모 작곡 / 최준영 작사
오늘밤 바라본 저 달이 너무 처량해
너도 나처럼 외로운 텅 빈 가슴 안고 사는구나
텅 빈 방안에 누워 이 생각 저런 생각에
기나긴 한숨 담배연기 또 하루가 지나고
하나 되는 게 없고 사랑도 떠나가 버리고
술잔에 미친 저 하늘에 달과
한 잔 주거니 받거니 이 밤이 가는구나
오늘밤 바라본 저 달이 너무 처량해
너도 나처럼 외로운 텅 빈 가슴 안고 사는구나
가끔 비가 내리면 구름에 니 모습이 가려
어두운 거리 더 쓸쓸해지네
텅 빈 이 거리 오늘도 혼자서 걸어가네
오늘밤 바라본 저 달이 너무 처량해
너도 나처럼 외로운 텅 빈 가슴 안고 사는구나
슬픈 추억 안고 사는구나
텅 빈 가슴 안고....
김건모의 ‘서울의 달‘은 2005년 6월 발매된 10집 앨범 <Be Like...>의 타이틀곡이다. 김건모 본인이 작곡하고 김건모의 오랜 음악동료인 작곡가 최준영이 작사를 했다. 앨범 정보에는 이런 설명이 곁들여져 있다. ˝3,40대의 상실감을 소재로 한 ‘서울의 달.‘˝
달에게 마음이 있을 리 없다. 처량한 것은 달이 아니라 화자의 ˝텅 빈 가슴˝이다. 화자는 까만 하늘에 덩그러니 떠 있는, 왠지 쓸쓸해 보이고, 왠지 허전해 보이는 달을 빌어 자신의 헛헛함을, 외로움을 토로하는 것이다. 오늘 우연찮게 내 핸폰에 저장된 이 노래를 듣게됐는데,
반복되는 ˝텅빈 가슴 안고˝라는 가사에 어제 만난 후배가 떠올랐다.
이럴 리 없는 나와 내가 그렇지 뭐, 사이.
후배 모친상으로 장례식장에 갔다 거의 이십 년 만에 한 후배를 만났다. 대학 시절 곧잘 나를 따라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장난도 잘 치던 사이였다. 사회에 발을 디딘 후론, 대부분의 관계가 그러하듯 각자의 생활에 충실했고 만남은 끊어졌다. 대부분의 동기들과 선후배들을 이제는 장례식장에서나 본다.
누구나처럼 그 후배도 꿈이 많았다. 잘생기고 똑똑하고 교우 관계도 좋았기에 앞날이 밝아 보였다. 목표한 꿈을 좇아 산 지 20년이 흘렀다. 그런데 정작 자신은 자신이 바랐던 만큼의 사람이 되어 있지 않았다(나도 그렇다). 술도 한 잔 걸치지 않았는데, 술자리에서나 나올 법한 얘기를 후배는 제삼자처럼 말했다.
˝누나, 아침에 일어나 거울을 볼 때면 깜짝깜짝 놀래. 이럴 리 없어. 내가 50이나 먹었단 말이야. 이럴 리 없어. 아무것도 못 이뤘는데. 어쩌라고~~~~~. 그러다 어찌어찌 시간이 흘러 밤이 되잖아. 그럼 이렇게 자조하게 돼. 니가 그렇지 뭐.˝
˝니가 그렇지 뭐˝라는 말에서 우리 둘은 소리 내어 웃었다. 맞아. 우리가 그렇지 뭐.
김건모의 ‘서울의 달‘은 이럴 리 없는 우리의 마음을 대변해 주는 노래다. 나이가 든다는 건 가슴에 구멍 하나 가지고 사는 거라고 얼마 전 썼더랬는데, 벌써 중년이 돼버린(말도 안 돼) 후배 녀석도 가슴에 생긴 구멍으로 스산한 바람이 드나드니 삶도 스산한 모양이었다. 나도 그렇다. 구멍은 생겨버렸고, 바람을 불어대쌌고, 세월은 재깍재깍 가고, 피부는 축축축 처지고, 흰머리는 우후죽순 돋고. 그러나 뭘 어쩌겠는가. 허니 노래나 듣자. 덧붙여 기시 마사히코의 글이나 또 되새겨 보자.
˝되풀이하지만, 여기에서 나는 누구나 자기실현의 가능성이 있다든가 누구나 꿈을 이룰 수 있다는 말을 적고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 오히려 우리 인생은 몇 번이나 기술한 것처럼, 아무것도 되지 못하고 단지 시간만 흘러가는 듯한, 그런 인생이다. 우리 대다수는 배신당한 인생을 살고 있다. 우리 자신이라는 것은 태반이 ‘이럴 리 없었던‘ 자신이다.˝(<<단편적인 것의 사회학>> 1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