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의 종말
폴 로버츠 지음, 송신화 옮김 / 서해문집 / 2004년 8월
평점 :
품절


외국 ‘저널리스트’들이 쓴 책들엔 공통된 문체랄까, 패턴이랄까, 그런 것이 있다. 일단 ‘세계’를 돌며 모은 사례를 말머리에 꺼낸다. 반드시 자국이 아닌 다른나라여야 한다. 그렇게 ‘발로 뛴’ 냄새를 팍팍 풍겨 주되, 진지하거나 쉽게 깜 잡힐 얘기를 케이스로 넣어선 절대 안 된다. 아주아주 사소해 보이는 것(예를 들면 차창 밖에 보였던 파이프 하나, 중앙아시아 구석배기의 공장 한켠 같은 식으로)을 살짜쿵 보여준 뒤에, 거창한 얘기를 끄집어내는 것이다. “그리하여 저 작은 살짜쿵~ 케이스는 이 어마어마한 이야기의 상징이 되는 것이다” 뭐 이런 식. 아주 유명한 사람의 코멘트 따위는 반기지 않는다. 미국 에너지장관 누구가 이러저러하게 말했다, 라고 해버리면 신문 보고 인용한 느낌이 나거든. 그러니 기필코 “아제르바이잔 석유부의 공무원 누구누구는 이렇게 말했다”라고 써야만 한다.

이 책은 그런 의미에서 진정 저널리스틱하다. 케이스도 이만하면 풍부하고, 저자의 생각도 A부터 Q까지(에너지 문제에서 Z까지 갈 수 있는 논자는 없을테니깐) 생각의 틀이 딱 잡혀 있고, 문제점 진단에서 장-단기 대안 제시까지 일목요연 일사불란하다. 문체마저 적당히 가볍고 적당히 센세이셔널하니 당근빠따로 재미있다. 제목부터 ‘석유의 종말’이다. 허위과장광고가 아니면서도 센~세~이~셔~널~하게 들리는 문구(文句)다.

저자는 미국에게 “계속 초강대국으로 있어라, 다만 화석에너지 대신 새로운 에너지를 찾으려 애쓰고, 기후변화를 막고, 신기술로 앞서 가라”고 말한다. 미국에선 제법 알려진 하퍼스 매거진(난 읽어본 적 없지만 100년 넘은 전통있는 매체로 알고 있다)에 기고하던 사람이라는데, 별반 진보-보수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을 것 같은 ‘미국의 저널리스트’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그래야만 불필요한 반감 때문에 책 맛을 잃는 오류를 피할 수 있다).

저자는 석유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문제를 ▲지정학적 불안 ▲기후변화 ▲공급부족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바라본다. 지정학적 불안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하려면 한이 없지만(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2008년에 죽으면 울나라에 무슨 일이 생길지 예상해본 일 있는가), 일단 넘어가자. 기후변화 문제도 논란이 많긴 하지만 패~스. 핵심은 결국 공급 문제다.

바보같은 소리 같지만, ‘석유는 기름이다’. 풍력이나 조력, 태양열하고는 다르다. 태워 없애는 에너지원이란 말이다. 미국은 아랍을 때려잡아 지정학적 불안을 없애고, 기후변화 문제는 교토의정서 깡무시해서 입막아버리려 하고 있는 모양인데... 1단계 2단계 통과해도 3단계, 공급부족 문제만큼은 부시 아니라 부시 아들손자가 대를 이어도 해결할 수가 없다. 석유 문제를 얘기할 때 학자들은 종종 ‘종형 곡선’이라는 얘기를 한다. 남아 있는 석유와 파낸 석유의 비율을 생각해보자. 100 배럴 있었는데 50배럴 파내고 50배럴 남았을 때를 종의 꼭대기라고 본다면 그때부턴 곡선이 하향세를 그릴 수 밖에 없다. 하향세로 넘어가는 시점, 즉 파낸 양보다 남은 양이 적어질 때가 대체 언제냐 그 말이다.

정말 웃긴 것이 석유를 둘러싼 통계다. 통계치고 웃기지 않은 것이 뭐 있겠냐마는... 석유는 땅속에 묻혀있다. 석유 매장량이란 것은 파내보지 않고선 알수가 없다. 그렇게 중요한 석유 문제가 이렇게 주먹구구식으로 다뤄지고 있다는 점이 놀랍게 생각될 정도로 석유 매장량 통계는 제멋대로다. 사우디 쿠웨이트 등등이 국제시장에서 돈 필요할 때면 매장량 팍팍 늘려서 발표한다는 것은 다 알려진 사실이다. 

