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의 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문학은 장르 소설을 제외하고는 언제나 형이상학적인 물음을 품고 있었다. 그래서 독자들은 예술에서 느낄 수 있는 숭고함을 문학에서 느끼는 기쁨을 누려왔다. 하지만 그런 숭고함이 커갈수록, 문학은 이야기 자체의 쾌감에서 점점 멀어지기 시작했다. 문학은 있지만, 소설은 없는 시대. 바로 그것이 현재 한국 문단이 지니고 있는 딜레마가 아닐까. 물론 엄숙함이나 숭고함따위는 버린 일련의 새로운 작가들의 등장으로 조금식 변화하고 있지만, '서사'의 쾌감에는 아직까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유정 작가의 『7년의 밤』의 등장은 그야말로 하나의 사건이라 말해도 지나치지 않을 듯하다.  

이제 3편의 소설을 쓴 작가에게 스타일 운운하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는 일이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얘기하는 것을 허락한다면, 그녀의 스타일은 속도감이다. 일단 이야기가 시작되면, 절대 멈추지 않고 뒤돌아 보지 않는다. 물론 인물을 설명하기 위한 회상이 나오긴하지만, 그조차도 이야기의 속도를 방해하지 않고, 계속 내달린다.  

추리소설 같이 시작하지만, 이야기의 구조는 (독자들에게 모든 패를 다 보여줬다는 점에서) 다분히 운명론적/신화적이다. "살인자의 아들"이자 이야기의 중심이자 관찰자인 서원이, 아빠 현수와 엄마 은주가 함께, 세상과는 고립된 세령호에서 겪는 끔직한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의 중심 축에는 이들 가족 말고, 이 모든 이야기를 소설로 써내려간 승환과, 딸과 부인을 잃은 영제가 있다.  

현수, 은주, 서원 가족과 승환, 그리고 비극의 희생자인 세령은 모두 망령에게 사로잡힌 인간들이다. 그들의 아버지/혹은 어머니는 (자식들의 입장에선) 모두 괴물들이다. 이 이야기는 세상과 고립된 세상에서 부모라는 망령에서 벗어나려하지만, 결국 그 자리에 가서 스스로 망령이 되어가는 이야기이다. 모든 (운명의) 자리는 마련되어있고, 등장인물들은 그 자리를 벗어날 수 없다.  

이 비극에서 한 발 비켜있는 승환은 작가의 욕망이자 독자의 욕망을 대변한다. 그는 이 비극을 되돌릴 수는 없더라도, 최소한 축소시킬 수는 있었다. 하지만 그는 그러지 않았다. 오히려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런지 스스로 궁금해했다. 그건 책을 읽는 독자도 마찬가지였고, 아마 소설을 창조하는 작가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승환의 쾌락은 우리들의 쾌락이며, 사람의 목숨을 담보로 한 쾌락은 죄의식을 불러일으킨다.  

칭찬은 여기까지다.  

정말 안타깝게도, 『7년의 밤』은 문학이 아닌, 영화에서 너무 많은 것을 빌렸다. <샤이닝(스티븐 킹 소설보다는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을 주축으로 삼고, 유령들의 자리를 <아메리칸 싸이코>의 패트릭 베이트먼(마찬가지로 브렛 이스턴 앨리스의 소설에서라기 보다는 크리스천 베일이 연기한 캐릭터)과 <깊은 밤 깊은 곳에>의 석유왕 콘스탄틴 데미리스를 한 데 섞은 듯한 영제가 대신한다(은주는 영제의 캐릭터를 절반 정도 나눈 경우다. 현수의 경우는 잭과 이호성을 한데 섞었다고 할 수 있을까?). 이야기의 구조는 액자 소설이라기 보다는 <포레스트 검프>의 형식을 그대로 따랐다. 그 외 자잘한 디테일들 역시 영화에서 빌려왔다. 하나하나 나열하고 싶지만, 그러지 않겠다. 책을 읽은 내가 (상기할수록) 부끄럽기 때문이다.  

모든 창작 작품이 100% 새로운 것으로 이루어질 수는 없다. 주제 사라마구의 『눈먼 자들의 도시』또한 싸구려 SF 소설에서나 볼 수 있었던 소재를 차용한 작품 아닌가! 내가 『7년의 밤』에서 아쉬움을 느끼는 지점은, 너무 많은 것을 영화에서 빌렸다는 점이다. 영화는 (시하고는 자웅을 겨룰 수는 있어도) 소설을 절대로 이길 수 없다. 영화사에 남은 문학 원작의 작품들은 대부분 감독의 비전을 보여주는 것이지, 소설 그 자체를 옮기지 않았다. 소설의 가능성은 물리성을 바탕으로 하는 영화보다 훨씬 우월하다. 그런데 『7년의 밤』은, 그런 우월한 가능성을 스스로 포기하고 스스로 영화에 종속된다. 냉정하게 얘기하자면, 『7년의 밤』은 소설이 아니라 시나리오다. 시나리오를 소설 형식으로 풀어 쓴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15개나 되는 영화사들이 판권을 사들이려고 했겠지만.  

『7년의 밤』은 확실히 한국 문학에선 쉽게 발견할 수 없었던 "보석 같은" 작품이다. 하지만, 난 이와 비슷한 영화들을 너무나 많이 봐왔다. 『7년의 밤』은 재미있다. 책을 읽으면, 손을 쉽게 뗄 수 없다. 하지만 너무 아쉽다. 영화에 종속된 가능성이 너무 아쉬워서 눈물이 날 지경이다. 솔직히 지금 정유정 작가에 대한 평단의 호의는 너무 과대포장 되어있지 않은가 싶다. 마치 16년 전, 김미진 작가의 『모짜르트를 찾아서』가 나왔을 때의 현상 같기도 하다(당시 쿠엔틴 타란티노가 이 소설을 읽었다면 어떤 표정을 지었을까?).  

 

정유정 작가는 다음 소설에서 수인성 전염병이 창궐한 미래를 그린다고 했다.  

 

난 『20세기 소년』은 만화책으로만 간직하고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11-06-23 17: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이 책을 읽고 올린 리뷰 제목이 <문학 작품이 아니라 시나리오 같은> 이랍니다.
이거였군요. 제가 이 책을 읽으면서 '재미있긴 한데...' 하면서 그렇게 만족스럽지 못했던 이유가.
영화를 잘 아시는 분 입장에서 써주시니 더 확실하게 제 느낌이 무엇이었는지 알겠습니다.

Tomek 2011-06-24 09:07   좋아요 0 | URL
저만 그렇게 생각한 게 아니었군요! 저 혼자 엉뚱한 소리 한 게 아닐까 걱정했었는데, 그렇지 않아 다행입니다.

확실히 서사의 힘은 정말로 위대한데, 그에 반해 인물에 대한 설명은 너무나 평면적이었어요. 영화로 제작되고, 적절한 배우들을 만나면, 아마도 소설의 인물들은 피와 뼈와 살을 갖춘 실체가 될 것 같습니다.

재미있게 읽은 반면, 그만큼 허탈해서 너무 아쉬움이 큰 소설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