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행과 역설 에드워드 사이드 선집 6
에드워드 W. 사이드·다니엘 바렌보임 지음, 장영준 옮김 / 생각의나무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복합적인, 다중의 정체성을 가지는 것이야말로 가능할 뿐 아니라, 오히려 성취해야 할 대상이라고까지 말하고 싶습니다. 서로 다른 문화에 속한다는 감정은 우리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해줄 수 있습니다."

‘목이 긴 두 여자의 대화’라는 연극 이름이 생각난다. 남북한, 서로 목을 길게 빼고 바라만 보아야 했던 두 여자 대신에 두 남자가 대화를 한다.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나 이스라엘에서 자라고 독일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는 유태인 음악가 다니엘 바렌보임, 예루살렘에서 태어나 카이로에서 어린시절을 보내고 미국에서 살아간 아랍인 기독교신자 에드워드 사이드. 음악이라는 공통의 키워드로 묶인 두 사람의 대화다. 아쉽게도 나는 바렌보임의 음악에 대해서도, 사이드의 학문에 대해서도 아는 바가 없지만 이들의 대화는 듣기에 좋았다.
누군가가 ‘경계인'이라는 말을 쓰면서 잠시 우리 사회에서도 그 말이 유행한 적 있었지만 바렌보임과 사이드야말로 경계인이다. 출생지, 국적, 민족, 종교, 사상의 경계를 살고 있는(살았던) 두 사람의 대화. 이들에게 정체성은 곧 ‘경계인’이다. 경계에 서있다는 것, 그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이들은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다중의 정체성’이라고 말한다. 순혈주의 국수주의 민족주의의 압박감에서 허덕이는 대한민국의 독자에게, 이들의 활달한 ‘경계인 선언’은 낯선 감각을 넘어 부러움까지 불러일으킨다.

지구상 가장 적대적인 두 민족, 팔레스타인의 유태인과 아랍인. 그들의 대화에서 줄곧 이어지는 키워드는 음악이지만, 거기에 국한될 수는 없는 일이다. 두 사람의 대화는 문화 전반, 종교, 민족, 철학을 넘나든다. 이들이 맞서야 할 ‘경계’는 너무나 포괄적이기 때문일까. 대화는 종종 ‘역사’의 문제로 달려간다.

"역사가 중요하지 않은 것처럼 위선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 그리고 우리가 어떤 식으로든 지상에서 벌어지는 현실에서 먼저 시작해야 하는 듯 가장하는 것은 도저히 동의할 수 없는 실용주의적 정치견해입니다. 인문주의자로서 그리고 각 민족의 역사가 정의와 상처와 억압이라는 개념들을 연루시키는 복합적 사태라고 믿는 사람으로서 말입니다."

사이드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협상을 거론하면서 저렇게 말했지만, 한일관계이든 독재체제의 문제이든 ‘과거사’라 이름붙일 수 있는 모든 것에 통용될 수 있는 통찰력이 아닐까.
두 사람의 대화에는 너무나 많은 음악가들의 이름이 나온다. 한~~~번도 들어본 일 없는 그들의 음악에 대해 이 무식한 독자가 무슨 말을 할 수 있겠냐마는, ‘평행과 역설’, ‘각자의 정체성을 초월해 전체를 향해 나아가는 그들만의 여정’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는 알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냐 2005-03-05 1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고나니 좋네....라기엔, 보아하니 모르는 소리가 넘 많을 거 같은데....읽어보란 거유, 아닌거유..ㅋㅋ

딸기 2005-03-05 11: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쎄, 난 음악을 너무 몰라서, 솔직히 읽느라고 무리를 좀 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