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불량식품. 그 끊을 수 없는 유혹
-
-
창천항로 무삭제 완역판 1
이학인 글, 왕흔태 그림 / 대원씨아이(만화)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삼국지』만큼 수많은 세월에 걸쳐 수많은 사람들이 읽고, 또 수많은 작가들이 각색한 작품은 없다고 본다. 독자들이 『삼국지』를 읽는 이유는 수없이 많겠지만, 작가들이 『삼국지』를 각색하는 이유는 아마도 단 한가지인 듯 싶다.
흔히 말하기를 『삼국지』는 세푼의 허구와 일곱푼의 진실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저 '세푼의 허구'가 작가들의 상상력을 불러 일으킨 것 아니었을까. 20세기 말에 삼국지 붐을 일으킨 『이문열 삼국지』를 잠깐 살펴보자.
|
|
|
|
이로써 공명의 남만정벌은 끝났다. 하지만 정사(正史)에 비추어 보면 가장 허황되고, 연의(演義)를 지은 이의 작가적인 재능을 보여주는 데 가장 빛나는 부분이 이 남만정벌이 아닌가 한다.
진수(陳壽)의 정사는 <장무 3년 봄 제갈령은 무리를 이끌고 남쪽을 정벌해 가을해 그 땅을 평정하다(章武三年春 亮率衆南征 基秋悉平)>란 한 귀절뿐이고 주에서도 서너 줄로 칠종칠금(七縱七擒)의 사실만을 기록하고 있을 뿐이다.
민간의 설화도 참고는 되었겠지만, 맹획을 상대로 제갈량이 펼친 그 현란한 계책들과 갖가지 준비, 그리고 맹획을 도우러 나온 설화적 남만왕들은 거의가 연의를 지은 이의 상상력에서 나온 셈이다. 지나치게 공명을 추켜세우다가 공명을 한 술사(術士)나 이인(異人)처럼 보이게 해 오히려 현실감이 없도록 만들었다는 비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감탄하지 않을 수 없는 재능이다. 삼국지연의를 기서(奇書)라 일컫는 것도 실로 그런 지은이의 재능을 높여 한 말이나 아닌지 모르겠다.
-『이문열 삼국지』 9권 「孟獲은 드디어 꺽이고 孔明은 成都로」중에서 -
|
|
|
|
|
저 한 구절로 서술한 역사에서 나관중은 엄청난 소설적 역량을 펼쳐놓았고, 후대의 작가들은 이런 '넘사벽'을 보며 질투에 사로잡혔던 것은 아닐까. 그래서 이문열은 그런 나관중에 버금갈만한 자신만의 삼국지를 쓴 게 아닐까 생각해본다. 이문열 역시, 정사를 추축으로 『삼국지』에는 서술되지 않은 각 주요 인물들의 어린시절을 재구성함으로써 자신만의 삼국지를 착실히 건실했다.
소설에선 좀 특이한 경우지만, 다른 매체, 특히 만화에서는 이런 재구성/재해석이 빈번해졌다. 특히나 7~80년대에 센세이션을 일으킨 『고우영 삼국지』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고우영은 정사까지는 아니더라도 『삼국지』에서 단 한구절로 처리한 서술을 굉장히 흥미롭게 확장시키곤 했다.
|
|
|
|
평소에 이각은 해괴하고 요사스런 술법을 좋아했는데, 진중에 항상 무녀를 불러들여 북을 울리며 내림굿을 한다고 야단법석을 피우곤 했다. 모사 가후가 여러 차례 중지할 것을 간했으나 이각은 좀처럼 들으려 하지 않았다.
- 『황석영 삼국지』 2권 「이각과 곽사의 난」중에서 -
-『고우영 삼국지』 2권에서 -
『삼국지』에서 단 한구절로 처리한 사건을 고우영은 자신의 상상력을 보태서 약 10여회의 사건으로 구성한다. 그 안에 생생한 '무녀-엑소시스트'의 캐릭터를 집어넣고, 독자들이 성인만화에서 기대할만한 장면들을 넣었다.
|
|
|
|
|
『창천항로』이야기를 하려다 너무 길게 돌았다. 『창천항로』는 『삼국지』이나 『삼국지』가 아니다. 이 만화에서 정본으로 쓴 것은 진수의 『정사 삼국지』이다. 이 만화의 스토리 작가 이학인(李學仁)은 정사의 행간 사이를 무한정 확장해서 자신만의 새로운 『삼국지』를 만들어냈다. 그런데 정사를 바탕으로 썼는데도 그 '구라'의 정도가 『삼국지』를 뺨 칠 정도로 넓고 방대하다.
『창천항로』는 조조의 일대기이다. 조조는 어떤 인물인가? 삼국시대를 통틀어, 정치, 무예, 문예, 예술, 건축 등 거의 전방면에 두각을 나타낸, 중국 역사상 가장 많이 배출된 인물들 중에 가장 파격적인 인물이다. 이런 거의 절대자에 가까운 능력을 가진 인물의 일대기라니, 좀 김이 빠지는 느낌도 들지만, 역사의 행간을 통해서 조조라는 인물이 어떻게 한(漢)을 바라보고, 극복하고, 자신만의 국가를 세우는지에 대한 재미는 꽤나 솔찬하다. 특히나 1권과 2권에 걸친 조조의 첫사랑 이야기는 정사에 기록된 단 한줄의 기록으로 펼쳐놓은 '구라'의 결정체다.
|
|
|
|
정사 『삼국지』의 저자 진수는 어느날 조조가 중상시 장양의 침실에 침입해 마구 검을 휘둘렀으나 그 무예가 '절인'의 경지에 이르러 어떠한 사람도 그에게 손가락 하나 대지 못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 『창천항로』 2권 14장 「장양의 상처」중에서 -
|
|
|
|
|
이학인은 이 한 줄의 역사를 가지고, 조조의 첫사랑 '수정'을 탄생시키고, 조조가 어린 시절 거리에서 맴돈 왈패들을 엮는다. 수정은 '서쪽 오랑캐' 처녀로 그녀는 서구의 이야기를 알고 있다. 삼국지에서 알렉산더, 클레오파트라, 연기의 마인(魔人)- 아라비안 나이트까지 언급되는 것을 보면 아찔한 현기증이 날 정도다. 그리고 십상시 장양은 '성도착자'로 나온다. 조조가 장양의 침실에서 칼을 휘두른 것은 자신의 첫사랑 수정이 장양에게 팔려가자 그녀를 되찾기 위한 것이다. 단 한줄의 기록에서 믿지못할 이야기가 뽑아져 나왔다. 그런데 그 이야기가 참 구슬프다.
물론 『창천항로』의 공은 스토리를 구성한 이학인에게 있지만, 작화를 맡은 왕흔태(KING☆GONTA)의 공을 뺄 수 없다. 왕흔태는 이 감당할 수 없는 '구라'에 실체를 입혀 독자들이 받아들이기 쉽게 만들었다. 그리고 이 감당할 수 없는 구라를 더욱 규모가 크게 그림으로 묘사해 독자들이 아예 그 세계를 인정할 수 밖에 없게 만들었다. 만일 이학인의 글이 '소설'로 나왔다면, '펄프픽션'류의 소설로 인식되었을 것이다. 이것을 견디게 해 준 것은 왕흔태의 그림이다.
『삼국지』보다 더 삼국지스러운 『창천항로』는 조조의 성장담을 따라가는 것만으로도 매우 흥미진진하다. 정본을 읽은 사람들은 더 많이 즐길 수 있을 것이고, 『삼국지』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도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