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 - 책과 혁명에 관한 닷새 밤의 기록
사사키 아타루 지음, 송태욱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2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읽고 있는 내가 미친 것일까, 아니면 이 세계가 미친 것일까?
그동안 책을 하나의 소일거리로 봐 왔던 나의 태도가 부끄러워졌다. 나의 독서 습관이 부끄러워졌다. 내가 내 뱉은 글들이 부끄러워졌다. 나는 도피하기 위해 책을 읽었고, 안일해지기 위해 책을 읽었다. 그리고 그 찝찝함을 조금이나마 덜기 위해, 그리고 지적 허영심을 충족시키며 가짜 선비 놀음을 하기 위해 글을 끄적였다. 나는 치열하지 못하다. 뷔페에 가 음식들을 산더미처럼 쌓아놓고 게걸스레 위에 쑤셔넣듯이 책을 삼켰다. 씹지도 않고 음미하지도 못했다. 누군가에겐 목숨을 걸 만큼 위대한 의식인 읽기와 쓰기가 나에겐 허울만 남은 겉치레, 진실을 외면하는 아편과도 같았다. 나는 0.1%로 살아남은 위대한 노장들을 만나면서 악수를 하고 기념사진만 찍고 떠나는 무례한 손님이었던 것이다. 그들의 명예를 드높이는 척하면서 사실은 그들을 광대로 전락시키고 있었다.
작가의 냉소적이고 날이 선 문체가 자꾸만 양심을 푹푹 찔러 왔다. 책을 읽는 동안 내가 발가벗겨지는 것 마냥 불편한 기분이 들었다. 내 눈을 가리고 있던 내가 흥미로워 했던 것들, 심심할 때 하는 것들, 나의 관심사들이 모두 벗겨져 마른 나무 껍질처럼 바스라졌다. 술에 취해 몽롱해 있다가 술이 깨면서 그동안 내가 제정신이 아니었음을 깨닫는 기분이었다. 그러자 두려워 지더라. 내가 정말 치열하게 고독한 싸움을 해낼 자신이 있는지, 그 광기서린 길을 걸어갈 수 있을지 스스로에게 확신이 서지 않았다. 만약 이 세계가 미쳤다면, 그 세계와 나는 맞서야 한다. 그 말은 내가 지금껏 누려오고 일궈 왔던 세계를 내 손으로 져버려야함을 의미한다. 돈, 직업, 친구, 명예 등 세계의 질서에 순응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달콤한 열매를 '가짜'라고 손가락질하며 던져야 하는 것이다. 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자신이 없다. 세상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홀로 고독한 싸움을 하는 것이 내게는 정말 문자 그대로 '미친 짓'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윤택하고 안락한 삶에 익숙해진 나는 아무래도 매트릭스의 네오와 같은 사람이 될 수는 없어,라고 생각하자 입안에 씁쓸함이 텁텁하게 쌓였다. 그러면서도 아예 책을 덮어버리지 못하는 까닭은 완전히 현실세계에 순응할 뻔뻔함조차 내게 없기 때문이다. 한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