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적과 흑 - 상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68
스탕달 지음, 임미경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쥘리앵 소렐은 목수의 아들이지만 야심을 가진 인물이다. 그는 아버지에게 야단을 맞으면서도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 그는 몽상가이다. 그는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정상에 서기를 갈망한다. 그가 나폴레옹을 우상으로 여기는 것은 그런 까닭이다. 나폴레옹의 시대란 용기와 능력을 지녔다면 하층민이라도 군대에 들어가 성공할 수 있던 시대였다. 하지만 나폴레옹의 시대는 갔다. 성직자들과 귀족들은 자신들을 중심으로 한 권력체계를 되살리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었다. 쥘리앵 소렐이 군인으로서의 길을 포기하고 성직자가 되겠다는 꿈을 품은 것도 그런 이유에서였다. 쥘리앵은 자신의 입장에서 가장 성공하는 인물이 되는 길은 성직의 길이 최선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 소설은 연애담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레날 부인 그리고 라 몰 양과의 사랑이 소설의 기본 골격이다. 작가는 쥘리앵 소렐과 두 여인간의 사랑을 굉장히 세밀한 필치로 담아냈다. 각 등장인물들간의 감정 변화 선의 치밀함이 놀라웠다. 레날 부인과 쥘리앵 소렐 사이의 사랑은 서로간의 호의에서 시작 되었지만, 두 인물의 계급차 그리고 이미 남편을 가지고 있는 소렐 부인의 입장 차이로 쉽게 거리가 좁혀지지 않는다. 또한 라 몰 양과 쥘리앵 사이의 사랑은 두 사람의 성격차에서 비롯된 갈등이 주가 된다. 작가는 인물들의 사랑이 발달되어 나가는 엎지락뒤치락 하는 감정의 기복을 정밀하게 묘사해내었다.
적과 흑은 이러한 놀라운 연애소설이면서도, 한 편으론 당대 사회를 폭로하고 있는 소설이다. 소설엔 살롱의 권태라던가 하층민임에도 놀라운 능력을 지닌 쥘리앵을 질시하는 귀족층들 부르주아들의 세태가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다. 그리고 권력욕에 눈이 멀어 위선으로 똘똘 뭉친 상류층들의 모습도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그리고 그러한 세태는 쥘리앵의 죽음을 통해 극명하게 강조된다.
쥘리앵은 자칫 물욕을 쫓아 성공을 위해서라면 무슨 짓이든 거리낌없이 해치우는 냉혈한으로 비치기도 한다. 하지만 다른 시각에선 그렇게 하지 않으면 자신의 태생적 그림자를 떨쳐낼 수 없는 시대의 제약이 엿보이기도 한다. 쥘리앵은 야심가이면서도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은 인물이었다. 단순한 몽상가가 아니고 자신의 몽상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는 인물이었다. 성서를 라틴어로 모조리 암기할 정도의 노력을 하는 인물이었던 것이다. 그 행위는 기독교적 신념에 의한 것이 아니고 오로지 자신의 뜻을 펴기 위해서였다. 위선을 통해 자신의 본래 감정마저도 감추는 그 지독함으로, 결국 그는 라 몰 양과의 관계를 성사시키고 귀족의 지위까지 손에 넣는 단계에 이른다. 하지만 결국 그를 추락시킨 것은 그 사회가 가질 수 밖에 없었던 기본적인 한계였다.
1830년에 쓰인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은 180년 가까운 세월을 넘어 현대에서도 효용성을 지녔다. 지금도 마찬가지로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출세의 기회를 잡지 못하고 스러져간다. 대부분의 아이들의 장래희망에서 대통령, 의사, 과학자는 사라지고 공무원, 교직원 등이 남았다. 대부분의 젊은이들은 자신의 삶을 개척하기 보다는 대학을 졸업하여 스펙에 맞는 직장에 취직해 월급을 받으며 사는 것을 최선의 삶으로 생각한다. 자신이 개척하는 삶이 아니라 삶에 끌려가는 인생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쥘리앵의 행동, 야욕은 일종의 본이 된다. 나도 저처럼 의욕에 불타서 살아가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그렇기에 쥘리앵의 죽음, 명예로운 처형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그의 마지막은 더욱 안타깝게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