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은 아름답다'는 말이 와 닿은 날이다. 이 영화 역시 아름답다.

새 학년 첫 수학시간,  '루트'라는 별명으로 자신을 소개한 수학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으며 수업을 시작한다.

"사랑해서는 안 될 사람을 사랑한 어머니는 나를 낳고 가정부 일을 시작했다."

자신의 가장 아픈 부분('깊은 부분'이라는 표현이 더 적당할까?)을 고백하며 시작하는 첫 수업이라니. 첫 장면부터 화들짝 놀랐다.  쉽지 않은 일이다. 작은 것이라도 내 삶에 대해 아이들과 이야기를 하려면 목소리는 떨리고 얼굴은 상기된다. 그건 정말 용기가 필요한 일이라 지금껏 몇 번 털어내지도 못했다. 정말 필요한 나눔이라 생각하면서도 혹시 외면 당하거나 비웃을까봐... 그러나 루트선생은 아주 자연스럽게 첫 수학 시간을 그렇게 풀어갔다.

동료들 사이에서 가장 젊은 그의 어머니는 10년의 가정부 경력을 가진, 철저한 직업의식을 가진 마음 따뜻한 사람이었다. 9명의 가정부가 못견디고 그만둔 '박사'를 보살피는 일, 그것이 그녀가 맡은 일이었다. 박사의 형수는 다리를 절었다. 그를 보살펴주던 수학박사 학위를 받아 귀국한 그가 취직하기 직전 그때까지 그를 보살펴주던 띠동갑 형은 죽고 형수와 공연을 보고오다가 교통사고로 그리되었다는 설명. 시동생인 '박사'는 뇌를 다쳐 기억이 80분밖에 유지되지 않는다는 설명.

쓰다보니 진부한 줄거리 나열이 되어버린다. 원작을 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소설과 영화의 미덕은 각각 다르겠지만 소설 역시 충분히 감동적이 거라는 생각이 든다.

동그란 달을 이고 돌아오면서 '수학을 아주 좋아하는 아이, 지독히 싫어하는 아이, 수학선생님들, 그리고 우리반 녀석들과 이 영화를 함께 봤으면 좋았을 걸'하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그 감동을 책으로 나눌수도 있을까?

 

[펌] 사랑도, 인생도 어려운 수학문제 같은 것. - songcine

루트(√)라고 불리우는 선생님이 있다. 그가 한 학교로 첫 수업을 하는 날...  아이들은 긴장하기 시작한다.  그런데 이 루트 선생은 아이들에게 자신의 어렸을 적 이야기를 시작한다.

루트라고 불리우는 그의 어머니 이름은 쿄코... 그는 아들과 단 둘이 살고 있다. 그녀는 파출부 살고 있고 어느 때와 마찬가지로 의뢰 받은 집의 파출부로 생활하게 된다. 의뢰한 한 여인의 집에서 그녀는 자신의 죽은 남편의 동생을 맡아줄 것을 부탁한다. 그는 교통사고로 기억을 잃었으며 어렸을 적 기억만 남아 있다. 그리고 모든 일상의 기억 시간은 단 80분...  쿄코는 신발사이즈를 시작으로 엉뚱한 수학 박사의 도우미로 활약하게 된다. 하지만 그녀는 그에게 헌신적으로 봉사하기 시작하고 그런 것을 박사도 알았는지 자신의 양복에 매모지를 붙어 하나 하나 그녀의 정보를 적기 시작한다.  쿄코는 그가 이상했다.  모든 삶과 연관 된것을 수학용어와 공식으로 풀이하는 그의 방식을...  하지만 그와 생활하면서 그의 삶을 이해하게 된다.  박사가 쿄코의 아들을 초대하면서 사건은 점점 더 아름다우면서도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가는데... 

작년 메가박스 일본 영화제 개막작이었던 '박사가 사랑한 수식'을 다시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영화 수입/배급사인 스폰지에서 마련한 '일본 인디필름 페스티벌'이 바로 그것이다.  이상일 감독의 작품이자 오다기리 조(메종 드 히미코, 피와 뼈)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스크랩 헤븐'이라던가, 부천영화제에서 큰 인기를 얻었던 '녹차의 맛', 그리고 우에노 주리(스윙 걸즈)와 아오리 우유(하나와 엘리스)같은 꽃미녀(?)를 세트로 볼 수 있는 '거북이는 의외로 빨리 헤엄친다' 등등이 상영되는 작은 영화제이다. 그런데 내가 선택한 첫 작품은 바로 이 작품 '박사가 사랑한 수식'이다. 메가박스 영화제에서 놓친 것이 분해서가 그 이유였다.
이 작품은 에가와 요코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 한 작품이다.  일본의 대표적인 배우 테라오 아키라와 후카츠 에리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한마디로 수학과 삶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소설에서는 파출부로 등장했던 쿄코의 회상으로 시작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영화에서는 쿄코의 아들이 수학 교사가 되어 아이들을 가르키던 와중 회상을 하는데에서 부터 시작한다는 점이 다른 점이다.

