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06 #시라는별 34
엄마와 나의 간격
- 허수경
엄마의 자궁 안에서
나는 엄마, 속의
섬이었다
섬은 엄마에게서
몸의 식량 공급을 받았다
영혼도 넙죽 식량 공급을 받았겠지
날을 채우고
섬은 바깥으로 나왔다
그리고
엄마를 바라보았다
엄마와 나의 간격이라는
원초 비극을 바라보았다
그때
내 영혼의 모어가 생겼다
엄마 말이 아닌 내 말로
그 생각을 하니 웃기고도 서글프다
겨울 숲에서 혼자 병들어 죽어
풍장되는 늑대의 아가리처럼
이 시는 허수경 시인의 여섯 번째 시집 <<누구도 기억하지 않는 역에서>>에 실려 있다. 어버이날이 코앞이어서인지 62편의 시들 중 이 시가 콕 눈에 들어왔다.
자식은 ˝엄마, 속의 / 섬이었다˝가 엄마, 밖의 섬이 된다. 속에 있을 때나 밖에 있을 때나 ˝엄마의 나의 간격˝은 사라지지 않는다. 그 간격은 자식이 나이가 들수록 점점 벌어진다. 어느 날 자식은 부모의 손을 놓고 부모의 말을 버리고 자신의 말과 길을 찾는다. 말이 좋아 ‘독립‘이다. 그것을 두고 시인은 ˝웃기고도 서글프다˝라고 말한다. 웃긴 것은 ˝내 영혼의 모어˝가 생겼기 때문이고, 서글픈 것은 그렇기에 ˝혼자 병들˝다 죽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1964년 경남 진주에서 태어난 허수경 시인은 2018년 10월 3일 타계했다. 암 투병 끝에 자신이 쓴 시 제목 그대로 혼자 먼 길을 갔다. 그의 나이 겨우 54세였다.
엄마 속에서도 엄마 밖에서도 ‘섬‘일 수밖에 없었던 시인은, 혼자라는 고독의 무게를 지고 살 수밖에 없었던 시인은, 저세상에서는 간격 없이 엄마를 바라보고 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