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26 시라는별 6
희망은 한 마리 새
Hope Is the Thing with Feathers
- 에밀리 디킨슨
희망은 한 마리 새 ㅡ
영혼 위에 걸터앉아
가사 없는 곡조를 노래하며 ㅡ
그칠 줄을 모른다 ㅡ 절대 ㅡ
모진 바람 속에서 ㅡ 더욱 달콤한 ㅡ 소리
아무리 심한 폭풍도 ㅡ
많은 이의 가슴 따뜻이 보듬는
그 작은 새의 노래 멈추지 못하리 ㅡ
나는 그 소리를 아주 추운 땅에서도 ㅡ
아주 낯선 바다에서도 들었다 ㅡ
허나 ㅡ 아무리 ㅡ 절박해도 그건 내게
빵 한 조각 ㅡ 청하지 않았다
파시클 출판사에서 에밀리 디킨슨 시선집이 그림 시집과 함께 시리즈로 출간되었길래 첫 권을 구매했다. 그림시집 4권. 시선집 4권이다. 번역가가 디킨슨 아카이브에서 1800편의 시들을 직접 고르고 엄선해 번역했다. 옮긴이 소개글을 보니 에밀리 디킨슨의 시를 읽다 페미니즘으로 전공을 바꿔 틈틈이 시인의 시를 읽고 번역해 시집으로 만들고 있다고 한다. 마치 에밀리 디킨슨이 날마다 시를 쓰고 모아진 시들을 바느질로 엮어 책자를 만든 것처럼.
에밀리 디킨슨의 시를 사랑하는 독자로서 번역가의 이런 노고에 박수를 쳐주고 싶고 그의 시를 이렇게나 많이 번역해 준 것에 고마움을 표하고 싶다. 번역이 대체로 무난하고 시인의 문체를 살리려 애썼고 디킨슨 시의 독자성인 줄표 기호도 그대로 실었다. 그런데 . . . 오역이 눈에 띈다. 어쩔겨 ㅠㅠ 위에 올린 저 시 ‘Hope I the Thing with Feathers‘를 박혜란 번역가는 ‘˝희망˝이란 놈은 깃털이 있어‘라고 번역을 했다. 이건 틀린 번역은 아니지만 디킨슨 시의 장점인 군더더기 없는 문구와 간결한 문체에서 벗어난다. 더 문제는, 2연과 3연의 아래 두 줄은 명백한 오역이다. ㅠㅠㅠ 시 번역이 얼마나 어려운 줄 알기에 번역가의 이 실수가 나로서는 안타깝다.
에밀리 디킨슨은 자신의 시를 두고 ˝이것은 세계에 보내는 편지야 / 세계는 결코 나에게 편지를 쓰지 않았지만ㅡ˝이라고 썼다. 번역가는 디킨슨의 편지를 부분적으로 잘못 해석했다.
내가 위에 올린 번역시는 장영희 영미시 산책 <생일 그리고 축복>에서 옮겨온 것이다. 이 번역이 잘
된 번역, 좋은 번역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줄표는 저 번역본에 없는 것을 내가 넣었다.
에밀리 디킨슨은 죽기 전까지 거의 25년 동안 바깥 세상과 등을 진 채 살았다. 그 기간 동안 그녀가 무슨 생각을 하며 살았는지는 오로지 그녀가 쓴 시로서만 짐작할 수 있다. 나는 이 시를 읽으면서 내면으로만 침잠해 들어간 디킨슨도 ‘희망‘의 끈을 놓고 싶어 하지 않은 사람이었다는 데서 동질감과 안쓰러움을 동시에 느꼈다. ‘희망‘을 깃털 달린 것이라 한 것은 그녀 또한 훨훨 날고 싶은 속내를 이리 표현한 것이 아닐까. 언제 어디서나 ‘희망‘의 소리를 듣겠다 하고 ˝아무리 절박해도˝ 구걸 따윈 하지 않겠다는.
디킨슨에게는 시를 쓰는 것이 곧 희망‘이지 않았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