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혼자 가는 먼 집 문학과지성 시인선 118
허수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디서 읽었는데...를 연발하면서 읽는다. 역시 전에 읽었던 시집이다.

이 시집을 읽는 내 마음에 잔뜩 비가 들이친다. 누군가 터뜨려버려 미처 꽃필 기회를 갖지 못한 보라색 도라지 꽃을 보며 안타까워하고 있는 것 같은 시인. 시인에게 부끄럽다. 아, 나는 왜 봉긋한 도라지 꽃봉오리만 보면 달려가 펑 소리가 나도록 눌러댔을까? 

 

  

저 누각

장마 우중에 아버지와 나는 산을 올랐습니다 산이래야 일테면 베개머리모양 가벼운 거였지만 산행은 일테면 베개머리를 괴고 누운 한 마음같이 무거운 거였지요뽀얀 물안개가 꼼짝도 않고 그러나 움직임의 경계를 지우며 우리가 내버리고 온 다른 등성이를 감싸고 있었는데 다만 연보라의 안개 저쪽에는 어떤 우중인지 그리고 우중 아니래도 상관은 없었습니다.오다 오다 서럽더라 의내여 바람이여 아버니와 나는 인간의 육으로 들어가 즙액의 탕을 만들어내는 곤죽의 땀과 그러나 말라 비틀어진 마음의 한켠이 기울어져 이대도록 멀고 긴 길을 나었는지 모른다고 생각했는데요. 저 아른거리는 물안개 저편 저편이래봤자 손으로 젖치면 열릴 거였지만 그러나 손을 내밀기는 천근처럼 무거웠지요 그러나 아버지는 성큼성큼 물안개를 건너가더니 다시 나오지 않았고 망연히 쳐다보는 나는 아련히 올라간 마음의 끝을 좇아 몸으로 빗장을 삼은 아버지가 아팠습니다 아픈 아버지의 아련한 몸이 세계의 나무처럼 누각 끝의 풍경을 건드리고 풍경은 물안개를 건드리고 긴긴 세계의 경계를 만들어내는 것을 나는 망연히 바라만 보고 있었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8-07-12 07: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못 읽은 시집이군요.^^
 
눈물 속에는 고래가 산다 창비시선 158
이대흠 지음 / 창비 / 199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아 있다는 것으로 나는 얼마나 위대한가

 이 시인 참 당당하다. 살아 있다는 것으로 부끄러워한 시들을 보다가 살아있다는 것으로 위대하다고 큰소리 땅땅치는 이 시인을 보니 속이다 시원하다.^^ 시원하게 내뱉는 말들을 따라가다보면 삶이 보인다. 죽을동과 살동 사이에서 아우성치는 우리의 삶의 모습 말이다. 힘든 노동에 지쳐 쓰러진 어깨에 피어나는 꽃들 때문에 그 꽃들때문에 다시 노동에 나서는 어깨는 더이상 슬프지만은 않은 우리 삶의 모습 말이다.(나도모르게 시처럼 써버린 건^^;;) 거센 소나기가 녹슨 지붕을 때리는, 그 소리가 음악 소리처럼 감미롭다기 보다는 혹은 그 소리에 집무너질까 걱정스러워서라기 보다는, 소나기가 녹슨 지붕을 때리는 것도, 부드러운 흙을 때리는 것도 그리움의 몸짓인양 느껴져서,그래서 잠 못 이루는 시인의 모습에 감동한다. 섬세하고 우아하면서도 더럽고 흉측했다가 깨진 유리처럼 날카롭다가 굴러다니는 호박처럼 부드러운 그의 시. 참 괜찮다.

 섬세한 시 한 편, 적어볼까?

 

작 침

 

어떤 사람이 떠나고 그 사람이 그립다면

그 사람이 멀리 있다고  생각 마라

그리운 것은 내 안으로 떠나는 것이다

 

다만 나는

내 속을 보지 못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 풍경을 나는 이제 사랑하려 하네 - 안도현의 노트에 베끼고 싶은 시
안도현 엮음, 김기찬 사진 / 이가서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오늘 초등학생들이 모두 체육복을 입고 등교하더라. 운동회하는 날이란다.

