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여애반다라 문학과지성 시인선 421
이성복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10207 시라는별 9

아, 정말 얼마나 무서웠을까 
- 이성복 

냇물 가장자리 빈터에 새끼오리 너댓 마리 엄마 따라 나와 놀고 있었는데, 덤불숲 뒤에서 까치라는 놈 새끼들 낚아채려 달려드니, 어미는 날개 펼쳐 품속으로 거두었다 멋쩍은 듯 까치가 물러나고, 엄마 품 빠져나온 새끼들은 주억거리며 또 장난질이었다 그것도 잠시, 초록 물무늬 독사가 가는 혀 날름대며 나타나니, 절름발이 시늉하며 어미는 둔덕 아래로 뒷걸음질 쳤다 그 속내 알 리 없는 새끼들 멍하니 바라만 보고, 그때 덤불숲 까치가 다짜고짜 새끼 모가지 하나를 비틀어 물고 갔다 그리고 차례차례 그 가냘픈 모가지를 비틀어 물고 갈 때마다, 남은 새끼들은 정말 푸들, 푸들, 떨고 있었다 다 아 얼마나 무서웠을까? 돌아온 어미가 새끼들 부를 때, 덤불숲 까치는 제 새끼 입속에 피 묻은 살점을 뜯어 넣어주고 있었다 아, 저 엄마는 어떻게 살까?


이 시는 이성복 시인이 인생을 십 년 단위로 나눈 시기(래여애반다라 來如哀反多羅) 중 ‘哀‘에 해당하는 시다. 그러니까 ‘슬픔을 맛보‘는 때이다. 그 뜻 그대로 이 시를 읽고 펑펑 울 뻔했다. 흐르는 눈물은 그대로 두었고 꺼이꺼이 나오려는 울음은 삼켰다. 나를 울컥하게 만든 건 제목부터였고 기어이 눈물 터지게 한 건 마지막 구절, ˝아, 저 엄마는 어떻게 살까?˝였다. 많은 이들이 떠올랐다. 내 엄마, 세월호 부모, 각종 재난과 참사로 숨진 이들과 그들의 가족, 친지, 지인 등등등.

인생의 슬픔(哀)을 맛보는 때가 비단 스물에서 서른 사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리라. 그러나 시인은 이 시기에 그 어떤 것으로도 치유될 수 없는 슬픔을 맛보고 그 사실에 치를 떨고 그 사실 앞에 좌절하다 결국은 그 슬픔을 껴안고 살 수밖에 없는 삶의 본질을 깨달아버린 듯하다. 왜냐하면 까치도 뱀도 남의 새끼를 죽여야 제 새끼를 살릴 수 있다. 먹이사슬의 가장 밑바닥에 자리한 새끼오리들은 모가지 비틀린 채 어미 까치에게
물려가는 자매들을 두 눈 뜬 채 보면서 그저 ˝푸들, 푸들˝ 떨고 있을수밖에 없다. 엄마 무서워요, 엄마, 어디 있어요? 어미오리는 다리를 절뚝이며 뱀을 유인하러 갔다. 어미는 당장의 위기를 모면하려다 다가올 위기에 대비하지 못했다. 지킬 수 있을 줄 알고 지키려 했던 새끼들을 잃은 어미 오리는 이제 어이 살까?

이성복 시인은 1977년 계간 <문학과지성>에 발표한 시 <정든 유곽에서>으로 등단했고 1980년 첫 시집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를 출간했다. 데뷔 나이 스물여섯, 첫 시집 발표 나이 스물아홉이었다. 이성복 시인은 대학 은사이자 문학평론가인 고 김현 선생의
추천사를 늘 가슴에 새기고 살려 한다고 어느 인터뷰에서 말한 바 있다. 이 시절(청년)의 자신에게서 벗어나지 않으려 애쓴다고.

˝우리는 이번 호에도 새로운 시인을 소개하는 즐거움을 갖고 있다. 이성복 씨의 시에는 상처 받은 젊은이의 아픔과 아픔 그대로 선열하게 노출되어 있다. 그 아픔이 어디서 오는 것인지는 획실하지 읺으니, 우리는 그것이 오히려 이성복 씨의 시가 가지고 있는 큰 장점 중의 하니라고 생각한다. 아픔의 근원과 증세가 확실하다면, 이미 그것은 아픔이 아니다. 그것은 치유될 수 있는 아픔이기 때문이다.˝(문학평론가 김현의 1977년 추천사 중 )

인생의 어느 때고 아프지 않고 슬프지 않은 때가 없다. 이유가 있는 상처들은 그 어느 때고 지워질 수 있다. 그러나 흐려지되 절대 지워지지 않는 상처들도 있다. 남의 목숨에 빌붙어 사는 존재가 어디 저 시의 까치와 뱀 뿐이랴. 존재하는 모든 것은 그러하다. 모든 생명은 생명이 깃든 다른 존재를 등쳐먹고 살거나 잘해봐야 그것에 기대어 산다. 인생의 본질이 그러하다. 아프고 슬프다. 이 아픔과 슬픔은 결코 치유될 수 없고
죽어서야 끝이 날 터이다. 정말 어찌할 도리가 없다. ˝아, 저 엄마는 어떻게 살까?˝ 라는 물음 뒤에 우리가 내릴 수 있는 답은그럼에도 . . . 그럼에도 여전히 살고 있고 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더 슬프지만, 그렇기에 조금이라도 아름다움을 찾으려 애쓰리라. 몰라 그렇지, 아름다움 역시 지천에 깔려 있을지 모르니.


댓글(5)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2-07 16: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哀‘인생의 어느 때고 아프지 않고 슬프지 않은 때가 없지만‘ 오늘처럼 공기는 탁하고 하늘도 뿌옇지만 햇살만큼은 1월보다 좀더 따뜻한, 매순간 반짝였던 햇살이 지난밤에 어둠을 잊게 만들죠 어제보다 나은 오늘 오늘 보다 좀더 나은 내일이 기다리고 있을꺼라는 희망 그 희망이 삶에 버팀목이 되주는것 같습니다. 항상 느끼는거지만 행복한 책읽기님 사진 지인짜 잘찍으쉼 ^0^

행복한책읽기 2021-02-08 10:27   좋아요 2 | URL
ㅎㅎㅎ 사진 진 ~~~ 짜 잘 찍는다는 말 첨 들었음요. ㅋㅋ 지가 찍는다기보다 자연이 그저 보여주니 지도 그저 담을 뿐이지요. scott 님은 매순간의 반짝임을 잡아챌 줄 아는 눈 밝은 자로군요. 님의 희망 무지개는 바로 그런 눈과 마음이군요.^^

청아 2021-02-07 16: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마지막 문단 너무너무 좋은데요? 두번읽었어요!!♡ 책 읽다 우는거 아주 반갑습니다ㅋㅋㅋㅋ

행복한책읽기 2021-02-08 10:29   좋아요 2 | URL
와우. 걸출한 작가님들 훌륭한 글 많이 읽으시는 미미님이 두 번씩이나 읽어 주셨다 하니, 몸둘 바를 ㅎㅎㅎ. 전 책 읽다 자주 울어요. 어제는 책 한 권을 울며 다 읽었어요.^^;;; 미미님 오늘도 굿데이~~~~

희선 2021-02-09 01: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람은 살면서 어느 때든 슬픔을 맛보겠지요 슬프다 해도 그만 살 수도 없고, 그래도 살 수밖에 없는... 사람만 그렇지 않겠습니다 사는 것 자체가 슬픈 거겠지요 슬픔도 있지만 가끔은 기쁨도 있으니 좀 낫겠습니다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