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 - 우리 시에 비친 현대 철학의 풍경
강신주 지음 / 동녘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詩)와 철학(哲學). 하나만으로도 벅찬 대상이 둘이나 모였다. 문학 중에서도 가장 난해한, 언어의 정수라고도 표현되는 시와, 단어 그 자체만으로도 읽는이에게 중압감을 느끼게 하는 철학. 이 둘이 만난 책이라니. '도대체 저자는 무얼 얘기하려는 것일까.' '잘난 사람들이 넘쳐나는, 이 어렵고 힘든 춘추전국 시기에, 저자의 자뻑을 읽어야 하는가.' 책을 펼치기 전, 심난한 마음을 어쩌지 못해 불안해 하고 있었다. 하지만, 책을 펼치고 나서, 글을 읽기 시작하자, 그런 불안한 마음은 이내 봄눈 녹듯 사그라지고 말았다. 

   이 책은 두 무시무시한 사유의 결정체인 시와 철학을 한데 묶어 감상한다. 서양의 현대 철학자들의 사상을 통해 시를 분석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고, 그 반대로도 볼 수 있다. 난해한 주제이고 시도이긴 하지만, 어렵지 않다. 저자는 시와 철학을 마치 '장르 영화'를 다루듯이 다양한 해석과 분석을 통해 시와 철학이 우리 실생활에 얼마나 많이 밀접해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이 두 주제는 철학도나 문학도라면 관심을 갖고 덤벼들만한 매력적인 주제여서, 자칫하면 '자뻑'으로 흐를 수도 있는 위험한 것이지만, 저자는 과욕을 부리지 않고, 적정선에서 시와 철학을 '소개'하고 있다. 즉, 본격적인 연구서라기 보다는 입문서에 가깝다. 빼놓고 이야기했는데,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은 동녘 출판사에서 발행됐다. 동녘이라면, 바로 그 『철학 에세이』의 동녘아닌가! 그러니까 이 책은 '현실에서의 철학'을 꾸준히 실천하고 있는 동녘의 그 꾸준한 결과물이기도 하다. 

   물론 철학을 순수하게 학문으로 다루지 않고, 시를 해석하는 도구로써 사용된 것에 대해 분개하는 원리주의자 철학도들도 있겠지만, 그대들은 그대들의 머릿속 우주에서 무한사유 하시고 이 비천한 땅에는 감히 오시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이 책은 고상한 그대들을 위한 책이 아니라, "철학과 시 따위는 고상한 사람들의 것이지 우리에겐 TV나 어울려"하는 현실에 지친 고단한 우리들에게 바치는 책이다. 저자는 21개의 시와 21명의 철학자들의 사상을 이야기하며, 이 모든 게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닌, 우리가 사는 삶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시는 우리의 현실을 시인만의 독창적인 언어로 노래한 것이고, 철학은 우리의 현실을 여러 철학자들의 개념을 빌려 자신만의 독특한 사유로 풀어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와 철학은 우리의 삶에 밀접한 것이다. 

   강신주 씨가 언급한 21명의 철학자 - 네그리, 비트겐슈타인, 아렌트, 알튀세르, 바타이유, 벤야민, 레비나스, 니체, 푸코, 가라타니 고진, 하이데거, 들뢰즈, 사르트르, 아도르노, 데리다, 아감벤, 퐁티, 리오타르, 바디우, 호네트, 박동환 - 의 사상과 21명의 시인 - 박노해, 기형도, 김남주, 강은교, 박정대, 유하, 원재훈, 황동규, 김수영, 도종환, 김춘수, 최두석, 최영미, 최명란, 오규원, 한하운, 정현종, 이상, 황지우, 박찬일, 김준태 - 의 시는 무작정 읽으면 그 언어의 사유세계에 헤어나오지 못해 절망에 빠져들기 쉽지만, 적절한 인용과 친절한 소개로 읽는이가 '이거 한 번 읽어볼만 하겠는걸?'하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진중한 무거움(혹은 어려움과 난해함)은 없지만, 쉽게 읽히고, 더 나아가 시인의 다른 시와 철학자의 다른 사상까지도 관심갖게 만드는 책이다. 시와 철학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은 진정한 입문서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이런 2010-03-02 22: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자 강신주님에 대한 신뢰가 강한 편입니다. 리뷰를 읽어보니, 더욱 읽어봐야겠다 싶어지네요!

Tomek 2010-03-03 09:14   좋아요 0 | URL
저는 이번 기회에 알게 됐습니다. 다른 저서도 한 번 찾아봐야겠어요. 어려운 주제를 굉장히 찰지게 쓰셔서 그 내공이 대단함을 느꼈습니다.

고맙습니다. ^.^;

파고세운닥나무 2010-03-29 15: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국철학자가 말석을 차지하고 있는 게 저는 아쉬웠습니다. 현대로 범위를 좁혀놓았대도 윤노빈이나 김영민, 김상봉 같은 이들을 넣어도 되지 않을까 합니다.

Tomek 2010-03-29 16:02   좋아요 0 | URL
그만큼 한국 철학자들에 대한 연구나, 혹은 의제가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저는 철학에는 문외한이라 이정도 언급만이라도 정말 좋았어요. 언급하신 철학자들의 저서를 찾아봐야겠어요.
고맙습니다. ^.^;

파고세운닥나무 2010-03-29 16:21   좋아요 0 | URL
로쟈님이 이 책 소개할 때도 댓글을 달아봤는데, 박동환은 저자의 대학 스승이기도 하죠. 책에서 간간이 언급하는 김상환도 모두 같은 대학 출신인데 그 대학 철학도들에게 너무 후한 점수를 주지 않나 생각이 들었어요. 김상봉도 그 테두리안에 들겠지만요.
윤노빈이야 기구한 인생 때문에 단 한 권의 책 밖에 우리에게 남기지 않았지만 그 책을 보고 저는 경이감을 가졌습니다. 그의 제자 김영민은 자신만의 견고한 철학을 만들어가고 있구요.
중언부언했습니다.

Tomek 2010-03-29 18:34   좋아요 0 | URL
아, 그렇게 볼 수도 있겠군요. 몰랐던 사실이였어요.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