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회 CinDi영화제 섹션별 추천작
<이번 주말엔 무슨 영화를 볼까?> 8월 3주

날씨 여전히 더움.  

영화제의 가장 좋은 점은 영화계의 명사들을 직접 만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들과 함께 영화를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쯤 되면 이 유명한 사람들은 저 멀리 다른 세상에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 나와 같은 극장에서 나와 같은 영화를 보고 있다는, 동질감을 넘어선 우정을 느끼게 된다. 영화라는 이름으로 우정을 나눌 수 있다는 존재가 있다는 것은 얼마나 설레고 또 황홀한 일인가!  

 

로샨느 새드나타 감독의 <살아남아라>는 캄보디아에서 벌어진 비극, 킬링필드를 다루는 영화다. 로샨느 새드나타 감독은 10살 때 이 비극을 직접 겪었으며, 아버지와 할아버지, 할머니, 그리고 이모와 이모부를 잃었다. 당시 이모는 임신 6개월이었다. 감독과 어머니는 밤중에 당시 거주하고 있던 마을에 도망가 프랑스로 망명을 한다. 이 영화는 당시 학살을 경험했던 감독이 30년 만에 캄보디아에 돌아가, 당시 학살의 중심에 있던 민주 캄푸치아 대통령이었던 키우 삼판을 인터뷰하고, 자신이 10살 때 겪었던 일을 회상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영화의 가장 뛰어난 미덕은 역사의 비극이라는 거대담론을 다루는 대신, 감독이 10살에 겪었던 개인적인 이야기를 다룬다는 것이다. 로샨느 감독은 키우 삼판에게 그 때 왜 그랬느냐고 단도직입적으로 묻는다. 키우 삼판은 자신의 신념을 믿었다고 이야기한다. 그는 민족을 위해서 모든 것을 바쳤다. 하지만 그의 민족주의는 그릇된 신념 위에 있었다. 그 당시 캄보디아에는 이데올로기는 있었으나, 인간은 어디에도 찾을 수 없었다. 정부의 선동을 이해하지 못한 농촌의 '옛 사람들'은 도시 사람들을 숙청한다. 감독의 삼촌은 금지된 감정인 사랑을 했다는 이유로 살해당했다. 사람을 죽여 비료로 쓰는 것은 기본인 세상이었다.  

이 영화에서 가장 모골이 송연한 장면. 감독과 어머니는 그들이 도망쳤던 마을에 가본다. 그 마을은 변한 것 없이 그대로 있었고, '옛 사람들'도 나이를 먹은 채로 있었다. 그들이 나타나자, 갑자기 사운드가 죽고, 내레이션의 목소리는 공포를 느낀 것처럼 변한다. "저기 옛 사람들이 몰려온다. 우리를 죽인, 우리를 감시한. 그대로의 모습을 하고." 킬링필드를 직접 경험한 10살의 로샨느 감독은 우리에게 묻는다. 저 순박한 사람들이 악마가 된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키우 삼판의 인터뷰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의 그릇된 신념은 커다란 비극을 만들 수 있다. 그런 면에서 캄보디아의 역사는 과거형이 아니라, 어디에서도 벌어질 수 있는 가능태를 지닌 역사다. 우리 역시 비슷한 현대사의 비극을 경험하고 있지 않은가. 그리고 지금 대통령 역시, 자신의 그릇된 신념으로 얼마나 많은 존재를 고통스럽게 하고 있는가! <살아남아라>는 캄보디아의 역사를 이야기하면서, 감독 자신의 개인사를 이야기함과 동시에, 우리의 역사까지도 껴안는 흔치 않은 영화다.  

 

 

쉬 퉁 감독의 <점술가(算命)>는 점술가 리 바이청에 관한 이야기다. 리 바이청은 점술가이다. 그는 다른 사람들의 앞날을 봐준다. 액운은 피하게 하고, 길한 일을 얻기를 바라며 그는 점을 쳐준다. 그의 부인은 귀머거리에 벙어리이고 절름발이다. 그는 16년 전, 아내와 결혼했다. 그의 점을 보러 오는 단골손님들은 매춘부들이다. 그의 주변에는 소외되고 약자인 사람들만 가득하다. 리 바이청은 선인(善人)이지만, 성인(聖人)은 아니다. 그는 때때로 욕망을 발산하기도 하고, 물욕적인 욕심을 바라기도 한다. 하지만, 그는 점술을 통해 그와 마찬가지인 사람들을 위로해준다.  

쉬 통 감독은 대학을 마친 인텔리전트다. 그런 그가 점술이라는 비이성적 행위를 믿을 리 만무하다. 하지만, 쉬 통 감독은 리 바이청의 점술이 위로가 필요한 사람들을 위로해주는 것을 믿는다. 그는 평생을 다른 사람의 인생을 봐주면서 살아왔다. <점술가>는 한 평생을 다른 사람의 인생을 봐준 리 바이청의 삶을 위로해주는 영화다. 한 편의 영화가 소외된 사람들의 삶을 오롯이 담아내면서, 또 그들을 위로해 줄 수 있는 영화가 될 수 있다니! 감히 이야기하자면, <점술가>는 지금껏 내가 봐 온 영화들 중 가장 따듯한 영화다.  

  

총 펑 감독의 <미완성 생활사>는 중국 서북부 황양촨의 교사들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다. 이 영화에는 굉장히 많은 교사들이 나오지만, 이야기를 끌고 가는 인물은 리우 동야오 선생이다. 그는 미술 선생으로 부임했지만, 체육 과목을 맡기 시작하고 최근에는 음악 과목까지 맡았다. 선생들의 일상은 너무나 따분해서, 그들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술을 마시며 지낸다. 지루한 일상에서 가장 활기찬 시간은 술을 마시는 시간일 때다. 이들이 마시는 술은, 현실을 잊기 위한 취생몽사다. 그들은 계속 취한 상태로 깨어있고, 혹은 깨어있는 채로 취해있다.  

영화는 207분(3시간 27분!)이라는 시간 동안, 계속 시시콜콜한 일상을 보여준다. 변화도 없고, 변하고 싶은 마음도 없이, 그저 하루하루를 죽이며 살아가는 중국의 교사들의 모습은, 우리들의 모습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 <미완성 생활사>의 놀라운 점은 별로 특별하지 않는 내용으로 영화가 꽉 채워져 있다는 점이다. 이런 평범하고 시시콜콜한 일상을 찍고 기록해서 모은 것이 영화가 될 수 있고, 역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총 펑 감독은 직접 증명했다. 어쩌면 이런 것이 진짜 영화의 힘이 아닐까?  

<미완성 생활사>는 디지털 영화라는 화두를 직접 몸으로 부딪혀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이제 시스템 없이도 영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 시대가 왔다는 것을 총 펑 감독은 직접 증명해냈다. 그렇다면 이제 중요한 것은 영화가 아니라, 그 영화가 소개되어질 수 있는 플랫폼이 아닐까? CinDi 영화제는 어쩌면 디지털 영화의 플랫폼을 꿈꾸는 것이 아닐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0-08-21 03: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8-21 09:0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