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와 나 - 2012년 제36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김영하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러고 보면 김영하만큼 두터운 팬층을 거느린 작가도 드물지 않나 싶다. 등단 초기부터 작품들이 죄다 주목을 받으며, 나오는 작품마다 이슈를 불러일으켰으니. 주위에 글 좀 쓴다는 사람들이나, 책 좀 읽는다는 사람들에게 좋아하는 작가를 물어보면 열이면 열, 리스트 안에 박민규나 김영하는 꼭 들어가 있더라. 그가 보여준 소설적 파격성이나 기존 문학판의 관습을 뛰어넘은 소설적 재미는 문학 연구자와 대중의 바운더리를 넘어선 경지에 놓여 있다. 90년대를 대표하는 작가로 항상 손꼽히는 그가, 문학계의 트랜드와 굉장히 밀접한 연관이 있는 이상문학상을 여지껏 수상하지 못했다는 건 조금 놀라운 일이기도 하다.


작품집에 수록된 작품을 읽으며, 이번에도 논란이 불거지겠다는 예상을 했다. 어쩌면 김영하는 그가 미친 현대문학에의 영향에 비하면 어쩌면, 조금 평가절하되고 있지 않는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김영하의 이상문학상 수상을 공지영의 수상과 같은 파격으로 인지하는 사람이 적지 않은 것을 보면 그렇다. 그것은 아마 이상문학상이 취하고 있는 ‘권위’의 문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김영하의 소설은 여지껏 읽은 어떤 이상문학상 수상 소설보다도 가볍다. 재미로 치자면 김영하에 밀릴 것도 없는 2010년도 수상작인 박민규의 ‘아침의 문’이 무겁고 현학적인 소설로 느껴질 정도다. 묘사는 극도로 지양되며, 대부분의 문장들은 대사처리 되어 있다. 1인칭 시점을 사용하여 그나마의 서술문에서도 문어체 문장을 찾아보기 힘들게 만들어 버렸다. 다른 단편들의 2배 가까운 분량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소설은 굉장히 빠르게 읽힌다. 그리고 재미있게 읽힌다. 독자들의 당혹감은 소설이 끝난 뒤, 몰아친 정서적 쾌감 뒤의 허무함 속에서 나타나는 것일 게다. 너무나도 재미있는 이 소설과, 권위의 이상문학상이 합집합을 이루지 못하는 것이다.


하지만 소설적 권위란 무엇인가, 훌륭한 소설이란 무엇인가. 김영하의 소설을 받아들이기 위해선 그 부분부터 먼저 숙고해 봐야 할 것이다. 문학성을 문장에서 찾던 시절이 있었다. 이태준을 위시하여 수많은 문장론이 쏟아져 나왔다. 사진을 모사하듯 치밀하게 묘사한 문장들이 각광받던 시절도 있었다. 꿈과 현실을 아우르는 현학적인 소설들이 문학적으로 뛰어나다는 평을 받던 때도 있었다. 영상 시대에 들어서 영상으론 표현되지 못할 소설만의 영역을 구축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졌다. 하지만 위 중 어떤 것도 훌륭한 소설의 정답이 될 순 없다. 소설은 말하기의 한 방법일 뿐이며, 그 방식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결국 소설쓰기란 포장의 방식일 뿐이며, 그 포장법은 트렌드에 따라 조금씩 변화한다.


김영하의 소설에서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그 트렌드를 얼마나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당당하게 표현하는가 하는 부분이다. 우리나라 문학판에서 먹히는 소설들이란 김영하의 소설들과는 거리가 있다. 이를테면 김연수의 시적 감수성, 권여선의 문장, 전경린의 추억, 김애란의 젊음, 편혜영의 기괴함이나 김숨의 환상성과 같은 것들. 문학이란 모름지기 진지해야 하며, 대중과는 다소 유리된 영역에 속해야만 하는 것이다. 심지어는 콤마의 갯수까지 틀에 박으려 드는 문학판의 경직 속에서 김영하는 자신의 이야기를 전혀 눈치보지 않고 늘어놓는다.


시대는 변하고 있다. 독자들은 점점 긴 글을 읽기 힘들어 하며 복잡한 문장을 받아들이기 어려워 한다. 문어체 문장보다는 구어체 문장을, 치밀한 묘사보다는 몰아치는 서사를 원한다. 라틴아메리카를 주축으로 미니픽션이 붐을 이루는 것도 그러한 흐름의 한 반향이다. 진지하고 형이상학적으로 스스로에게 침잠해 들어가는 복잡한 소설은 이미 과거의 것이 되었다. 김영하는 그런 시대적 흐름을 정확하게 캐치해 내고, 거기에 자신만의 주제의식을 굳건히 박아 넣었다. 옥수수와 닭으로 상징되는 현대 사회의 역할구도를 이토록 재치있고 흥미진진하고, 다소 야하게 써낼 수 있는 작가가, 과연 얼마나 있단 말인가.


이상문학상 40주년 기념으로 새로 바뀐 표지는 마치 시대적 변화를 몸소 증명하는 듯하다. 밝은 색 표지와 둥글둥글하고 알록달록한 글꼴들은 문학이 더 이상 과거처럼 경직되어 있어선 안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처럼 보인다. 새로 바뀐 이상문학상 작품집의 첫 작품집에 김영하가 수상자로 꼽힌 것은 그러므로 대단히 의미심장하다. 새로 바뀐 표지가 이상문학상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 아닌, 김영하의 수상을 기리는 것 처럼 느껴지는 것도 그런 탓일 것이다. 김영하와 관련된 부분이 - 자선대표작, 수상소감, 문학적자서전, 작가론, 작품론을 포함해서 - 전체 분량의 1/3이상을 차지한다는 것도 그렇다. 그래서 이번 작품집은 이전 작품집들에 비해 우수상수상작들의 비중이 많이 적게 느껴지지 않았나 싶다.


우수상 수상작 중에 눈길을 끌었던 단편은 김경욱의 스프레이와 김숨의 국수가 있다. 정말 극과 극의 작품이지만 두 작품 모두 너무나도 훌륭했다. 김경욱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서사의 이어가기가 놀라울 정도로 독보적이었다. 이런 이야기를 이렇게 상상해 낼 수 있는 작가의 능력이 감탄스럽다. 김숨은 문학적 글쓰기의 교과서적인 방법론을 보여줬다. 그저 국수를 뽑는 행위를 통해 인간의 생애를 함축해낼 수 있는 작가의 감수성과 비유능력이 탁월했던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