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가 시작된 이후로 내 삶의 중심은 그대였다. 그대를 생각할 때만 감정이 동요하고 그대와의 이야기가 조금이라도 담겨 있는 영화나 책, 노래를 발견할 때면 온 몸이 울렸다. 죽을 만큼 아파도 보았고 또 그 아픔에 익숙해져 가는 과정도 겪어 보았다. 그렇게 그대라는 존재를 품에 안고 나의 존재는 형성되었다. 그대 덕분에 나의 존재의 경계를 넘어서서 타인의 감정에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고 나와 같은 이유로 아파했던 사람들에게 귀 기울일 수 있게 되었다. 


그대에게 들려 주고 싶은 노래, 보여 주고 싶은 영화, 읽어 주고 싶은 책들이 참 많았다. 하지만 전해지지 못한 채 일기장에 쌓여만 가던 나의 거친 편지들과 함께 이 모든 것들은 체념과 함께 삼켜져 내 안에만 쌓였다. 주위 사람에게라도 쏟아내지 않으면 견디지 못할 만큼 갑갑한 날에는 친구를 붙잡고 나의 감정을 토로하곤 했다. 하지만 그럴 때마다 나의 감정들은 오히려 왜곡되어 전해졌고, 날 것의 감정들은 타인의 불이해만을 불러 일으켰다. 그래서 입을 다물기 시작하였으며 다른 방법으로, 이야기에 나의 감정을 담아 간접적으로 내 안을 비워내곤 했다. 


안나 카레니나의 첫 장은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고만고만하지만 무릇 불행한 가정은 나름나름으로 불행하다. 문학동네의 번역본이고, 개인적으로 맘에 드는 번역은 아니지만 그 안에 담긴 의미는 크게 와닿았다. 행복한 가정의 기준은 있으나 불행한 가정의 기준은 없다. 하하호호 웃음이 끊이지 않는다면 행복한 가정이다. 행복한 가정하면 떠오르는 흔한 이미지들이 그러하듯이. 이는 행복한 가정이란 외부에서 바라보는 시선에 절대적으로 의존한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불행한 가정은 내부에서 보아야 한다. 불행한 가정이더라도 겉으로는 행복해 보일 수 있다. 외부에 보여지기 꺼려지는 각자의 불행한 문제들을 품고 살아가는 것이다. 


나 역시 그랬다. 그대와 함께 하는 시간 동안 남들이 하듯이 함께 찍은 사진을 sns에 올리기도 하고 남들이 하듯이 선물도 주고 받고 기념일도 챙기며 행복한 티를 내지 못해 안달이었다. 하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사실 힘든 시간이 더 많았고 불행하다고 느낀 적도 많았다. 남들에게는 뻔한 푸념으로 들렸을 지라도 나에겐 너무나 큰 아픔이었고 상처였다. 하지만 자존심에 솔직하게 나의 불행을 털어놓지 못했다. 그저 다른 행복한 커플들이 하는 행동을 따라하면서 나도 행복하다고 느끼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안나가 알렉세이를 찾아 전보를 치고 기차에 몸을 싣고 자살까지 결심하게 되는 과정을 보며 그대는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하다. 나는 그녀가 너무나 안타까웠다. 폭발하는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는 그녀와 그런 그녀로부터 멀어져 가는 알렉세이때문에 더욱 상심하는 그녀가 안타까웠다. 그런 그녀에게서 나의 모습이 보이는 것 같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격한 감정에 휩쓸린다는 것이, 상황이 악화된다는 걸 알면서도 그 감정을 가라앉히지 못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나는 알았기에 더욱 그녀에게 동정을 느꼈다. 그대가 안나 카레니나의 그 부분을 읽는다면, 나처럼 안나를 동정할까, 혹은 이해하지 못할까. 아마도 그런 그녀의 무분별함에 거부반응을 보이리라 생각한다. 불쌍하다고는 느끼겠지만 이해하지는 못하겠지. 그리고 이러한 추측은 나를 더욱 슬프게 한다. 


그대를 잊는 것이 두려웠다. 그대와 함께 한 시간들 마저 잃어버리게 될까봐. 많이 힘들고 많이 얼룩진 시간들이었지만 그 사이사이에 빛나는 추억들이 있고 그대의 미소, 살내음, 온기가 있기에 나에게는 너무나 소중한 시간들이었다. 하지만 버릴 줄 알아야 얻는 것도 있다고, 그대와의 추억을 놓을 때가 된 것 같다. 그대의 흔적은 지워지더라도 그대와 함께 나눴던 감정들은 내 안 어딘가에 남으리라 생각한다. 그 정도에 만족하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