 

문제는 뻥튀기에도 한계가 있다는 것. 석유는 언젠간 사라진다. 언제냐! 석유가 21세기 말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보는 사람은 거의 없다. 짧고도 강력했던 석유시대는 인류의 역사에서는 그야말로 눈깜짝할 사이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20세기, 그리고 21세기 약간. 기껏 100년이 ‘석유의 역사’로 그려질 것이다. 몇 년 몇월이 될 것이라고 말할순 없지만 아무튼 석유는 사라진다. 그러니 ‘새로운 에너지’로 가야한다. 그런데 새로운 에너지로 가는 길에는 너무나 많은 장애가 놓여 있다.

저자는 이 장애물들을 ▲기존 산업의 반발(석유산업의 특수성- 막대한 설비투자) ▲기술적 한계(수소전지에 목매달지 마시라) ▲에너지 빈부격차 확대 등으로 정리한다. 세 번째 문제, 에너지 빈-부 격차의 확대는 부시와 빈라덴의 싸움 못잖은 ‘새로운 전쟁’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장애가 많은 것이 범지구적 에너지 현실인 것이다!

인류는 수차례 에너지 혁명을 겪어왔다. 땔감에서 석탄으로, 다시 석유로. 석유에서 차세대 에너지로 가는 변화도 자연스레 오지 않을까...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과거에도 시장논리에 따라 새로운 에너지가 과거의 에너지를 대체했다고, 그것은 자연스럽게 이뤄졌다고. 

이런 귀여운 착각에 대해 저자는 “예전의 변화와 지금 우리가 필요로 하는 변화는 차이가 있다”고 말한다. 석탄에서 석유로의 변화를 사람들이 받아들였던 것은, 석유가 ‘현실의 이익’을 가져다주었기 때문이라고. 반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변화는 ‘미래의 이익’을 위한 것이다. 지구 환경과 직결되는 대체에너지로의 전환은 미래세대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시장 논리에만 맡겨둘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런 현실을 직시하고 ‘실현 가능한 방법’을 찾자고 저자는 말한다(저자는 환경단체들의 주장들에 대해 실현불가능한 방법을 고집하는 극단론자들로 치부하는 경향이 있음). 물론 이 사람이 말하는 ‘대안’이라 해도 결국은 경제 시스템과 에너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통째로 바꾸는 것이지만, 중-단기적으로 해야 할 구체적인 과제들에는 눈길이 가지 않을 수 없다.

 

저자는 우선 오일쇼크 이후 카터 시절 유행했던 ‘에너지 효율성’ 개념을 다시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레이건하고 부시는 에너지 많이 들여와 많이 쓰는 걸 좋아하는데,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쪽으로 다시 바꿔야 한다. 이렇게 하면 적어도 차세대 주력에너지가 개발될 때까지 지구를 위해 시간을 벌어줄 수는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이미 유럽에서 시행에 들어간 탄소세, 가스 확대정책, 클린석탄기술 지원, 그동안 감춰져 있던 에너지 ‘외부비용’의 공식화, 각종 가전제품의 에너지효율성 높이기 등을 제안하고 있다.

장기적으론 물론 차세대 에너지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이 부분에서 저자는 풍력, 태양열 등 이른바 ‘대체에너지’의 현황을 소개하는데, 새로운 에너지로 가는 길이 얼마나 멀고 험한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책은 에너지 문제에 대한 ‘교과서’로 꽤 훌륭하지만, 에너지 문제를 다룬 좀더 정교한 텍스트와 함께 읽는다면 훨씬 더 많이 공부가 됐을 것 같다. 새롭게 알게된 사실들이라고 한다면 외신에서 놓쳤던 중국의 움직임과 가스경제의 난점 같은 것들. 몇해전 시끌시끌했던 미국 에너지 기업 엔론 파산 뒷얘기와 에너지업계 인수-합병의 숨은 배경도 재미있게 읽었다. SUV 좋아하는 미국인들 못잖게 ‘에너지 망각증상’에 빠져 있는, ‘원자력 5대 국가’ 한국의 에너지 위상을 다시금 확인하게 된 것도 수확 아닌 수확이었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딸기 2005-03-05 1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록으로 땡스투도...

플라시보 2005-03-05 1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흐음...정말 책을 늘 재밌는것만 골라보는 저에게도 꼭 읽어야 할 책으로 와닿습니다. 감사해요^^

딸기 2005-03-05 1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늘 재밌는것만 골라보는 플라시보님께서 좋아해주시니 저도 기쁩니다 ^^

마냐 2005-03-05 1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저널리스틱한 책. 그래서인지 술술 재니나게 읽힌 책. 그 가볍지 않은 내용....더 많은 사람들이 읽어야 마땅할 책. 따라서 추천.

2005-03-05 10: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딸기 2005-03-05 1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냐님 땜에 읽은 책... 재미없었으면 물어내라고 할려 그랬다구. ㅋㅋ

울보 2005-03-05 14: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하나 누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