 청록색 체육복에 청팀, 백팀을 알려주던 머리띠를 두르고 엄마가 끓여 식혀 담아준 물 한 병 들고 학교에 가던 생각이 난다. 운동을 잘하지 못했던 내게도 운동회는 즐겁기만 했다. 내가 다녔던 초등학교 운동회에서는 해마다 학년별로 멋진 율동을 보여줬다. 한 번은 훌라후프를 들고 춤을 췄고, 또 한 번은 소고를 들고 춤을 췄다. 두가지 밖에 기억나지 않는 걸 보니 이 소품들은 내게 인상적이었나 보다.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나아지던 내 율동 실력. 6학년 즈음에는 꽤 잘했던 것 같다. 옆 아이를 가르칠 정도로 말이다.^^ 점심 시간이 되면 김밥이며 음료수며 과자를 들고 학교에 오신 엄마 옆에 앉아 오전 내 있었던 경기 결과를 중계하느라 목에 힘줄을 세웠다. 오후에는 엄마랑 함께 달리기를 했는데 달리기를 못하던 나와는 달리 번개같이 내 손을 끌던 엄마는 경기가 끝난 후 예전에 달리기 선수였다는 말을 잊지 않았다.^^ 아, 머물고 싶은 풍경이다.

서설이 길었다. <그 풍경을 나는 이제 사랑하려 하네> 시집은 소소한 풍경들을 끄집어내 그 풍경을 들여다 볼 기회를 만들어주는 시집이다. 안도현 시인의 말처럼 시를 좋아하는 독자들의 눈높이를 한 단계 끌여올려 줄 좋은 시들이 많다. 이 시들을 어찌 사랑하지 않으리오? 기꺼이 사랑하련다. 그리고 나도 안도현 시인처럼 노트에 베끼고 싶은 시들을 모아봐야 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다 좋은데 특히 좋았던 시 한 편. 이대흠 시인의 '수문 양반 왕자지' 유쾌한 선물같다던 안도현 님의 말이 딱 어울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수를 리메이크하다 시인세계 시인선 17
문세정 지음 / 문학세계사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기'라는 시를 한겨레에서 읽자마자 구입한 시집이다. 살다보면 흠씬 비 맞고 싶은 날 있지 않던가? 아마도 이 시를 읽은 날이 내게 그런 날이었으리라. 헌데 비가 안 와서 우울해하고 있었겠지? 그런데 문세정의 '우기'라는 시가 내게 빗물을 쏟아주더라. 그래서 '맘껏 흡수'했지!^^ 흠뻑 젖어 행복했다. 그래서 시인에게 감사해하며 여기저기 이 시집을 알리고 다닌다. 선물도 하고^^

 문세정은 사람이다. '그대가 무심히 던진 말 한마디에도 쉽게 무너져 내리는' 연약지반구역을 가진 마음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렇지 않던가? 나 역시 자꾸자꾸 무너져 내리는 연약지반구역을 어떻게 복구하나 고민하고 있으니 말이다.

 보고 있는 것, 보이는 것, 보이지 않는 것 모두를 보여주는 이 시인의 감성이 부럽다. 한참이나 이렇게 부러워하고 앉아있다......쭈욱......... 

 

 

<예수를 리메이크하다>중에서 오늘 나를 설명하는 시 한편 적어본다.

음지식물

 

난 이상하게 어두운 곳이 좋더라

빛이 한발 비껴간

골방 골목 골짜기

그런 곳에 있다 보면

어느새 맘이 편해지더라

정면에서 쏘아대는

햇빛 불빛 눈빛

그런 것들은 뾰족한 가시 같아서

어딜 가나 구석지고 은밀한 곳을 찾지

굳이 설명하자면

적당한 고립을 즐긴다고나 할까

아무튼 어느 정도

가려진 공간에 있을 때

맘이 편하고 차분해지더라

내가 너무 폐쇄적이라고?

그렇게 보이더라도 할 수 없지

 

아주 오래 전

엄마 뱃속에 있을 때부터 그랬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는 하늘을 자유롭게 풀어 놓고 문학과지성 시인선 69
황인숙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8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쾌하다. 너무 무겁지 않으면서 그렇다고 가볍지도 않은! '기도'라는 시에서 시인은 이렇게 말한다. '하나님, 아무래도/그녀를 사랑할 것만 같습니다./당신의 엘렉트라,/사탄인지 뱀인지를/ 한 초 빨리 집안에 들이옵소서./당신의 일품인 미끼인/그녀를.'이라고. ㅋㅋ 거부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사탄'(?)을 받아드리는 저 겸허(?)함!!! 유쾌하지 않은가?

 시집 제목이 된 '새는 하늘을 자유롭게 풀어놓고'의 시는, 아직 '새'가 되지 못한 지상의 존재인 시인이 새를 부러워하는 모습이 언뜻 보인다. 내가 보기에 이 시인은 충분히 새처럼 자유롭고 탄력있는 존재로 비치는데, 그래서 나는 이 시인이 부러운데^^ 

새는 하늘을 자유롭게 풀어놓고

보라, 하늘을.

아무에게도 엿보이지 않고

아무도 엿보지 않는다.

새는 코를 막고 솟아오른다.

얏호, 함성을 지르며

자유의 섬뜩한 덫을 끌며

팅!팅!팅!

시퍼런 용수철을

튕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