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한 음식점에 길게 줄 서 있는 모습, 흥행하는 영화는 봐야 한다고 믿는 사람들, 유행하는 것은 뒤늦게라도 사서 가져야 안심하는 이들, 남 노는 것 구경하는 걸로도 부족해서 그대로 따라 하는 족속들. 한 가지에서만 정보를 얻는 무지. 이게 바보 아니고 뭔가.

 

책도 그렇다. 서점에서 베스트셀러만 찾는 사람들. '많은 사람이 샀다니까 뭔가 이유가 있겠지, 그럼 나도' 하지 말고 제발 직접 읽고 판단해주길 바란다(그게 내 책이라도 마찬가지다). 창의성은 고사하고 스스로 판단도 못 한다면 국가와 사회가 통제하기 가장 좋은 대상으로 전락해버린다. 미디어에 의해 사육당하고 조종당하는 무기력한 존재들 말이다. -28쪽

 

굳이 남 앞에서 바들바들 떨면서 자기 의견을 발표하지 않아도 좋다. 생각하는 힘을 기르자. 단, 대나무같이 키우지 말고 수세미같이 키우자. 그래서 언제든 나보다 더 타당한 의견을, 참신한 생각을 받아들일 수 있게. 나는 언제든지 틀릴 수 있고, 저 사람도 나보다 어른이라고 해서 늘 옳은 건 아니다.

써놓고 보면 당연하지만 누구도 당연한 듯 실천하기는 쉽지 않지만... :)

 

본인이 고치려고 마음먹은 성인도 쉽지 않은 일이니, 아직 머리가 말랑말랑한 아이들만이라도 이렇게 키우면 좋겠지요. 그런데 다들 똑같은 방식으로 공부를 하고, 우리반 누구가 다니는 학원은 나도 다녀야 하고, 그래서야 이건 사육환경과 다를 바가 없어 보여요. 건설적인 비판이 아니어서 무안하지만, 그래도 현행교육에 반기를 들고 있는 소심한 반동분자세력으로 한 마디 보탬.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돼! (양장) 북극곰 무지개 그림책 11
마르타 알테스 글.그림, 이순영 옮김 / 북극곰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마랑은 온갖 주제로 많은 이야기를 주고받지만 우리는 가끔 아무 말도 안 한다. 말 없이 딴짓을 할 때도 있고 말 없이 서로를 볼 때도 있다. 불안하지 않은 침묵이 우리 사이에 자연스레 드나들기까지 그간 많은 언어가 필요했다. 언어가 잘 만나졌던 순간들이 겹겹이 쌓여 우리에게 용기를 준다. 말을 하지 않을 용기를. 어느 순간 아무 말 안 하고도 우리는 너무 괜찮을 수 있다. 가끔 사랑은 그런 침묵을 먹고 무럭무럭 자라나기도 한다. -299쪽

 

침묵이 어색하지 않은 사이가 되기까지, 반대로 수많은 언어가 쌓여야 했다는 이 짧은 문장들이 순식간에 떠올리게 한 것들은 이랬다. 내 경우에 이랬다는 거다.

1. 쌓이는 말의 두께만큼 감추고 싶었던 아득한 마음속 밑바닥까지 드러나버려서 황망할 때도 있었다. 

2. 사랑은 '가끔' 침묵을 먹고 잘 자라주지만, 침묵을 주 양식으로 삼는 애들도 있다는 사실. 그놈들의 이름은 오해와 착각이라고 하더라.

 

이슬아 작가의 문장들이 너무 좋아서, 어느 정도로 좋았는가하면 이 책의 글들 중에서 간혹 내 마음과 부딪혀 깨지는 소리가 나는 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내보내지 않고 쭈욱 서재 식구로 함께 있어야겠다고 마음먹을 정도로 좋았어서, 괜한 투덜거림을 달았다 (괜스레 볼을 부풀린 채 뾰로통한 표정을 짓는 그런 요상한 심리라고나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학교가 처음 아이들을 만난 날
크리스티안 로빈슨 그림, 아담 렉스 글, 김서정 옮김 / 북뱅크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3-01 22: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3-02 16: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3-02 17: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3-03 15: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키다리 아저씨 허밍버드 클래식 7
진 웹스터 지음, 한유주 옮김 / 허밍버드 / 2016년 10월
평점 :
품절


키다리 아저씨는 한 고아 소녀를 주인공으로 쓴 소설이다. 대학에 들어갈 나이가 된 제루샤 애벗은 고아원을 나와야 한다. 그런데 키다리 아저씨라는 정체 불명의 남자가 제루샤를 후원해 대학에 보내기로 한다.

대학에 들어간 제루샤는 '주디'로 개명을 한다. 키다리 아저씨는 주디가 작가가 되기를 원했고, 그래서 한 달에 한 번씩 편지를 쓰게 한다. 그러나 답장은 해주지 않는다.

주디는 대학 생활을 하며 줄리아 펜들턴과 샐리 맥브라이드와 친해진다. 그리고 함께 방학도 보내고, 같은 방을 쓰며 지낸다.

주디가 졸업하고 나서, 키다리 아저씨를 만나게 된다. 그러나 키다리 아저씨는 줄리아의 친척인 저비 펜들턴이었다.

이 책은 거의 전부 편지 형식이다. 주디가 키다리 아저씨에게 보내는 편지이다. 그냥 글로 되어 있기보다 편지로 된 것이 더 읽기 쉽고 이해도 잘 되었다.

주디도 일반 대학생들과는 조금 다른 것 같다. 모두 드레스를 사고, 무도회와 파티에 놀러다닐 떄, 유의어 사전을 사서 열심히 공부를 했으니 말이다.

책의 내용도 전체적으로 봤을 때 재밌지만, 편지 형식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 제일 기억에 남고 인상적이다. 그냥 글로 썼으면 별로일 것 같은데, 편지로 나타네어서 훨씬 오래 기억에 남는 것 같다. 

 

2019년 1월 30일 

 

 

열심히 쓰고 있는데 왜 아카이빙 안 해주냐고 딸한테 한 소리 듣고 밀린 글들을 업데이트중...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