영화에서는 수많은 수학 용어와 숫자와 학자들이 등장한다. 우선 영화의 첫 시작은 바로 앞에서 이야기했던 √(루트)라는 기호부터 시작된다. 영화에서 루트는 모든 숫자를 보호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π(파이)와 i(아이)라는 무한한 기호도 등장하고 소수와 완전수 등이 등장한다. 이런 수많은 공식과 기호들은 이게 영화인지, 교육방송인지 헛갈릴지도 모르지만 삶과 접목시키는 박사의 생각에서 많은 것을 깨닫게 한다. 사실 단기 기억 상실증이란 소재는 우리에게 낯설지만은 않다. '메멘토'라던가 '첫키스만 50번째' 같은 작품에서는 단기 기억상실증에 걸린 주인공들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다른 예이긴 하지만 알쯔하이머 병에 걸린 여인의 이야기를 담은 '내 머릿속의 지우개'라던가 하루가 지나고도 다시 똑같은 하루가 반복되는 상황을 다룬 '사랑의 블랙홀'도 있다.  여기서 우리 일상의 반복은 앞의 '메멘토'보다는 '첫키스만 50번째'와 '사랑의 블랙홀'이 더 가깝다. 그런데 이들 주인공들의 특징을 보면 병에 걸린 또다른 주인공에게 화를 내지 않으며 끝까지 운명과 맞써 싸운다. 그런 점에서 '박사가 사랑한 수식'의 주인공인 쿄코 역시 자신의 맡은 바의 일에 최선을 다한다. 불평도 불만도 나타내지 않는다. 그리고 힘든 고난을 겪고 있는 박사를 같이 위로한다.

영화에서는 수학 기호 만큼이나 야구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박사가 야구를 좋아했다는 것과 쿄코의 아들 루트 역시 어린이 야구 팀에서 활약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박사를 위해 어린이 야구팀의 등번호를 그가 좋아했던 팀의 선수 등번호와 동일 시키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서 서로에 대한 존경과 우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 영화는 수학을 싫어하는 사람들에게 개인적으로 추천하고 싶다. 수학이 어렵다고 느껴지는 이들에게도 강추이다. 나 역시 수학은 어려운 과목이라고 느껴졌는데 이 작품을 보면서 삶의 공식과 수학적 공식은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바로 박사가 써 내려간 이 기호처럼 말이다.

eπi+1=0

무한한 수가 만나고 거기에 1이 들어가지만 아무것도 없는 텅빈 상태의 0(영)이 되어버리는 것...  바로 오일러의 법칙이다. 영화속 수수께기 같은 문제를 하나 남겨 보려고 한다. 한번 맞춰보길 바란다.

284와 220이란 숫자에는 공통점이 있다. 과연 그것이 무엇일까? 정답은 바로 약수의 합이 서로 반대의 수와 같다는 것이다. 284의 약수(1, 2, 4, 71, 142)를 구하고 그 숫자들을 더해보길 바란다.  또한 반대로 220의 약수(1, 2, 4, 5, 10, 11, 20, 22, 44, 55, 110)를 구하고 역시 그 숫자들을 더하면... 284의 약수의 합은 220이 되고 반대로 220의 약수의 합은 284가 된다. 이런 것을 우애수라고 한다. 피타고라스가 발견한 법칙이기도 하다. 수학 공부를 열심히 한 사람이라면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지 않을까 .이 글을 쓰는 본인은 수학과 담을 쌓았으므로 더 이상 이야기하지 않겠다. 이와 비슷한 법칙을 생각하자면 베르나르 베르베르(프랑스 소설가)의 소설 '개미'를 생각하게 된다.

1

11

12

1121

122111

112213

12221131

1123123111



첫번째 숫자 1을 아이들에게 보여주면 일이 하나라고 이야기한다.(11)  다음에 11을 보여주면 일이 둘이라고 이야기한다.(12)
그리고 12를 보여주면 일이 하나, 이가 둘이라고 이야한다.(1121) 이런 식으로 숫자가 점점 커지는데 이런 숫자의 배열 역시 앞의 영화속 우애수나 완전수처럼 법칙을 가지고 있는 것...

이 세상과 그리고 수학... 알다가도 모르겠고 풀려고 해도 풀지 못하는 미스테리가 아닐까?  하지만 분명한 것은 우리는 평범한 삶속에서도 진리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으며 그 모든 진리에는 법칙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사랑도, 삶도, 꿈도... 그 모든 것이 말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RINY 2006-09-07 09: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나, 영화는 그렇게 시작하는군요!

해콩 2006-09-07 0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설은 안봐서 모르겠는데... 영화, 너무 좋았어요. 기회가 되면 꼭 보시길...

2006-09-07 09: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해콩 2006-09-07 1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뭘요~ 기분 좋으시다니 저도 ^^

BRINY 2006-09-07 20: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화 예매했어요~ 기대되요~