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햄릿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
윌리엄 세익스피어 지음, 최종철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 특히 그 중에서 희곡은, 읽을 때마다 내가 제대로 읽고 있는가하는 생각을 불러일으킨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번역자가 누구냐에 따라 다가오는 느낌이 확 다르다. 소네트 같은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번역, 실제 연극무대에서 읽혀질 법한 대화체의 번역 등, 항상 새롭고 다르게 느껴진다. 때문에 가장 정확한 방법은 원문을 읽는 것이겠지만, 그건 일찌감치 포기했다. 정말이지 쉽지 않은 선택이다.
때문에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읽을 때면 항상 지엽적인 문제에 빠지게 된다. 특히나 『햄릿』을 읽으면서 그런 함정에 많이 빠지게 됐다. 햄릿의 내면의 질문, 도덕적 고민, 실존적 갈등, 자포자기의 행위 등은 도외시하게 되고, 이 번역이 적합한 번역인지에 대한 생각과, 이 대본으로 도대체 무대 연출은 어떻게 했을까하는 두 번째 고민에 빠지게 되었다. 난 『햄릿』을 읽었지만, 아직까지 햄릿이란 인물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는 그저 정신분열증을 앓고 있는 나약하고 천박하고 음란한 미치광이 왕세자로만 내게 남아있다. 햄릿이란 인물에 들어가기에는 너무 많은 것들이 방해를 하고 있어서일까?
그래서인지 내게 햄릿이란 인물은 영화 속 배우의 모습으로 남아있다. 로렌스 올리비에의 햄릿, 케네스 브레너의 햄릿. 심지어 멜 깁슨의 햄릿도 좋았고, 에단 호크의 햄릿도 좋았다. 햄릿은 아니었지만, 분명히 영향을 받은 미후네 도시로의 니시 코이치 또한 햄릿의 정수를 표현한 매력적인 인물이었다. 물론 이 목록의 명단은 더 길게 채워지겠지만, 적어도 내게 햄릿은 활자가 아닌 이미지로 남아있다.
무언가 읽기는 읽었는데, 손에 잡히지 않는 연기 같은, 실체가 없는 인물. 어쩌면 햄릿은 그런 인물이 아닐까? 아직 속단은 금물이다. 아무래도 다른 번역본으로 몇 편 더 읽어봐야 그 실체가 조금씩 드러나지 않을까. 『햄릿』은 내게 있어 햄릿의 아버지이자 선왕의 유령 같은 존재다. 책에서 읽은 바에 따르면, "당시 사람들의 믿음에 의하면, 유령은 말을 걸어주지 않은 상태에서 먼저 말을 시작할 능력이 없다"고 한다. 내게 있어 『햄릿』을 읽는 것은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실체에 대해 말을 거는 것이다. 누군가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이렇게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