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의 손을 놓지 마라
고든 뉴펠드 외 지음, 이승희 옮김 / 북섬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부모와 자녀 사이는 무엇보다도 관계 그 자체가 중요하다. 습득해야 할 기술이 문제가 아니다. 애착은 배워야 하는 행동이 아니라 추구해야 하는 결합 관계이다."
이 책에서 가장 강력한 흡인력을 가진 문장이다. 얼마 전 부모가 된 나는 부모 역할과 관련된 책을 찾아 읽느라 한동안 혈안이 되어 있었고 그것을 실천해보겠다고 우왕좌왕했다. 우왕좌왕...기술적인 측면에서 이런저런 방법들만 무턱대고 따라하려했던 모습이 얼마나 우리 아이에게 일관성없는 부모로 비춰졌을까? 가슴이 답답하다. 문제는 기술이 아니라 진정한 '애착'임을 다시금 새긴다. 오늘 저녁, 아이 눈을 바라보고 사랑한다며 꼭 안아주기! 실천해보련다.
'세상에는 유능하고, 친절하고, 강한 어른이 있다는 안정감을 부모가 심어주지 못했을 때에도 아이는 왕따 가해자가 된다. (중략) 부모가 아이와의 관계에서 걸맞은 지위를 차지하지 못하면, 아이들의 뇌는 자연적으로 지배적인 양식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그들은 또래들을 왕따시키는 가해자가 된다."
무섭다. 그리고 어렵다. 유능하고, 친절하면서 어떻게 강한 어른이 될 수 있을까? 이 책은 답을 알려주기보다 생각에 생각을 거듭하게 한다. 거듭되는 생각 끝에 정답이 있었으면 하고 바랄뿐이다.
"난 여전히 네 엄마이고 앞으로도 그럴 거야. 내가 화가 났을 때는 너를 사랑한다는 사실을 깜빡할 때도 있지만, 난 늘 제정신으로 돌아온단다. 우리의 관계가 굳건하다는 사실이 정말 기뻐. 특히 지금 같은 때에는 정말 단단한 결합이 필요하거든." 실제로 무슨 말을 하는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말을 하는 어조, 부드러운 눈, 다정한 접촉이 모든 것을 말해준다.
결론은 진정한 애착 관계만이 부모와 자녀 사이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는 것! 지금 일어나는 대부분의 일(왕따나 성문제,폭력 등)이 그러한 부모,자녀의 애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지나친 또래집단 지향으로 기울 때 발생한다는 것!
자칫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또래관계 지향이 문제를 발생시킨다.)를 범할 수 있는 내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다, 문제의 핵심은 부모와 자녀의 관계부터 재정립해야한다.'는 동의를 무난히 이끌어내는 책이다. 애착마을을 형성하자는 저자의 말은 사실 지나치게 현실을 반영하지 않은 전통을 지향하고 있기도 하지만 전통적인 사회에서 자라난 아이들이 현재 아이들보다 정서적으로 충만한 삶을 살고 있음을 생각해본다. 그렇다면 전통을 어떻게 현재화시킬 것인지가 우리 사회에 남겨진 숙제가 아닐까? 개인에게 그 짐을 모두 지워주기보다는 사회가 어느정도 그 숙제를 풀어주어야 하지 않을까? 이래저래 물음표들을 던져보면서 이 책을 덮는다. 휴~ 머리가 복잡하다. 하지만 가슴은 충분히 따뜻해진다. 나는 어쨌든 우리 아이에게 꼭 필요한 존재 아닌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